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프로파일링

프로파일링

임준태 (지은이)
대영문화사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000원 -0% 0원
1,950원
37,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프로파일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프로파일링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2918
· 쪽수 : 665쪽
· 출판일 : 2009-01-20

목차

제1장 서 론 19

제2장 포스트모던 시대와 각국의 연쇄살인범 27

1. 포스트모던 시대의 연쇄살인범 28
2. 연쇄살인범들은 누구인가? 35
3. 연쇄살인범과 피해자 간의 초기 관계 38
4. 연쇄살인의 유행: 살인의 통계 41
5. 연쇄살인범의 유행을 만드는 배경 50
6. 이전의 연쇄살인범 ‘유행’ 56
7. 연쇄살인사건의 전 세계적 출현 59
1) 영국 사례 60
2) 프랑스 사례 62
3) 이탈리아 사례 64
4) 벨기에 사례 64
5) 제3세계 국가 사례 66
6) 인도 사례 68
7) 중국 사례 69
8) 한국 사례 70
8. 연쇄살인의 동향: 1970년~2000년 72
9. 세기의 연쇄살인범들 75
1)전형적인 연쇄살인범 테드 번디 75
2)존 웨인 게이시 93
3)제프리 다머 96
4)게리 하이드닉 100
5)‘샘의 아들’로 불린 연쇄살인범 데이비드 버코위츠 103
6)‘보스턴 교살자’로 알려진 앨버트 드살보 107
7)어머니와 할머니를 살해한 에드먼드 켐퍼 113
8)러시아의 연쇄살인범 안드리 치카틸로 117
9)미국의 연쇄살인 여성 범죄자 에일린 워너스 124
10)‘전형적인’ 연쇄살인범 게리 리지웨이: ‘그린 리버 킬러’ 129
11)워싱턴 시 근교 저격범들: 벨트웨이 스나이퍼스(존 앨런무하마드와 존 리 말보) 132

제3장 범죄자 유형 분석기법의 개념과 역사139

1. 범죄자 유형 분석기법의 개념과 종류 140
2. 프로파일링의 종류 146
1) 심리학적 프로파일링 146
2) 범죄자 프로파일링 148
3) 지리학적 프로파일링 148
4) 심리학적 부검 혹은 모호한 사망사건 분석 149
5) 인종적 프로파일링 150
3.행동적 프로파일링의 역사: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152
1) 19세기까지 유럽 상황 152
2) 영국의 잭 더 리퍼 사건 153
3) 추리 소설의 주인공 셜록 홈스 154
4) 제2차 세계대전 중 히틀러에 대한 프로파일링 154
5) 뉴욕의 ‘미치광이 폭파범’ 사건에 대한 프로파일링 155
6) 보스턴 교살자 159
7) 피어스 브룩스와 관련 사건들 160
8) FBI를 중심으로 한 프로파일링의 발전 160
4. 프로파일링의 목적과 유용성 171
5. 범죄자 유형 분석기법의 효용성 검증 사례 175
1) 미국에서의 검증 사례 175
2) 영국에서의 검증 사례 180
6. 프로파일링에 필요한 사항과 적합한 범죄 유형 182
1) 프로파일링에 필요한 사항 182
2) 고려되어야 할 행동적 특성 184
3)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적합한 범죄 유형 187
4) 훌륭한 프로파일러의 특징 188

제4장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방법론과 전략191

1. 서 언 192
2.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대한 연역적, 귀납적 접근 193
1) 귀납적 프로파일링 및 병리 증후 194
2) 연역적 범죄자 프로파일링 198
3. FBI를 중심으로 한 범행현장분석 모형 203
1) 현장분석 모형 및 프로그램 개요 203
2) FBI의 현장분석 모형에 의거한 프로파일링 절차 205
3) FBI프로파일 시스템의 쟁점과 문제점 223
4. 캔터의 수사심리학 모형 229
1) 대인 관계의 일관성 232
2) 시간과 장소의 중요성 232
3) 범죄자 특성 232
4) 범죄 경력 233
5) 법과학적 인식 233
5. 터비의 행동증거분석(BEA) 235
1) 1단계: 법과학적 분석 235
2) 2단계: 피해자학적 분석 236
3) 3단계: 범행현장분석 237
4) 4단계: 범죄자 특성분석 237
6. 더글러스의 방법론 239
7. 연쇄살인사건의 해결과 일반 경찰의 역할 242
8. 소 결 243

