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우주/해양/조선 기타공학
· ISBN : 9788979984996
· 쪽수 : 175쪽
· 출판일 : 2010-12-31
목차
제1장 서론
1.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연구의 목적
3.연구의 범위와 방법
1)연구의 범위
2)연구의 방법
3)선행연구 검토
제2장 수산물 유통 환경의 변화
1.수산물 소비량 증가와 소비 패턴의 다양화
1)수산물 소비량 증가
2)소비 패턴의 다양화
2.수산물 공급의 글로벌화
1)국내 어업생산 환경의 악화
2)수산물 수입의 증가
3.소비지 수산물 유통형태의 변화
소비지 우통 주체 및 거래 형태의 다양화
2)전자상거래의 확산
제3장 수산물 물류 실태 및 효율성 분석
1.수산물 물류구조
1)수산물 물류의 개념과 기능
2)산지시장의 물류구조
3)소비자의 물류구조
2.수산물 물류 효율성 분석
1)물류비용 분석
2)주요 품목의 물류효율성 분석
3.수산물의 소비지 물류구조 변화가 산지에 미치는 영향
1)생산자 수취가격 하락
2)소비지시장의 직거래 비중 증가
3)물류비용 부담 증가
제4장 국내외 사례 분석
1.일본의 수산물 산지물류 개선 사례
1)주요 산지시장의 개선 사례
2)소비지 도매시장의 개선 사례
2.국내 농산물의 산지물류 개선 사례
1)부류별 물류 현황
2)품목별 물류 현황(배추를 중심으로)
3)농상문 물류의 문제점
4)농산물 물류의 개선 방안
3.시사점
제5장 수산물 산지물류의 문제점 및 대응 방안
1.문제점
1)수산물 표준 규격화 기반 취약
2)물류 전문화에 대한 인식 부족
3)품질 및 선도관리 인프라 미흡
4)가공물류 인프라 부족
5)유통정보화 미흡
2.대응 방안
1)산지물류 거점 기반 조성
2)물류구조 개선을 위한 인프라 구축
3)물류비용 저감 방안 마련
4)저온유통시스템 활성화 방안 마련
5)물류의 정보시스템화 추진
6)산지 물류주체의 규모 확대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결론
2.정책제언
1)산지 수산물류 효율화 기본계획 수립
2)수산물류 관련 법률 정비
3)수산물 산지물류 정책사업 추진체계 정비
4)수산물 산지 물류센터 도입
5)통합 물류 정보시스템 구축
6)수산물류 전문 인력 육성 및 종사인력의 전문성 함양
7)물류 효율화 시범사업
8)수산물류 효율화R&D연구 강화
9)산지물류 활성화를 위한 장단기 추진 로드맵
참고문헌
부록
부록1.주요 수산물의 물류비 구성
부록2.일본의 수산물 물류 개선 사례
부록3.설문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