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80231331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08-07-10
책 소개
목차
저자서문
제1장 붓다의 생애와 그 교단
1. 붓다 당시의 인도사상계
정통의 바라문교 | 비정통의 사상들
2. 석가모니의 일생과 그 교단
석가모니의 일생 | 석가모니의 제자와 교단
제2장 인도불교의 구분
1. 근본불교와 원시불교의 실용주의
근본불교의 실용주의 | 원시불교의 실용주의
근본과 원시불교의 교리(1):사성제
근본과 원시불교의 교리(2):업력과 연기
근본과 원시불교의 교리(3):무상과 무아
2. 부파불교 분열의 원인
십사비법의 논쟁과 부파의 분열
대천오사와 부파의 분열
기타: 제3차 결집의 전설
3. 대승불교의 흥기
굴 밖의 결집과 대승불교 | 대승불교의 특징
제3장 인도불교의 분화
1. 부파불교의 분화
대중부의 분화 | 상좌부의 분화
설일체유부의 기본철학(1):모든 것은 실유한다
설일체유부의 기본철학(2):다원실재론
설일체유부의 기본철학(3):6인4연
2. 대승불교의 분화와 중심사상
중관파와 중심사상 | [중론]의 공사상
유가행파와 중심사상
무착과 세친의 유심사상
제4장 불교문헌의 형성과 종류
1. 원시불교 문헌의 집대성
2. 부파불교와 대승불교 문헌의 집대성
부파불교 문헌의 집대성
대승불교 문헌의 집대성
제5장 불교의 중국전래와 종파
1. 불교의 중국 전래
2. 배불론과 불교의 인과응보
배불론의 제시 | 배불론에 대한 불교의 대응
3. 중국불교의 종파(1)
비담종과 성실종의 성립과 중심사상
지론종·섭론종·열반종의 성립과 중심사상
4. 중국불교의 종파(2)
삼론종과 유식종의 성립과 중심사상
천태종·화엄종의 성립과 중심사상
선종·정토종의 성립과 중심사상
밀교·율종의 성립과 중심사상
역자후기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네 가지 진리를 가리키는 사성제는 순수철학의 문제가 아니라 실제적인 효용의 가치를 지니는 것이기 때문에 만동자가 질문한 열 가지 문제와는 완전히 다른 본질을 가진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붓다가 공허한 이야기를 좋아하는 철학자가 아니라, 반대로 실제적인 효용을 추구하는 실용주의자라고 생각한다. 붓다가 실용주의자라는 것은 또한 본인 스스로를 대의왕(大醫王)이라 비유한 것에서도 알 수 있다.(76쪽)
인도에서 건너온 불교는 중국의 유교와 도교의 공격을 받자 대응방법으로 격의불교의 형성과 삼교동원론을 내놓게 되었다. 격의불교가 유교와 도교의 철학적 개념을 소극적으로 이용하여 불교사상을 설명하였다면, 삼교동원론은 여기에서 한걸음 나아가서 삼교가 내용상 서로 교환할 수 있으며 본질적으로 같은 원류를 가진다는 보다 적극적인 해석을 내놓은 것이다. 그리고 이 두 가지는 모두 철학적인 토론과 설명을 통하여 불교를 널리 알리고자 하였으며, 실제로 이 두 가지 시도는 불교사에서 이들이 맡은 배역을 부분적으로 완성하였던 것이다.(390~391쪽)
스스로 정통이라고 말하는 바라문교는 비록 신의 존재와 업보의 힘을 믿었으나 제도화(制度化)를 너무 강조한 나머지 심각한 부패사상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한편 ‘비정통’으로 불리어진 자이나교는 비록 정통파를 비판하는 입장을 보였으나 고행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결국 또 다른 하나의 극단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그리고 똑같은 비정통파에 속했던 유물론은 바라문교의 부패를 본 다음 업보를 부정하는 허망함에 눈을 돌리게 되었고, 심지어 세간의 욕망과 쾌락을 즐기기를 주장하는 데까지 나아가 이것 역시 또 다른 하나의 극단임이 분명하다. 붓다는 바로 이와 같은 시간과 공간의 배경 아래에서 태어났던 것이다.(35~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