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88980210220
· 쪽수 : 142쪽
· 출판일 : 2004-12-10
목차
Ⅰ. 들어가며
Ⅱ. 1970년대 극장산업을 둘러싼 환경들
1. 1970년대 서울의 인구, 공간, 문화적 배경
1) 서울의 인구성장: 유입인구와 베이비 붐 세대
2) 서울 공간의 확장과 분화
3) 대중문화의 확장과 분화
2. 1970년대의 영화정책과 영화산업
1) 영화정책 - 영화법, 영화시책, 공연법
2) 영화산업
Ⅲ. 70년대 서울의 극장산업
1. 극장운영의 관행
1) 극장업무의 체계
2) 수입과 지출
3) 극장 시설 관리
2. 개봉관
1) 개봉관 개관
(1) 개봉관의 구도의 성립: 60년대의 방화관과 외화관
(2) 개봉관의 구도의 변화: 70년대의 방화관의 퇴조와 외화관의 증가
2) 70년대 영화산업과 개봉관 산업
(1) 개봉관의 산업적 관행들
① 영화 수급의 관행들
a. 개봉관의 영화배급과 수익배분
b. 광고비의 지출
② 상영의 관행들
a. 입장료
b. 스크린 쿼터
c. 애국가 영화, 문화영화
(2) 개봉관 산업의 흥행 곡선
(3) 70년대의 흥행성수기와 영화 프로그램
(4) 개봉관의 부족과 장기 상영 관행 : 방화의 수급문제
3. 비개봉관
1) 비개봉관 개관
(1) 비개봉관의 구분 1: 등급별 분화
① 등급의 법적 규정과 등급간 이동의 가능성
② 등급별 개관
(2) 비개봉관의 구분 2: 방화관과 외화관
2) 재개봉관의 산업적 관행들
(1) 영화 수급의 관행
① 70년대 서울 변두리 지역 배급사들의 부침
② 배급체인의 형성
③ 수급과 관련된 여타의 관행들
(2) 입장료
(3) 그 외의 산업적 관행들: 극장소유와 운영, 연간프로그램 운영편당 상영일수, 스크린 쿼터, 파행적 운영의 사례들
Ⅳ. 70년대 서울의 극장문화
1. 1970년대 서울의 극장의 특징
1) 재개봉관의 성장
2) 서울의 극장환경
3) 1970년대 관객집단의 변화
2. 1970년대 프로그램과 상영방식
1) 극장일반
쇼공연
리바이벌 영화
외화에 대한 선호
2) 개봉관과 재개봉관
상영싸이클
영화에 대한 선호도
참고문헌
부록 - 인터뷰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