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79403428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12-02-2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고려인 연구에서 조선족 연구로
서설(序說): CIS 고려인 사회의 변화와 전망
1. ‘자진이주’에서 ‘강제이주’로
2. 농촌 콜호스에서 도시로, 더 넓은 세계로
3. 페레스트로이카, CIS 체제와 고려인 사회의 변화
1) 페레스트로이카와 고려인 사회의 변화
2) CIS체제, 포스트소비에트 시대의 전개와 고려인 사회의 변화
4. 문화의 시대 한?CIS 교류와 고려인 사회의 전망
제1부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고려인
1장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구술사
1. 머리말
2. 구술사 선진국 미국에서의 연구 경험
3. 코리안 아메리칸과 구술사 연구
4. 고려사람과 구술사 연구
5. 맺음말
제2장 시베리아의 고려인 과학자 김 표트르
1. 머리말
2. 김 표트르 교수와의 인터뷰 및 활용 자료
3. 출생과 아버지 김진현의 죽음
4. 타슈켄트의 ‘레닌 콜호스’에서 러시아 대학으로
1) 우즈베키스탄에서의 콜호스 생활
2) 콜호스 초중등통합학교에서 고리키 국립사범대학으로
5. 김 표트르와 한국과의 만남
1) 시베리아의 물리학자 김 표트르
2) 고려인협회 활동과 한국, 한국인들과의 만남
6. 한?러 이중문화 가정생활과 죽마고우 강 세르게이와의 오랜 인연
7. 역사적인 조국 한국에서 만난 사촌형
8. 맺음말
3장 페르가나의 고려인 신문기자 김 레오니드
1. 머리말
2. 러시아 연해주에서 우즈베키스탄으로
3. 가족을 찾아 나섰으나 다시 떠나야 했던 북한
4. 페르가나에서 ‘새롭게 이룬 가족’
1) 한글 신문 「레닌기치」」의 기자로 새 삶을 시작하다
2) ‘새롭게 이룬 가족’ 때문에 「레닌기치」」를 떠나다
5. 페르가나의 고려사람 김 레오니드와 박 다리야 부부
6. 맺음말
4장 타슈켄트 주 ‘북쪽등대’콜호스의 한국어 교사 김 게오르기
1. 머리말
2. 태어나고 자란 타슈켄트 주 ‘북쪽등대’콜호스
3. 대학 진학과 결혼, 콜호스의 문화일꾼
1) 사범대학 진학과 결혼
2) 콜호스 문화일꾼과 타슈켄트 국립문화대학 진학
4. 한국과의 만남
1) 차녀 김 이리나의 사범대학 한국어문학과 진학
2) 북쪽등대 콜호스 제65번 학교를 지키는 한국어 교사로
5. 맺음말
5장 [보론] 코리안 아메리칸과 구술사: 백한원?장진옥 부부의 인디애나 생활
1. 머리말
2. 백한원?장진옥 부부와의 인터뷰 및 활용 자료
3. 인디애나의 지킴이 백한원?장진옥 부부의 인디애나 생활(1962~2003)
1) 백한원의 월남(越南)과 한국전쟁
2) 장진옥?백한원의 만남과 미국 유학 및 자녀 교육
3) 인디애나폴리스의 한인교회?한글학교?한인회
4) 한국문화 알리기와 미군과 결혼한 한인 여성 돕기
4. 맺음말
제2부 고려인 연구와 문화콘텐츠
1장 역사학과 문화콘텐츠
1. 영상문화와 영상역사학
1) 영상문화
2) 영상역사학
2. 역사학과 문화콘텐츠
1) 지식정보화 시대와 역사학, 디지털 역사학
2) 디지털 역사학과 문화콘텐츠
3. 맺음말
2장 고려인 연구와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1. 머리말
2. 고려인 연구와 영상물 제작
3. 고려인 연구와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개발
4. 맺음말
3장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의 전통명절과 문화콘텐츠
1. 머리말
2. 우즈베키스탄 고려인협회의 성립과 고려인 사회의 변화
3.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사회와 전통명절의 부활
4. 페르가나 고려인 사회와 단오명절, 문화콘텐츠 기획
5. 맺음말
4장 타슈켄트 주 고려인 콜호스 ‘시온고’와 한국 사회
1. 머리말
2. 시온고 콜호스 약사(略史): <레닌기치> 기사를 중심으로
1) 김 드미트리 회장과 시온고 콜호스
2) 이 프로코피 회장과 그 이후의 시온고 콜호스
3. 시온고 콜호스의 변화와 한인 및 한국 사회와의 만남
1) 시온고 콜호스의 변화
2) 시온고 콜호스와 한인 및 한국 사회의 만남
4. 시온고, 다시 고려인 중심의 다문화 사회로
5장 [보론] 한국외대의 지역연구와 세계역사문화연구회 10년(1994~2004)
1. 머리말
2. 소식지 「역사와 문화」를 통해 본 연구회가 걸어온 길
1) 한국외대 창학 40주년, 지역학 발전의 닻이 오르다
2) 연구회의 독특함: 학회도 집담회도 아닌
3) 열린 연구회
4) 일상생활문화에서 의식과 가치관으로
5) IMF 구제금융의 위기 속에서도: 더 깊은 연구를!
6) 소식지의 발행이 학문적 업적으로
7) 관심 연구 영역의 확대와 심화
8) 한국외대 지역학의 밑거름인 나무, 이제 역사 속으로
3. 연구 활동을 통해 본 10년
1) 주제 1: 지역문화와 식관습
2) 주제 2: 종교와 일상생활
3) 주제 3: 도시와 지역문화
4. 기타 주제와 연구 활동, 그리고 향후 과제
5. 맺음말
제언(提2言):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사회, 어떻게 도울 것인가?: 문화예술 활동 지원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우크베키스탄 고려인 사회의 특성
3.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사회의 지원 방향
1) 일자리 창출과 인재 양성
2) 문화예술 활동
3) 페르가나 주 고려인문화협회의 단오명절 행사
4. 맺음말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