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유아교육학
· ISBN : 9788981602826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6-10-17
책 소개
목차
Chapter 1 어린이집 운영과 관리
1. 어린이집 운영관리의 개념 13
2. 어린이집 운영과 다양한 이론 15
1) 영유아발달이론 15 2) 어린이집 운영과 관련된 경영이론 18
3. 어린이집 운영관리와 보육정책 22
1) 보육정책의 변천에 따른 어린이집의 변화 23 2)보육관련법규 24
4. 운영관리과정 25
1)계획 25 2)조직 25 3)인사 26 4)실행 26 5)평가 26
5. 운영관리의 영역 27
1) 원아관리 27 2) 교직원관리 27 3) 보육과정 운영관리 27
4) 시설설비 비품관리 28 5) 재정관리 28 6) 사무관리 28
7) 건강 · 영양 · 안전관리 28 8) 가족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 29
6. 어린이집의 유형 및 현황 29
Chapter 2 어린이집 운영관리와 보육정책
1. 보육정책 35
1) 보육정책의 개념 35 2) 보육정책의 방향 37 3) 보육정책의 최신 동향 38
2. 관련 법규의 이해 42
1) 영유아보육법의 이해 42 2) 아동복지법 및 장애아동복지지원법에 대한 이해 44
3)교직원 인사 및 복무관련법 44 4) 안전관리와 관련된 법 45
Chapter 3 어린이집 설치
1. 어린이집 유형 57
1) 어린이집 유형 및 설치조건 57 2)보육대상 및 시간에 따른 분류 60
2. 어린이집 설치과정 62
1)사전상담 62 2)장소선정 63 3) 어린이집 규모 결정 64
4) 운영계획 수립 65 5)인가신청 67
Chapter 4 보육환경관리
1. 어린이집시설 설비의 개념 75
2. 시설관리 75
1) 시설관리의 원칙 75 2) 각 공간별 시설관리 76
3. 설비관리 : 비품 및 교재교구관리 89
1) 비품관리 90 2) 교재교구관리 92
Chapter 5 인사 및 조직관리
1. 인사 및 조직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97
2. 인사 및 조직관리의 원칙 97
3. 보육교직원 자격 및 배치 기준 99
1)자격기준 99 2) 보육교직원의 배치 기준 103 3)연령별 반 편성기준 104
4. 보육교직원의 채용·임면·퇴직 105
1) 채용 105 2)임면보고절차 106 3) 근로계약 107 4) 보육교직원의 퇴직 107
5. 인사관리규정 107
1) 취업규칙 107 2) 복무규정 109
6. 보육교직원의 윤리 110
7. 보육교직원의 교육 113
1) 보수교육 114 2) 외부교육 115 3) 원내 자율장학 116
8. 보육교직원의 평가 116
9. 보육교직원의 법적 책임 119
10.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 동료와의 관계 형성 122
1) 원장 123 2)주임 및 선임보육교사 123 3) 보육교사 124 4) 기타 보육교직원 124
Chapter 6 영유아관리
1. 원아 모집 127
1) 원아 모집의 과정 127 2) 어린이집 홍보 128
2. 영유아관리 130
1) 반 구성 130 2) 입소 원아관리 132 3) 영유아 정보관리 136
Chapter 7 영유아의 발달과 어린이집에서의 관찰
1. 영유아의 발달 145
1) 영유아 신체발달의 특성 145 2) 영유아 인지발달의 특성 147
3) 영유아 언어발달의 특성 149 4) 영유아 사회성발달의 특성 149
5) 영유아의 정서발달 151
2. 영유아발달과 관찰 152
1) 영유아 관찰과 교사 153 2) 관찰의 종류와 특성 154
Chapter 8 보육과정관리
1. 보육계획 수립 169
1) 영아보육계획 수립 169 2) 유아보육계획 수립 183
2. 보육계획의 실행 및 평가 188
1) 일일보육계획 실행 및 평가 188 2) 주간 또는 월간 보육계획 실행 및 평가 190
3) 연간보육계획 실행 및 평가 191
Chapter 9 부모 참여 및 협력 : 부모교육 및 참여 프로 그램 관리
1. 부모교육 및 참여 프로그램의 필요성 195
2. 부모교육 및 참여 프로그램의 개념 195
3. 부모교육 및 참여 프로그램의 계획 및 실행 196
4. 부모교육의 실제 197
1) 부모 오리엔테이션 197 2) 가정통신문 197 3) 부모 강연회 198
4) 부모 워크숍 198 5)부모 양육코칭모임 199 6)수업참관 200
5. 부모 참여의 실제 200
1) 부모 참여수업 200 2) 어린이집 의사결정 참여 204
3)부모재능기부 205 4)부모노동기부 206 5)부모면담 208
Chapter 10 지역사회 연계
1. 지역사회 자원 연계의 필요성 211
1) 영유아 측면 212 2)부모 측면 212 3) 어린이집 측면 213 4) 지역사회 측면 213
2. 지역사회의 자원 213
1) 영유아 부모 213 2) 지역사회기관 214 3) 지역사회기관의 업무 종사자 및 주민 216 4) 지역사회의 물품 217 5) 지역사회 자연환경 217 6)문화자원 218
3. 어린이집의 지역사회 기여 219
4.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219
1)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목적 219 2)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계획 220
3)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실행 223 4)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평가 223
Chapter 11 행 · 재정관리
1. 행정관리 227
1) 행정관리의 기초 227 2) 업무분장 228 3) 문서관리 229 4) 공문서 작성관리 232
5) 보육통합정보시스템 233
2. 재정관리 235
1) 재정관리의 기초 235 2) 예산관리 236 3) 결산관리 238 4)세입 및 세출 239
3. 지도 점검 242
1) 어린이집 지도 점검 242 2) 부모 모니터링 250
Chapter 12 건강 · 안전 · 위생관리
1. 건강관리 257
1) 일상적인 건강관리 257 2) 비상시 건강관리 261
2. 안전관리 264
1) 물리적 환경안전 264 2) 안전교육 265 3) 안전사고관리 269
4) 차량 안전관리 272 5) 아동학대 예방 274
3. 위생관리 275
1) 급 · 간식관리 275 2) 영양교육 277 3) 위생관리 279
Chapter 13 어린이집 평가인증관리
1.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목적 285
2.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운영체계 285
1) 신청 286 2)참여확정 286 3)현장관찰 289 4)심의 및 인증 291
3.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지표 291
1) 지표의 구성 291 2)각 영역별 지표내용 293 3) 평가인증 필수 서류 304
4. 평가인증 후 사후관리 307
5.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효과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