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징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소성(江蘇省) 단양(丹陽) 사람이다. 1968년에 난징대학(南京大學)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양저우(揚州) 사범대학에서 강의를 하였다. 1978년 푸단대학(復旦大學) 중문과에 들어가서 중국 고대문학을 연구하였다. 이 시기에는 문학 창작에도 관심을 기울여서 많은 문학작품을 발표하였다. 1981년에 석사학위를 취득한 뒤 쑤저우대학(蘇州) 중문과에서 강의를 하였다. 1992년에 교수로 승진하여 고대문학 연구소 주임, 중화문화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1995년부터 저장대학(浙江大學)으로 옮겨서 저장대학 고적연구소, 중외문화교류센터, 송학연구센터에서 교수, 박사지도교수를 역임하였다. 2024년 5월 22일에 서거하였다.
학문 연구의 범위가 매우 넓어서 대학원 연구시 절부터 문학, 역사, 철학의 여러 분야에 걸쳐 연구를 하였다. 장자, 맹자, 양웅, 양천, 사마상여 등을 주제로 한 수많은 논문을 발표하였고, 1982년 이후 송명의 이학, 경학, 역학易學, 불교와 도교 문화 연구로 전향하여 주렴계의 태극도, 노자와 태극도, 보어(N. H. D. Bohr)의 역학力學, 석도石濤의 회화미학, 방언학 등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또한 주자와 왕양명을 중심 연구 주제로 삼아 일문집(佚文輯), 연보, 전기가 삼위일체를 이룬 전인미답의 방대한 저작물을 남겼다.
펼치기
김태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관은 영양英陽. 경북 봉화에서 태어나서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보냈다. 서울로 올라와 숭실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퇴계와 율곡의 유학을 주로 공부했으며, 율곡 이이의 책문을 텍스트로 삼아 조선 지식인들의 이론과 실천의 조화를 주제로 연구해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연구의 주제를 살려 『책문, 이 시대가 묻는다』, 『율곡문답』, 『경연, 왕의 공부』를 출간했다. 숭실대학교 철학과와 경원대학교 한의학과 등 여러 대학에서 강의했고,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연구원, 광주광역시 소재 대안학교인 지혜학교의 철학교육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현재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의 특별 연구원으로 있다. 저서 및 역서로는 『도교』, 『상수역학』, 『중국의 고대 축제와 가요』, 『고전이 된 삶』, 『살기 좋은 세상을 향한 꿈 맹자』, 『주자평전』, 『성학집요』, 『시냇가로 물러나 사는 즐거움』, 『어울림을 배우다』, 『양명평전』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