제5장 성범죄와 프로파일링245

1. 폭력의 근원 246
1) 개인적 소질 246
2) 무기력한 가정 248
3) 학대받은 아이들 249
4) 진화적 요소와 원초적 본능 250
5) 폭력에의 노출 251
6) 약물 남용 252
7) 총기의 이용 가능성 253
8) 문화적 가치들 253
2. 불법적 성행위 문제와 분류 256
1) 성(性)문제에 대한 이해 256
2) 불법적 성행위에 대한 측면 258
3) 성행위 분류하기 261
3. 강간범죄의 이해 262
1) 강간의 개념 262
2) 강간의 원인 264
3) 강간의 역사와 군대 267
4) 강간범죄의 유형 269
5) 강간범죄의 실태: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273
6) 강간범죄자에 대한 프로파일 276
4. 성(性)과 연쇄살인 280
1) 소아 성기호증 범죄자의 특징 280
2) 성범죄 관련 특이 행동 유형 285
5. 성적 도착(性的 倒錯)과 연쇄살인 287
1) 성적 가학증(새디즘) 291
2) 지배욕 294
3) 페티시즘 296
4) 복장(의상)도착증 297
5) 뱀파이어리즘 298
6) 카니발리즘 301
7) 시체성애증 304
8) 소아성애증(小兒性愛症 혹은 小兒性嗜好症) 307
9) 노인성애증 312
10) 세계 최악의 성도착자 316

제6장 사이코패스와 강력범죄319

1. 사이코패스와 반사회적 인격장애에 대한 용어의 변천 320
2.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특징과 실태 324
1)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특징 324
2)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실태 326
3)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원인 326
4)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사례 329
3. 사이코패스의 인격적 특징과 실태 333
1) 사이코패스와 헤어 교수의 역할 333
2) 사이코패스의 특징 334
3) 사이코패스의 실태 336
4) 사이코패스의 사례 336 4. 사이코패스에 대한 심리학적 측정과 변수 339
1) 사이코패시에 관한 심리학적 측정 339
2) 사이코패시의 핵심 변수 341
5. 사이코패스에 관한 행동적 설명 342
6. 사이코패스 범죄자와 범행 패턴 347
1) 사이코패스 범죄자 347
2) 사이코패스 범죄자 범행 패턴 348
3) 사이코패스와 상습범 350
7. 사이코패스와 반사회적 인격장애 증상 간의 논쟁 351

제7장 연쇄살인범의 일반적 특징과 성장 배경 353

1. FBI에서 수행한 연쇄살인범 연구 배경 354
2. 미국 연쇄살인 범죄자의 일반적 특징 355
1) 미국의 일반 사례 355
2) FBI 프로젝트에서 분석된 특징 356
3. 연쇄살인범의 성장 배경 358
1) 가정적 배경과 어머니 358
2) 범죄자의 다양한 어린 시절 363
4. 폭력성 유발 요인 369
1) 생화학적 영향 369
2) 약물 남용 370
5. 폭력에 대한 환상과 살인 371
1) 공격적 환상의 발현 371
2) 환상의 역할 372
3) 살인의 실행 376
6. 범인의 성취도 377
7. 연쇄살인범의 태도와 신념 상태 378
8. 성적 학대 경험과 강력범죄 381
1) 성적 학대 경험과 살인범 381
2) 레슬러 등의 관련 연구 동향 382
3) 연구 결과와 쟁점 387

