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새 인사행정론

새 인사행정론

(개정8판)

강성철 (지은이)
대영문화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새 인사행정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새 인사행정론 (개정8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4707
· 쪽수 : 620쪽
· 출판일 : 2014-02-15

목차

제1편 인사행정의 의의

제1장 인사행정의 의의와 특징 21
제1절 인사행정의 개념 21
1. 인사행정의 개념과 범위/21
2. 인사행정과 인사관리/24
제2절 현대 인사행정의 특징 26

제2장 인사행정 체계 31
제1절 인사행정의 내적 체계: 인사행정의 기능 31
제2절 인사행정의 외적 체계: 인사행정과 환경과의 관계 34
제3절 이 책의 편제 35


제2편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제3장 인사행정제도의 발달 39
제1절 직업공무원제도 39
1. 유럽과 미국에서 인사행정의 발달/39
2. 직업공무원제의 의의/42
3. 직업공무원제의 수립 요건/44
4. 직업공무원제의 장?단점/44
5. 최근 경향/45
제2절 정실제와 엽관제 46
1. 발달 배경/46
2. 정실제와 엽관제의 의의/50
3. 엽관제의 효과/52
4. 최근 경향/53
제3절 실적제 54
1. 발달 배경/54
2. 의의/57
3. 효과/61
4. 최근 경향/62
제4절 대표관료제 63
1. 발달 배경/63
2. 의의/65
3. 효과/68
4. 한국에의 적용 가능성/70
제5절 인사행정과 가치 갈등 74
1. 관리자의 지도력/75
2. 행정능률성/76
3. 관료제의 국민대표성/77
4. 공무원의 개인적 권리/78

제4장 한국 인사행정제도의 변천 83
제1절 한국 행정문화와 인사행정 83
제2절 한국 인사행정의 변천 86
1. 조선 시대/86
2. 일제 시대/89
3. 미군정 시대/92

제5장 인사기관 93
제1절 인사기관의 종류 93
제2절 중앙인사기관의 설립 목적과 조직 특성 94
1. 중앙인사기관의 설립목적/94
2. 중앙인사기관의 조직 특성/95
제3절 중앙인사기관의 조직 형태 100
1. 독립합의형: 위원회형(commission-type)/101
2. 비독립단독형: 집행부형(부처형: executive-type)/103
3. 절충형/104
제4절 중앙인사기관의 기능 105
1. 중앙인사기관의 기능/105
2. 중앙인사기관의 조직 특성과 기능과의 관계/108
제5절 주요 국가의 중앙인사기관 109
1. 미국의 인사행정 변천과 중앙인사기관/110
2. 영국의 중앙인사기관/116
3. 일본의 중앙인사기관/119
제6절 한국의 중앙인사기관 123
1. 중앙인사기관의 변천/123
2. 중앙인사기관의 조직과 기능/130
3. 중앙인사기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32
제7절 부처 인사기관 135
1. 중앙인사기관에 대한 도전/135
2. 부처 인사기관의 조직상의 지위/137
3. 부처 인사기관의 조직 형태/137
4. 한국 부처 인사기관의 특성과 발전 방안/139
제8절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인사기관 141
1. 지방자치단체의 장/141
2. 인사위원회의 구성과 기능/142
3. 소청심사위원회의 구성과 기능/152


제3편 공직의 분류 체계

제6장 직위분류제와 계급제 157
제1절 직위분류제 157
1. 직위분류제의 의의/157
2. 직위분류제의 발전과 특징/158
3. 직위분류제의 수립 절차/159
4. 직위분류제의 장?단점/187
5. 한국 정부의 직무분석/189
제2절 계급제 194
1. 계급제의 의의/194
2. 계급제의 특징/195
3. 주요 국가의 계급제/198
4. 계급제의 장?단점/201
제3절 직위분류제와 계급제의 특성 비교 203
1. 조직계획/203
2. 채용과 시험/204
3. 보직관리/204
4. 인사 이동/204
5. 보수/205
6. 교육훈련/205
7. 신분 보장/205
8. 행정상의 조정/206
제4절 직위분류제와 계급제의 조화: 미국과 영국의 경험 206
1. 미국의 경험/207
2. 영국의 경험/211

