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영어학습법
· ISBN : 9788981631369
· 쪽수 : 407쪽
· 출판일 : 2007-03-29
책 소개
목차
편자 서문 _ 우리에게 영어는 무엇인가
1. 우리에게 영어는 무엇인가
영어의 억압, 그 기원과 구조 - 윤지관
한국에서 영어의 수용과 전개 - 박종성
식민지시대 영어교육과 영어의 사회적 위상 - 강내희
한국사회에서 영어실력은 문화자본인가 - 최샛별
영어 : 근대화, 공동체, 이데올로기 - 송승철
2. 영어, 어떻게 배우고 가르쳐야 하나
영어의 문제 - 김진만
영어교육, 어떤 새로운 옷을 입혀야 할 것인가 - 이병민
영어교육에 대한 몇 가지 사견 - 김진만
대학 영어교육의 방향 : 교양영어냐 실용영어냐 - 엄용희
500단어의 유창한 영어실력과 어느 아랍 외교관의 차이 - 박찬길
영어회화 이데올로기 - 더글라스 루미스
3. 영어의 지배,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세계화와 영어제국의 논리 - 이승렬
영어 공용어화/모국어화의 환상과 그 대안 - 채희락
제국주의 시절의 영어 정책과 영어 공용화에 부치는 몇 가지 단상들 - 이석호
일본의 영어공용어화론 - 이연숙
아체베와 응구기 : 영어제국주의와 탈식민적 저항의 가능성 - 이경원
영어, 내 마음의 식민주의 - 윤지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영어의 문제를 자기 삶과 우리 사회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인문적 시각이 자리잡을 때, 영어교습의 현장은 영어모국의 제국주의적 이념의 지배에 맞서는 의미 있고 주체적인 언어교육의 장으로 변화할 단초가 열릴 것이다.
여기에는 언어를 도구나 기술의 차원만이 아니라 창조의 과정이자 역사와 정치가 실려 있는 사회적 장소로 바라보는 시각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즉 어느 때부다도 영어 선생들의 주체적이고 의식적인 역할이 필요한 국면인 것이다.-p40 중에서
영어가 세계 여러 지역에서 공용화론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영어는 곧 과학적 진보 혹은 발전적 근대를 수반한다는 신념이 크게 작용한다. 그러나 앞서 보았듯 영어가 상징하는 과학적 진보 혹은 발전적 근대가 말 그대로 상징이라는 차원을 뛰어넘어 실제적인 차원에서 그 내용을 실현하는지는 의문이다.
특히 아프리카와 인도 등지를 비롯한 제3세계의 경우 영어 공용화를 통한 진보 혹은 근대화라는 명분과 실리론이 수구세력의 기득권 유지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p333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