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집합적 행동논리와 사회적 자본 담론

집합적 행동논리와 사회적 자본 담론

박종화 (지은이)
대영문화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25,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50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5,000원 -10% 1250원 21,250원 >

책 이미지

집합적 행동논리와 사회적 자본 담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집합적 행동논리와 사회적 자본 담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6447111
· 쪽수 : 413쪽
· 출판일 : 2018-08-20

목차

서 문/3


제1부 사회적 자본의 개념화


제1장 공공정책과 사회적 자본19

제1절 머리말19
제2절 정책자원으로서의 사회적 자본22
1. 사회적 배제의 위험성을 배려하는 정책/24
2. 인생-행로 전이를 지원하는 정책/25
3. 커뮤니티 개발정책/26
제3절 정책결과로서의 사회적 자본29
1. 수명기회의 향상/30
2. 보다 나은 거버넌스/30
3. 시장실패의 극복/32
4. 형평성의 개선/33
5. 외부성(externalities)의 관리/34
6. 쇠퇴의 저지/35
제4절 맺음말과 공공정책상의 함의36

제2장 사회적 자본의 의미42

제1절 머리말42
제2절 사회적 자본의 형태와 정의43
1. 사회적 자본의 형태/44
2. 사회적 자본의 개념화/45
제3절 집합적 행동의 딜레마47
1. 파당의 해악/47
2. 집합적 행동 딜레마의 원인/49
제4절 사회적 자본의 원천, 유형, 영향51
1. 사회적 자본의 원천/52
2. 사회적 자본의 유형/53
3. 사회적 자본의 영향/54
제5절 호혜성의 규범과 네트워크56
1. 호혜성의 규범/57
2. 집합적 행동 문제/58
3. 네트워크/60
제6절 맺음말63

제3장 집합적 행동의 논리69

제1절 머리말69
제2절 전통적 집합적 행동 이론71
1. 전통적 집합적 행동 이론의 전제/72
2. 공통이익과 개별이익/73
3. 무임승차의 유혹/74
제3절 제1세대 집합적 행동 이론75
1. 제1세대 집합적 행동 이론의 전제/76
2. 공통이익과 개별 인센티브/77
3. 제1세대 집합적 행동 이론의 한계/78
제4절 제2세대 집합적 행동 이론80
1. 집합적 행동의 편익과 한계/80
2. 집합적 행동에서 사회적 자본의 역할/82
3. 가상적 집합적 행동 상황/83
제5절 죄수의 딜레마 게임과 정책적 처방90
1. 죄수의 딜레마 게임/91
2. 정책적 처방/96
제6절 맺음말100


제2부 사회적 자본의 정책 적용


제4장 사회적 자본의 기능109

제1절 머리말109
제2절 사회적 자본의 긍정적 기능111
1. 교육과 어린이 행복/111
2. 안전한 동네/113
3. 경제적 번영/116
4. 건강과 행복/121
5. 민주주의/127
제3절 사회적 자본의 부정적 기능130
1. 정치적 부패/131
2. 네트워크 폐쇄/133
3. 집단사고/135
제4절 맺음말138

제5장 사회적 자본의 역기능성-RIS 차원의 해부144

제1절 머리말144
제2절 사회적 자본과 지역혁신체계(RIS)146
1. 사회적 자본/147
2. 지역혁신체계/149
3. 사회적 자본과 지역혁신체계의 관계/151
제3절 지역혁신체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역기능성154
1. 네트워크 폐쇄/154
2. 집단사고/157
3. 과잉동조/160
제4절 정책적 함의162
1. 구조적 차원/163
2. 관계적 차원/165
3. 인식적 차원/167
제5절 맺음말169

제6장 사회적 자본의 분포 불균등성176

제1절 머리말176
제2절 이론적 고찰177
1. 사회적 자본의 정의/178
2. 사회적 자본의 종류/180
3. 호혜성과 집합적 행동/181
제3절 사회적 자본의 잠재적 편익과 한계: 기존 분석결과의 요약183
1. 잠재적 편익/184
2. 잠재적 한계/185
제4절 사회적 자본의 분포 불균등성의 의미와 문제점187
1. 분포 불균등성의 의미/187
2. 분포 불균등성의 문제점/188
제5절 처방적 정책논리194
1. 참여적 거버넌스/194
2. 자발적 협력형 내적 조건의 창출/196
3. 공공재적 속성 고려/198
4. 새 형태의 공동체 역동성/200
제6절 맺음말203