제7장 공무원의 구분 체계 215
제1절 공무원의 구분 215
1. 임용 주체에 의한 구분/215
2. 직무나 직위의 성격에 의한 구분/216
3. 근무 시간에 의한 구분/217
4. 임용 형태에 의한 구분/217
5. 보수표나 보수 관련법에 의한 구분/218
6. 근무지에 의한 구분/218
제2절 한국 공무원의 구분 219
1. 임용 주체에 의한 구분: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219
2. 직무?직위의 성격에 의한 구분: 경력직 공무원과 특수경력직 공무원/220
3. 근무 시간에 의한 구분: 상근공무원과 시간선택제 공무원/229
4. 임용 형태에 의한 구분: 정규직 공무원과 임기제 공무원/230
제3절 고위공무원단 232
1. 고위공무원단의 구성/232
2. 고위공무원단으로의 신규 진입/233
3. 고위공무원단의 인사관리/236
4. 고위공무원단의 성과와 향후 과제/241
제4절 외국인의 공무원 채용 243

제8장 공직의 개방과 인사 교류 245
제1절 공직의 개방 245
1. 개방형/245
2. 폐쇄형/246
3. 인사행정의 현실: 두 제도의 보완/247
4. 한국의 개방형 임용/247
제2절 인사 교류 251
1. 교류형/251
2. 비교류형/252
3. 인사행정의 현실: 두 제도의 보완/252
4. 한국의 인사 교류/253


제4편 인적 자원의 전략적 관리

제9장 인적자원계획 261
제1절 인적자원계획의 의의 261
제2절 인적자원계획의 중요성 262
제3절 인적자원계획 과정 263
1. 인적 자원 수요 예측 단계/264
2. 인적 자원 공급 대안 결정 단계/267
3. 시행 단계/268
4. 평가 단계/268

제10장 임용 269
제1절 임용의 의의 및 유형 269
1. 임용의 의의/269
2. 임용의 유형/270
제2절 외부임용(신규채용) 272
1. 외부임용의 의의 및 유형/272
2. 모집/276
3. 채용시험/284
4. 채용 후보자의 등록 및 채용후보자명부 작성/292
5. 임용 추천/292
6. 시보임용/294
7. 임명 및 보직/295
제3절 내부임용 295
1. 내부임용의 의의 및 유형/295
2. 수직적 이동/295
3. 수평적 이동/301
4. 해직 및 복직/304
5. 퇴직관리/308

제11장 공무원의 경력개발제도 312
제1절 경력개발의 개념과 목적 312
제2절 경력개발의 단계 314
제3절 경력개발의 원칙 315
제4절 경력개발제도의 한계와 극복 방안 317

제12장 공무원 교육훈련 319
제1절 교육훈련의 의의 319
1. 교육훈련의 개념/319
2. 교육훈련과 다른 인사 활동과의 관계 및 중요성/320
3. 역량기반 교육훈련(CBC)의 개념 및 의의/320
제2절 교육훈련의 종류 322
1. 적응훈련/322
2. 정부 고유 업무 담당자 훈련/323
3. 일반 재직자훈련/323
4. 감독자훈련/324
5. 관리자훈련/324
6. 윤리교육훈련/325
제3절 교육훈련 업무의 편성과 운영 325
1. 교육훈련 담당기관의 선정/326
2. 교육훈련 수요조사/327
3. 교수 요원의 선정/329
4. 교과 편성 및 훈련 기간/330
5. 교육훈련의 방법/330
6. 교육훈련에 대한 저항의 해결/336
7. 교육훈련의 평가 및 활용/338
제4절 한국의 공무원 교육훈련 341
1. 교육훈련의 연혁/341
2. 교육훈련 체계/342
3. 교육훈련의 종류와 내용/343
4. 상시 학습체제 구축/347
5. 한국 공무원 교육훈련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349

제13장 공무원 성과관리제도 354
제1절 성과관리제도의 개요 354
1. 성과관리제도의 의의/354
2. 성과관리제도의 현황/355
제2절 근무성적 평정 355
1. 근무성적 평정의 의의/355
2. 근무성적 평정의 용도/356
3. 근무성적 평정의 유형/358
4. 근무성적 평정제도의 운영/370
5. 근무성적 평정상의 오류/378
6. 한국의 근무성적 평정제도/381
제3절 경력평정 399
1. 경력평정의 의의/399
2. 경력평정제도/399
제4절 가점평정 402
1. 가점평정의 의의/402
2. 가점평정의 종류/402
제5절 승진후보자명부의 작성 404
1. 승진후보자명부의 의의/404
2. 승진후보자명부 작성 및 조정/404
3. 승진후보자명부 효력 및 공개/406
제6절 성과관리카드제도 406
1. 성과관리카드제도의 의의/406
2. 성과관리카드제도의 운영 현황/407
3. 성과관리카드제도의 내용/407
4. 성과관리카드제도의 활용 방안/409

