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2505
· 쪽수 : 633쪽
· 출판일 : 2007-08-25
목차
PART_Ⅰ인사행정의 의의
제1장 인사행정의 의의 23
제1절 인사행정의 의의 23
1. 인사행정의 개념/23
2. 인사행정과 인사관리/25
제2절 현대 인사행정의 특징 27
제2장 인사행정 체계 31
제1절 인사행정의 내적 체계: 인사행정의 기능 31
제2절 인사행정의 외적 체계: 인사행정과 환경과의 관계 34
제3절 이 책의 편제 35
PART_Ⅱ인사행정의 변천
제3장 인사행정의 발달 39
제1절 직업공무원제도 39
1. 발달 과정/39
2. 직업공무원제의 의의/41
3. 직업공무원제의 수립 요건/43
4. 직업공무원제의 장·단점/44
5. 최근 경향/45
제2절 엽관주의 46
1. 발달 배경/46
2. 의 의/49
3. 효 과/51
4. 최근 경향/52
제3절 실적주의 53
1. 발달 배경/53
2. 의 의/57
3. 효 과/60
4. 최근 경향/62
제4절 대표관료제 63
1. 발달 배경/63
2. 의 의/65
3. 효 과/68
4. 한국에의 적용 가능성/71
제5절 인사행정과 가치 갈등 75
1. 관리자의 지도력/76
2. 행정 능률성/77
3. 관료제의 국민 대표성/78
4. 개인적 권리/79
제4장 한국 인사행정의 역사적 변천 82
제1절 한국 행정문화와 인사행정 83
제2절 한국 인사행정의 변천 85
1. 조선 시대/85
2. 일제 시대/89
3. 미군정 시대/92
PART_Ⅲ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제5장 인사행정의 관계 법규 97
제1절 인사행정에 관한 관계 법규의 규율 형태 97
제2절 한국 인사행정 관계 법규의 규율 형태 100
제6장 인사행정기관 102
제1절 중앙인사기관 103
1. 중앙인사기관의 조직 형태/104
2. 중앙인사기관의 기능/109
제2절 주요 국가의 중앙인사기관 112
1. 미 국/113
2. 영 국/118
3. 일 본/122
4. 프랑스/124
제3절 한국의 중앙인사기관 126
1. 중앙인사기관의 변천/126
2. 중앙인사기관의 조직과 기능/132
3. 중앙인사기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35
제4절 부처 인사기관 139
1. 중앙인사기관에 대한 도전/139
2. 부처 인사기관의 조직상의 지위/141
3. 부처 인사기관의 조직 형태/142
4. 한국 부처 인사기관의 특성과 발전 방안/144
제5절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인사기관 145
제7장 공직의 분류 151
제1절 공무원의 종류 151
1. 경력직 공무원과 특수경력직 공무원/152
2.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158
3. 고위공무원단/160
제2절 인사 체계의 유형 166
1. 개방형과 폐쇄형/166
2. 교류형과 비교류형/171
제3절 공직 분류 체계의 형성 177
1. 직위분류제/178
2. 계급제/216
3. 직위분류제와 계급제의 특성 비교/223
4. 직위분류제와 계급제의 조화: 영미의 교훈/226
5. 한국 정부의 공직 분류 체계/234
PART_Ⅳ인적 자원의 전략적 관리
제8장 인력계획 253
제1절 인력계획의 의의 253
제2절 인력계획의 중요성 254
제3절 인력계획 과정 255
1. 인력 수요 예측 단계/256
2. 인력 공급 대안 결정 단계/259
3. 시행 단계/260
4. 평가 단계/260
제4절 e-사람(전자인사관리 시스템) 261
1. e-사람의 의의와 특징/261
2. e-사람의 구성 및 활용/262
제9장 임 용 265
제1절 임용의 의의 및 유형 265
1. 임용의 의의/265
2. 임용의 유형/266
제2절 외부임용(신규채용) 268
1. 외부임용의 의의 및 유형/268
2. 모 집/272
3. 채용시험/280
4. 채용 후보자의 등록 및 채용후보자명부 작성/289
5. 임용 추천/290
6. 시보 임용/291
7. 임명 및 보직/292
제3절 내부임용 292
1. 내부임용의 의의 및 유형/292
2. 수직적 이동/293
3. 수평적 이동/298
4. 해직 및 복직/302
5. 퇴직관리/305 제10장 공무원의 경력개발 제도 310
제1절 경력개발의 개념과 목적 311
제2절 경력개발의 단계 312
제3절 경력개발의 원칙 314
제4절 경력개발 제도의 한계와 극복 방안 315
제11장 공무원 교육훈련 318
제1절 교육훈련의 의의 318
1. 교육훈련의 정의/318
2. 교육훈련의 필요성/319
3. 교육훈련과 다른 인사 활동과의 관계 및 중요성/319
제2절 교육훈련의 종류 321
1. 적응 훈련/321
2. 정부 고유 업무 담당자 훈련/321
3. 일반 재직자 훈련/322
4. 감독자 훈련/322
5. 관리자 훈련/323
6. 윤리교육 훈련/323
제3절 교육훈련 업무의 편성과 운영 324
1. 교육훈련 담당기관의 선정/324
2. 교육훈련 수요 조사/326
3. 교수 요원의 선정/328
4. 교과 편성 및 훈련 기간/329