제7장 사적 도시공간의 공적이용-사회적 근접성의 영향209

제1절 머리말209
제2절 이론적?제도적 고찰212
1. 도시재생 패러다임의 변화와 생활인프라/213
2. 근접성 개념의 다의성과 사회적 근접성/215
3. 생활밀착형 공공공간에서 사회적 근접성의 의미/217
제3절 사례의 분석219
1. 사례의 개요/220
2. 사례의 내용분석/223
3. 사회적 근접성의 영향과 그 한계/236
제4절 정책적 함의239
1. 조직 구조적 차원/239
2. 실행 관계적 차원/241
3. 성과 확산적 차원/244
제5절 맺음말 247


제3부 사회적 자본의 측정 이론과 경험


제8장 사회적 자본의 측정257

제1절 머리말257
제2절 사회적 자본의 정의와 형태258
1. 사회적 자본의 정의/259
2. 사회적 자본의 형태/263
제3절 사회적 자본의 측정상의 유의점과 지표270
1. 사회적 자본의 측정상의 유의점/271
2. 사회적 자본의 지표/273
제4절 맺음말277

제9장 사회적 자본 측정의 실제282

제1절 머리말282
제2절 사회적 자본의 측정사례284
1. 사회적 자본과 도시경쟁력/285
2. 벤처기업 연계협력과 사회적 자본/295
3.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과 사회적 자본 형성/300
제3절 사회적 자본 측정 경험의 분석결과305
1. 사회적 자본과 도시경쟁력 간의 분석결과/306
2. 벤처기업 연계협력, 신뢰, 성과 간의 분석결과/308
3.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과 사회적 자본 형성 간의 분석결과/322
제4절 사회적 자본 측정 결과의 정책적 함의329
1. 사회적 자본과 도시경쟁력 간의 분석결과의 정책적 함의/329
2. 벤처기업 연계협력, 신뢰, 성과 간의 분석결과의 정책적 함의/332
3.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과 사회적 자본 형성 분석결과의 정책적 함의/334
제5절 맺음말336


제4부 미래의 과제와 비전


제10장 한국사회에서의 사회적 자본345

제1절 머리말345
제2절 한국사회와 신뢰350
1.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의 경험/352
2. 압축성장과 제로섬 기업문화/356
제3절 사회적 자본과 개발정책360
1. 뉴 노멀 현상/361
2. 사회적 분열과 사회적 배제/363
3. 포용적 성장과 사회적 자본/369
제4절 국외의 경험에서 얻는 교훈373
1. 불타는 나폴리/373
2. 협력과정과 정직의 눈/377
3. 터키 알라니아 어장/379
4. 공유경제/382
제5절 한국의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3대 방향386
1. 공적신뢰의 회복/387
2. 열린 네트워크로의 이행/391
3. 공동체 정신의 함양/393
제6절 맺음말398

후 기/405
찾아보기/411

저자소개

박종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시와 지역 공간에서의 ‘흐름과 관계’를 탐구하는 연구자다.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들어 가는 과정에 도움이 되는 생활 속의 이야기나 처방에 관심이 많다. 일상 속에서의 이야기나 경험, 기억들을 통해 과거를 돌아보고 미래를 예견하는 것을 즐긴다. 경남 밀양 출생으로, 경북대학교에서 행정학을 전공한 뒤 미국 럿거스대학교(Rutgers University) 도시계획 및 정책개발학과에서 개발전략 연구로 박사 학위(Ph. D.)를 받았다. 1998년에는 국립 싱가포르대학교(NUS) 부동산학부에서 펠로우십 교수로 강의했으며, 2007년에는 미국 윌리엄스대학(Williams College) 경제학부에서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2019년 여름에는 중국 베이징의 중국인민대학 공공관리학부에서 서머스쿨 강좌를 맡았다. 2009년에는 한국정부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2022년에는 경북대학교 학술상을 수상했다. 현재 경북대학교 행정학부 교수이자 공공문제연구소 겸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최근 10여 년간, 도시 및 지역 개발 과정에서의 신뢰 관계와 네트워크를 핵심 구성 요소로 하는 사회적 자본의 정책 적용 측면을 집중 연구하고 있다. 일반 시민과의 직접적인 만남과 대화를 전제할 때, 관련 콘텐츠의 ABC가 무엇일지를 염두에 둔 두 번째 결실이 바로 이 책 『좌표 담론 – 기억과 이해의 길』이다. 2021년 출판된 『관계 담론 – 좋은 사회로 가는 길』은 주로 사회적 관계 내지 사회 속에서의 관계의 문제를 다룬 반면에 『좌표 담론 – 기억과 이해의 길』은 개인의 선택상의 이슈, 방향, 애로점 등에 초점을 두었다. 이 두 책은 상보적 성격이기 때문에 좋은 짝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지은이는 지금까지 『현대입지론』(2009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갈등관리론』, 『도시경영론』, 『지식도시론』(2012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집합적 행동논리와 사회적 자본 담론』(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등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6440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