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76447135
· 쪽수 : 187쪽
· 출판일 : 2018-07-20
목차
머리말/3
서울시 사례
제1장 서울시 도봉구 대전차방호시설 공간재생 사업
제1절 머리말11
제2절 이론적 배경: 협력적 거버넌스13
1. 협력적 거버넌스의 개념과 의의/13
2. 협력적 거버넌스의 특징과 기능/16
3. 협력적 거버넌스의 맥락/19
제3절 평화문화진지 추진 과정22
1. 사례의 개요/22
2. 사례의 특징과 과정/25
제4절 공간재생 사업의 성과와 성공 요인27
1. 사업의 성과/27
2. 성공 요인/28
제5절 맺음말32
경기도 사례
제2장 이천시 쓰레기소각장 건설: NIMBY 현상의 갈등해결
제1절 머리말35
제2절 거버넌스의 이론적 배경38
1. 거버넌스의 등장/38
2. 거버넌스의 정의/40
3. 거버넌스의 구조와 가치/42
4. 거버넌스의 NGO/44
제3절 쓰레기소각장 건설계획의 추진 과정45
1. 후보지 선정과 주민의 반대/45
2. 건설계획 유보 이후 새로운 시도와 후보지의 선정/47
3. 후보지 확정 이후 정책의 변화 및 주민의견의 수용/49
제4절 쓰레기소각장 건설사업의 성공 요인52
1. 거버넌스 시스템의 적용/52
2. 정부(시청)의 노력/55
제5절 맺음말59
충청남도 사례1
제3장 천안시 민관합동워크숍: 정책형성 과정에서 협력과 역량강화
제1절 서 론63
제2절 이론적 배경66
1. 선행연구 검토/66
2. 대의민주주의 위기의 보완으로서 심의민주주의/69
3. 분석의 기준/72
제3절 사례의 현황과 특성73
1. 사례의 개요와 선정 이유/73
2. 거버넌스 도입의 배경/75
제4절 천안시 민관합동워크숍 거버넌스 분석78
1. 진행경과와 성과/78
2. 거버넌스 특성 분석/83
제5절 결 론88
충청남도 사례2
제4장 ‘아산시 인권조례’ 제정: 민관협력을 통한 문제해결
제1절 서 론93
제2절 이론적 배경97
1. 협력적 거버넌스의 개념과 배경/97
2.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성 요건과 과정/100
3. 연구방법과 분석틀/103
제3절 사례 소개-‘아산시 인권조례’ 제정운동의 개요 및 배경104
제4절 협력적 거버넌스 분석107
1. ‘아산시 인권조례’ 제정 과정의 주요 행위자 분석/107
2. 협력의 시작조건/110
3. 협력의 과정/113
4. 최종 결과물/119
5. 사례분석 종합/120
제5절 결 론122
충청북도 사례
제5장 청주시 화장장 건립의 갈등관리
제1절 서 론127
제2절 거버넌스와 NGO의 이론적 배경130
1. 거버넌스의 개념과 특징/130
2. 거버넌스와 NGO/131
3. NGO와 자치단체의 협력 모델/133
제3절 화장장 건립의 갈등과 해결 과정135
1. 청주시 화장장 건립의 배경 및 전개단계/135
2. 행위자의 범주와 이해관계/139
3. 행위자의 상호작용/143
제4절 화장장 건립사업의 성공 요인146
1. 거버넌스 메커니즘의 작동/146
2. 원활한 로컬 거버넌스 작동을 위한 과제/150
제5절 결 론152
광주시 사례
제6장 광주시 푸른길공원 조성: 시민참여를 통한 의사결정
제1절 머리말156
제2절 거버넌스와 도시공원159
1. 거버넌스의 정의/159
2. 참여로 시작되는 로컬 거버넌스/161
3. 실천의 방법, 협력적 거버넌스/162
4. 도시공원과 거버넌스/163
제3절 푸른길 거버넌스164
1. 폐선부지의 푸른길로의 활용 요구/164
2. 푸른길공원 설계의 갈등/166
3. 시민참여 푸른길가꾸기 실현/168
4. 시민참여 관리/170
제4절 푸른길 거버넌스의 특징과 성공 요인171
1. 사회적 갈등을 줄이기 위한 전략적 선택/171
2. 자원의 상호의존을 통한 협력적 거버넌스/172
3. 신뢰의 형성 요인/177
4. 푸른길 거버넌스/179
제5절 결 론180
찾아보기/1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