제8장 연쇄살인범 영역에서 프로파일링393
1. 연쇄살인범에 대한 일반적 분류 394
1) 대량(집단)살인범 395
2) 격분/광포/흥분형 살인범 400
3) 연쇄살인범 401
2. FBI의 연쇄살인범에 대한 분류법 410
1) FBI의 연쇄살인범 분류 배경 410
2) 범죄 분류 매뉴얼상의 분류 412
3) 연쇄살인범에 대한 FBI의 이분법: 조직적, 비조직적 범죄자 413
4) FBI의 이분법에 대한 논란 427
3. 홈스 분류학 429
1) 망상가형(幻想型) 연쇄살인범 431
2) 임무 지향형 혹은 사명형 연쇄살인범 432
3) 쾌락추구형 연쇄살인범 434
4) 권력/통제형 연쇄살인범 439
5) 추가된 살인범 유형 441
4. 히키의 접근 443
5. 케펠과 월터의 접근 444
1) 무력 행사(고집)형 강간살인범 유형 446
2) 무력 확신형 강간살인범 유형 448
3) 분노와 복수 지향적 강간살인범 유형 450
4) 분노와 흥분 지향적 강간살인범 유형 451
5) 케펠의 분류 방식에 의거한 범죄 분포 453
6. 여성 연쇄살인범 453
1) 여성 연쇄살인범의 일반적 경향 454
2) 여성 연쇄살인범에 대한 구체적 유형 분류 456
7. 다른 분류 및 범죄자 유형 468

제9장 각국의 범죄자 프로파일링 활용 실태469

1. 미국의 범죄자 프로파일링 활용 실태 470
1) FBI의 프로파일링 활용 부서 470
2) FBI 행동과학부 인턴십 연구 과정 481
3) 뉴욕 존 제이(John Jay) 형사사법대학 사례 482
2. 캐나다의 ViCLAS와 프로파일링 483
1) 폭력범죄 연계분석 시스템 483
2) 캐나다 밴쿠버경찰청 사례 493
3) 최근 활용중인 지리학적 프로파일링 497
3. 독일 연방범죄수사청(BKA)과 ViCLAS 활용 실태 499
1) ViCLAS의 소개 499
2) 독일 경찰의 프로파일링 활용 실태 501
4. 영국 경찰의 프로파일링 활용 실태 501
1) 대표적 연쇄살인사건 사례: 프로파일링에 대한 관심 502
2) 잭 더 리퍼 503
3) 피터 서트클리프 506
3) 영국의 ViCLAS 활용 실태 508
5. 스위스의 프로파일링 활용 실태 509
6. 기타 유럽 국가들의 프로파일링 활용 실태 510
7. 한국의 범죄자 프로파일링 활용 및 연구 실태 511
1) 경찰청 511
2)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범죄심리과 514
3) 서울지방경찰청 행동과학팀 515
4) 학계 동향 517

제10장 지리학적 프로파일링519

1. 지리학적 프로파일링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520
1) 지리학적 프로파일링 기법의 개념 520
2) 이론적 배경 523
3) 환경범죄학과 지리학적 프로파일링 524
4) 범죄자의 행동과 지리적 공간 527
2. 지리학적 프로파일링 기법의 발전 과정 531
1) 지리학적 프로파일링 기법의 개발 531
2) 로스모의 지리학적 프로파일링에 대한 배경 533
3) 로스모의 연쇄범죄자 분류 동향 536
4) 지리학적 프로파일링 결과와 수사 절차 537
3. 지리학적 프로파일링의 다양한 기법 539
1) 로스모 모형 539
2) 캔터 모형 540
3) 레빈 모형 541
4) 지리학적 프로파일링에 대한 비판 543
4. 지리학적 프로파일링 기법 활용 사례 544
1) 캐나다의 클리퍼드 올슨 사건 545
2) 기타 사례 548
5. 지리학적 프로파일링을 통한 한국의 연쇄 강력범죄 분석 550
1) 분석 대상 사건과 분석모형 550
2) 조사 결과의 분석 552