제14장 사기와 동기부여 411
제1절 사기의 의의 411
1. 사기의 정의/411
2. 사기와 동기부여/413
3. 사기조사/415
제2절 동기부여이론 416
1. 내용이론/417
2. 과정이론/428
제3절 사기관리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435
1. 사기의 효과와 저해 요인/436
2. 한국 공무원의 공직생활 만족과 불만/437
3. 공무원의 사기 앙양책/439
4. 제안제도와 고충처리제도/442
5. 기타 사기관리 개선 방향/446

제15장 보수와 연금제도 450
제1절 보수 450
1. 보수의 의의/450
2. 공무원 보수의 특성과 보수제도 운영/453
3. 기본급에 대한 이론적 분류/456
4. 보수 수준 관리/466
5. 한국 공무원의 보수제도/470
6. 호봉 획정 및 승급/475
7. 현행 공무원 보수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477
제2절 연금 482
1. 연금의 의미와 목적/482
2. 한국 공무원 연금제도의 연혁과 현황/484
3. 연금 적용 대상자/486
4. 연금재정의 확보와 관리/489
5. 연금급여의 종류/491
6. 연금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493
7. 지속적인 제도 개선과 관리혁신/497


제5편 공무원의 행동규범

제16장 행정윤리와 공무원 부패 503
제1절 행정윤리 503
1. 행정윤리의 의의/503
2. 행정윤리의 내용/505
3. 행정윤리의 저해 요인/511
4. 행정윤리의 제고 방안/512
제2절 공무원의 부정부패 515
1. 부패의 의의/515
2. 부패의 유형/517
3. 부패의 원인과 대책/519
4. 한국 정부의 부패 척결 노력/522

제17장 공무원의 근무 규율 525
제1절 공무원의 충성 525
1. 충성의 개념/525
2. 충성과 인권/526
3. 충성심사/527
제2절 공무원의 정치 활동과 정치적 중립 528
1. 정치적 중립의 의의/528
2. 정치적 중립의 필요성/529
3. 정치적 중립의 내용/530
4. 정치적 중립에 대한 비판과 한계/531
5. 정치적 중립의 확립 요건/533

제18장 공무원노동조합 536
제1절 공무원노동조합의 의의 536
제2절 공무원노동조합의 특성 537
제3절 공무원노동조합의 효용 538
제4절 공무원노동조합의 활동 내용 541
1. 공무원노동조합의 구성(단결권)/541
2. 공무원노동조합의 단체교섭/544
3. 공무원노동조합의 단체행동/544
제5절 한국의 공무원노동조합 활동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 546
제19장 공무원의 신분 보장과 징계 550
제1절 공무원의 신분 보장 550
1. 신분 보장의 의의와 필요성/550
2. 신분 보장의 한계/551
3. 한국 공무원의 신분보장제도와 개선 방안/551
제2절 공무원의 징계제도 552
1. 징계의 의의/552
2. 징계의 사유/553
3. 징계 처분의 종류/553
4. 징계기관 및 절차/555
5. 징계제도 운영상의 유의점/556
제3절 소청심사제도 558
1. 소청심사제도의 의의/558
2. 소청심사기관/559
3. 소청심사 절차/559
4. 소청심사제도 운영의 문제점/560


제6편 한국 인사행정의 최근 경향

제20장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 565
제1절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 도입의 의의 565
제2절 역량 및 역량 관련 개념들의 정의와 쟁점 567
1. 역량의 개념과 속성/567
2. 역량 관련 개념들/570
3. 역량 개념과 관련한 중요한 쟁점들/576
제3절 선행 연구와 컨설팅 사례의 경향 581
1. 역량기반 시스템에 관한 연구와 컨설팅 사례의 경향/581
2. 국내 학계/실무계의 연구와 컨설팅 사례를 통해 본 쟁점/583
제4절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의 개선 방향 587
1. 인적자원관리 분야별 역량 모델의 차별화/587
2. 조직/직무 적합성의 확보: 수요자 중심의 역량기반인적자원관리/589

참고 문헌/590
찾아보기/610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