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소설론
· ISBN : 9788978061568
· 쪽수 : 430쪽
· 출판일 : 2013-02-20
책 소개
목차
I. 선우휘의 전후소설
1. 서론
2. 본론
1) 실향민 의식
2) 한국전쟁의 의미
3) 행동적 휴머니즘
4) 국가적, 민족적 모순에 대한 비판
3. 결론
Ⅱ. 오상원 전후소설의 실존의식
1. 서론
2. 실존적 상황에 처한 인물들
3. 가족과 사회의 붕괴
4. 개인적 양심과 정치적 신념의 대립
5. 전쟁의 상흔?허무주의자들의 집단
6. 결론
Ⅲ. 송병수 전후소설의 비교문학적 고찰
1. 서론
2. 고아와 공생하는 창녀, 범죄 집단
3. 전쟁의 역사적 의미
4. 죽음에 직면한 실존의식
5. 전후 부조리한 현실의 조명
6. 전위적 여성들의 각성 과정
7. 결론
Ⅳ. 「에미」와 「야호」를 통해 본 여성의 삶
1. 서론
2. 전통적 가치관 속의 여성 인물
3. 토속적인 신앙을 통한 정신적 안정의 추구
4. 염원 실현을 위한 기구의 주술행위
1) 머리카락에 실린 염원
2) 야호의 의미
5. 남성과 여성의 경계 와해
6. 결론
V. 한국 전후소설에 나타난 젊은이 상
1. 서론
2. 본론
1) 행동주의자
2) 긍정적 휴머니스트
3) 현대병에 걸린 실존주의자
4) 아웃사이더
3. 결론
Ⅵ. 최서해에 끼친 고리끼와 알치바세푸의 영향
1. 서론
2. 본론
1) 막심ㆍ고리끼의 이입상황
(1) 문학적 측면에서
(2) 고리끼의 가정적인 배경
2) 서해에 끼친 고리끼의 영향
(1) 체험소설적 요인들
(2) 어머니의 애정
(3) 문체적인 특징들
3) 알치바세푸의 이입상황
4) 서해에 끼친 알치바세푸의 영향
3. 결론
Ⅶ. 「지맥」에 나타난 작가 의식
1. 서론
2. 본론
1) 의존적 존재에서 독립된 자아로
2) 출산, 양육에서 시작된 자아 인식
3) 사회적인 자립을 통한 정체성 확인
4) 신의 세계로의 도피
3.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