제11장 연쇄 강력범죄의 공간적 특성 분석559

1. 서 언 560
2. 범죄자의 공간 특성 분석에 관한 선행 연구 561
1) 국내의 연구 동향 561
2) 외국의 관련 연구 동향 562
3. 고드윈과 캔터의 범죄공간 분석 사례 574
1) 연구 전제 설정 및 진행 574
2) 분석 결과 576
4. 미국의 테드 번디 사건에 대한 공간분석 사례 580
1) 테드 번디의 범행 장소 및 이동 장소 분석 581
2) 워싱턴 및 오리건 주 지역에서의 공간적 특성 581
3) 유타 및 콜로라도 주 지역에서의 공간적 특성 584
4) 플로리다 주 지역에서의 공간적 특성 584
5. 캐나다의 돼지농장 연쇄살인사건 분석 사례 586
1) 밴쿠버 다운타운에서 잇따라 실종된 여성들 587
2) 로버트 픽튼에 대한 경찰 수사 588
3) 계속적으로 발굴되는 시체들과 연쇄살인 혐의 589
4) 인류학 전문가들을 동원한 시체 발굴과 법과학적 분석 592
5) 공판 과정에서 드러난 범행 수법 593
6) 연쇄살인범에 대한 재판 진행 595
7) 공간적 특성 597
6. 한국의 연쇄살인사건 공간분석 사례 597
1) 화성연쇄살인사건 597
2) 정두영사건 607
3) 유영철사건 611
4) 서울 서남부 지역 연쇄살인사건: 정남규사건 617
제12장 연쇄살인범으로부터 살아남기623
1. 연쇄살인범을 피하기 624
2. 당신의 직관(直觀)을 믿어라 626
3. 다른 사람 자동차에 절대 타지 마라 627
4. 표리부동한 경고 사인을 인식하면서 낯선 사람을 대하라 628
5. 절망적인 조치들 631
6. 도망가기 633