5. 교육훈련의 방법/329
6. 교육훈련에 대한 저항의 해결/336
7. 교육훈련의 평가 및 활용/338
제4절 역량기반 교육훈련 341
1. 역량기반 교육훈련(CBC)의 의의/341
2. 역량기반 교육훈련의 핵심 전제 및 기대 효과/342
3. 역량기반 교육훈련 체계 구축 과정/343
제5절 한국의 공무원 교육훈련 347
1. 교육훈련의 연혁/347
2. 교육훈련 체계/348
3. 교육훈련의 종류와 내용/349
4. 한국의 공무원 교육훈련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353
제12장 공무원 평정제도 359
제1절 근무성적 평정 359
1. 근무성적 평정의 의의/359
2. 근무성적 평정의 용도/360
3. 근무성적 평정의 유형/362
4. 근무성적 평정제도의 운영/374
5. 근무성적 평정상의 오류/383
6. 한국의 근무성적 평정제도/386
제2절 경력평정 400
1. 경력평정의 의의/400
2. 경력평정제도/400
제3절 가점평정 403
1. 가점평정의 의의/403
2. 가점평정의 종류/404
제4절 다면평가제도 405
1. 다면평가제도의 의의/405
2. 다면평가제도의 운영 현황/407
3. 다면평가제도 운영 절차 및 유의점/408
제5절 성과관리카드제도 410
1. 성과관리카드제도의 의의/410
2. 성과관리카드제도의 운영 현황/410
3. 성과관리카드제도의 내용/411
4. 성과관리카드제도의 활용 방안/412
제6절 한국의 공무원 평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413
1. 한국의 공무원 평정제도의 문제점/414
2. 한국의 공무원 평정제도 개선 방안/416
제13장 사기와 동기부여 419
제1절 사기의 의의 419
1. 사기의 정의/419
2. 사기와 동기부여/421
3. 사기조사/424
제2절 동기부여이론 425
1. 내용이론/426
2. 과정이론/438
제3절 사기관리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446
1. 사기의 효과와 저해 요인/446
2. 한국 공무원의 공직생활 만족과 불만/448
3. 공무원의 사기 앙양책/450
4. 제안제도와 고충처리제도/454
5. 기타 사기관리 개선 방향/457
제14장 보수와 연금제도 463
제1절 보 수 463
1. 서 론/463
2. 공무원 보수의 특성과 보수제도 운영/466
3. 기본급에 대한 이론적 분류/470
4. 보수 수준 관리/480
5. 한국 공무원의 보수제도/484
6. 호봉 획정 및 승급/489
7. 현행 공무원 보수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491
제2절 연 금 496
1. 연금의 의미와 목적/496
2. 한국 공무원 연금제도의 연혁과 현황/499
3. 연금 적용 대상자/502
4. 연금재정의 확보와 관리/503
5. 연금급여의 종류/507
6. 연금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507
7. 지속적인 제도 개선과 관리혁신/512
PART_Ⅴ공무원의 행동규범
제15장 행정윤리와 공무원 부패 519
제1절 행정윤리 519
1. 행정윤리의 의의/519
2. 행정윤리의 범주, 규범적 기준 및 내용/521
3. 행정윤리의 저해 요인/527
4. 행정윤리의 제고 방안/529
제2절 공무원의 부정부패 532
1. 부패의 의의/532
2. 부패의 유형/534
3. 부패의 원인과 대책/536
4. 한국 정부의 부패 척결 노력/540
제16장 공무원의 근무규율 543
제1절 공무원의 충성 543
1. 충성의 개념/543
2. 충성과 인권/544
3. 충성심사/545
제2절 공무원의 정치 활동과 정치적 중립 546
1. 정치적 중립의 의의/546
2. 정치적 중립의 필요성/547
3. 정치적 중립의 내용/547
4. 정치적 중립에 대한 비판과 한계/549
5. 정치적 중립의 확립 요건/551
제3절 공무원단체 552
1. 공무원단체의 의의/552
2. 공무원단체의 특성/553
3. 공무원단체의 효용/554
4. 단체활동의 내용/557
5. 우리 나라 공무원단체 활동의 문제점과 발전 방안/562
제17장 공무원의 신분 보장과 징계 566
제1절 공무원의 신분 보장 566
1. 신분 보장의 의의와 필요성/566
2. 신분 보장의 한계/567
3. 한국의 신분 보장제도와 개선 방안/568
제2절 공무원의 징계제도 569
1. 징계의 의의/569
2. 징계의 사유/569
3. 징계처분의 종류/570
4. 징계기관 및 절차/571
5. 징계제도 운영상의 유의점/572
제3절 소청심사제도 573
1. 소청심사제도의 의의/573
2. 소청심사기관/575
3. 소청심사 절차/575
PART_Ⅵ한국 인사행정의 현안과 과제
제18장 한국 인사행정의 현안과 과제 581
제1절 행정환경의 변화 581
제2절 한국 인사행정의 현안과 과제 585
1. 한국 인사행정의 특징과 문제점/585
2. 한국 인사행정의 개선 방향/589
부록: 일반직 공무원의 분류 체계 5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