참고 문헌/641
찾아보기/656

저자소개

임준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경찰사법대학장 겸 경찰행정학부 교수(법학박사, Dr. jur.) 서울보성고등학교졸업 국립경찰대학교 법학과 졸업(5기, 법학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사법행정전공, 행정학석사) 동국대학교 법무대학원(미국법전공, 법학석사) 독일 Freiburg 법과대학 법학박사(Dr. jur. Polizeiwissenschaft u. Kriminologie) 연세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형사법 전공) Penn State Law School LLM(미국법학석사) -University of Toronto Faculty of Law Visiting Scholar(2017) -School of Criminology at Simon Fraser University in Canada Visiting Scholar(2006) -Justice Institute of British Columbia in Canada Visiting Scholar(2003) -Sam Houston University at Texas in USA Visiting Scholar(2001) -Max-Planck Institute for Public and International Law at Heidelberg in Germany Visiting Scholar(2002) [경력 ] 연세대.고려대 법무대학원 및 행정대학원 외래교수 경희대법과대학 겸임교수 대통령소속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자치제도분과위원회 자문위원(2014) 대통령소속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 자치경찰 소위원회 실무위원(2012) 국무총리실 정책평가위원회 전문위원 한국스마트치안학회장(2020~현재) 한국국가정보학회 부회장(2021~현재) 한국사이버안보법정책학회 부회장(2018~현재) 한국경찰연구학회 회장 역임(2008~2009)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 및 연구위원 아시아경찰학회(AAPS) 이사(Committee Member) 한국형사정책학회 이사 한국공안행정학회 이사 한국형사정책학회 감사(2010) 국회입법고시, 행정고시 및 5급 승진시험 출제위원 경찰청 뺷경찰 60년사뺸 집필위원, 경찰청정보국 자문위원 삼성화재 보험범죄방지자문위원 수사전문화과정수료(한국) Forensic Behavioral Science, Crime Scene Investigation, Geographic Profiling in BCIT, Canada [저서] 뺷독일형사사법론뺸, 뺷법과학과 범죄수사론뺸, 뺷비교경호제도론뺸, 뺷프로파일링뺸, 뺷범죄통제 론뺸, 뺷범죄예방론뺸, 뺷경찰행정학(9인 공저)뺸, 뺷비교수사제도론(5인 공저)뺸, 뺷경찰학개론(9 인 공저)뺸, 뺷비교경찰제도론(9인 공저)뺸, 뺷탐정학개론(2인 공역)뺸 [연구 논문] -미국 등 형사소송법상 영장발부절차의 시사점 -G8국가 경호시스템 분석을 통한 경찰경호 발전 방안 연구 -한국 경호경찰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 정보기관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동서독 통일 후 동독경찰의 민주화 과정 -뉴욕경찰의 범죄통제전략에 관한 고찰 -독일 경찰제도와 수사구조에 관한 연구 -각국의 유치장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캐나다 경찰에 관한 연구 -독일 민간경비산업의 현황 및 과제 -21세기 미래지향적 교통경찰 조직에 관한 연구 -각국 경찰의 수사비 책정에 관한 연구 -선진 외국 경찰의 치안활동 사례 및 적용 방안 -강력범죄에서의 범인상 추정기법(Criminal Profiling) 도입에 관한 연구 -연쇄살인사건의 공간적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지리학적 프로파일 기법을 이용한 연쇄강력범죄수사 -과학수사 기반 구축을 위한 법과학교육 활성화 방안 -지리학적 프로파일링을 통한 연쇄살인사건분석 -효율적 범죄대책을 위한 바람직한 검찰, 경찰 관계 구상 -집회시위 시 발생하는 소음의 합리적 규제기준에 관한 연구 -파출소제도 개선과 순찰근무 효과성 강화 방안 연구 -The 12th International Society of Criminology(1998). “Crime Reporting Behaviour in Korea and Germany -A comparative Study in German and Korean Police.” -The 1st AAPS Annual Conference(2000) in Seoul, Korea -The 3th AAPS Annual Conference(2002) in Hong Kong -The 14th International Society of Criminology(2005). “Better Policing in Crime Prevention through the Police Training,” Philadelphia, USA -The 4th AAPS Annual Conference(2003). “Comparative Study on Security Guard Training Program between Korea and Germany,” Seoul, Korea -DAAD Seminar 2003 in Seoul, “The Role of Private Security for the Internal Security” -The 5th AAPS Annual Conference(2004) in Texas, USA -The 6th AAPS Annual Conference(2005) in China -The 14th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riminology and Crime Analysis(ECCA) Symposium July 25-28, 2006, Vancouver, Canada -The European Society of Criminology Conference(Aug. 26-29, 2006), Tubingen, Germany -The 8th AAPS Annual Conference(2007) in Seoul, Korea “Investigate Serial Offender Cases Through the Geographic Profiling Method,” Seoul, Korea -The 15th International Society of Criminology(July 2008), “Serial offender profiling and their spatial characteristics,” Barcelona, Spain -The 10th AAPS Annual Conference(2009) in Taiwan -The 11th AAPS Annual Conference(2010) in Korea [외국형사사법기관 연수] -미국 Sam Houston State University in Texas Criminal Justice College Visiting Scholar -미국 뉴욕시 경찰청(NYPD) 실무 연수 휴스턴경찰청(HPD in Texas) Harris County Sheriff's Department(Texas) 연수 시애틀경찰청(SPD), 워싱턴주 검찰청(WDA) HITS부 연수 Pennsylvania Center County Court State College Police Station -영국 내무부, Bramshill Police College, New Scotland Yard 견학 -독일연방내무성, 독일연방수사청(BKA)에서 실무 연수 -연방국경수비대(BGS) 동?서부지역 사령부 연수 바덴뷔르템베르크주 경찰대학 및 주(州)경찰학교, 작센주 경찰대학 프라이부르크지방경찰청, 경찰서에서 실무 연수 메클렌부르크-포포메른주 경찰대학/경찰학교, 노이브란덴부르크경찰서 -베를린 경찰청 방문: 동?서독 경찰의 통합과정 연구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MPI, 국제법 및 공법연구소)에서 연구 슈파이어 및 하이델베르크 경찰서 견학 -스위스 바젤경찰청(Polizei-Baselland), 베른경찰청(Kantonspolizei-Bern) 실무 연수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법무연수원(JIBC) 및 경찰학교 Visiting Schol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