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부왕이 즐겨 찾는 맞춤법 띄어쓰기

공부왕이 즐겨 찾는 맞춤법 띄어쓰기

백태명, 신선화, 우지영 (지은이), 윤지혜 (그림)
국민출판사
14,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050원 -10% 2,500원
720원
14,8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공부왕이 즐겨 찾는 맞춤법 띄어쓰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부왕이 즐겨 찾는 맞춤법 띄어쓰기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일반
· ISBN : 9788981653422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8-07-30

책 소개

현장에서 어린이들을 가르치는 현직 선생님들의 맞춤법 학습 비법을 한 권에 담았다. 초등학생들이 잘 틀리는 맞춤법을 엄선해 맞춤법 기본 규칙·문장 성분·발음·비슷한 말 다른 뜻·표준어·한자어·외래어 7가지 장으로 나누어 구성했다.

목차

- 품위 있는 우리말은 올바른 맞춤법에서!
- 여는 글 하나. 우리 글자의 역사
- 여는 글 둘. 우리 글자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 여는 글 셋.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살펴보자!

첫 번째 여는 마당 맞춤법
1장 ‘규칙’을 알면 틀리지 않는대!

01 ‘다달이’가 맞을까, ‘다다리’가 맞을까?
02 ‘어깨’가 맞을까, ‘억개’가 맞을까?
03 ‘나는’이 맞을까, ‘날으는’이 맞을까?
04 ‘굳이’가 맞을까, ‘구지’가 맞을까?
05 ‘핑계’가 맞을까, ‘핑게’가 맞을까?
06 ‘연세’가 맞을까, ‘년세’가 맞을까?
07 ‘딱딱하다’가 맞을까, ‘딱닥하다’가 맞을까?
■ 1장 복습해 볼까?

2장 ‘문장 성분’을 알면 틀리지 않는대!
01 ‘비로소’가 맞을까, ‘비로서’가 맞을까?
02 ‘드러나다’가 맞을까, ‘들어나다’가 맞을까?
03 ‘책이오’가 맞을까, ‘책이요’가 맞을까?
04 ‘오뚝이’가 맞을까, ‘오뚜기’가 맞을까?
05 ‘깨끗이’가 맞을까, ‘깨끗히’가 맞을까?
06 ‘몇 일’이 맞을까, ‘며칠’이 맞을까?
07 ‘숟가락’이 맞을까, ‘숫가락’이 맞을까?
08 ‘바닷가’가 맞을까, ‘바다까’가 맞을까?
09 ‘암캐’가 맞을까, ‘암개’가 맞을까?
10 ‘돼다’가 맞을까, ‘되다’가 맞을까?
11 만만찮다’가 맞을까, ‘만만잖다’가 맞을까?
■ 2장 복습해 볼까?

3장 ‘발음’을 알면 틀리지 않는대!
01 ‘거야’가 맞을까, ‘꺼야’가 맞을까?
02 ‘네가’가 맞을까, ‘너가’가 맞을까?
03 ‘통닭’이 맞을까, ‘통닥’이 맞을까?
04 ‘짧다’가 맞을까, ‘짤따’가 맞을까?
05 ‘꼿’이 맞을까, ‘꽃’이 맞을까?
06 ‘의의’가 맞을까, ‘의이’가 맞을까?
07 ‘국물’이 맞을까, ‘궁물’이 맞을까?
■ 3장 복습해 볼까?

4장 ‘다른 뜻’을 알면 틀리지 않는대!
01 ‘나았다’와 ‘낳았다’, 어떻게 다를까?
02 ‘낮다’와 ‘낫다’, 어떻게 다를까?
03 ‘늘이다’와 ‘늘리다’, 어떻게 다를까?
04 ‘넘어’와 ‘너머’, 어떻게 다를까?
05 ‘다리다’와 ‘달이다’, 어떻게 다를까?
06 ‘띠다’와 ‘띄다’, 어떻게 다를까?
07 ‘-로서’와 ‘-로써’, 어떻게 다를까?
08 ‘맞히다’와 ‘맞추다’, 어떻게 다를까?
09 ‘붙이다’와 ‘부치다’, 어떻게 다를까?
10 ‘안치다’와 ‘앉히다’, 어떻게 다를까?
11 ‘잃어버리다’와 ‘잊어버리다’, 어떻게 다를까?
12 ‘반드시’와 ‘반듯이’, 어떻게 다를까?
13 ‘있다가’와 ‘이따가’, 어떻게 다를까?
14 ‘조리다’와 ‘졸이다’, 어떻게 다를까?
15 ‘좇다’와 ‘쫓다’, 어떻게 다를까?
16 ‘짖다’와 ‘짓다’, 어떻게 다를까?
17 ‘다르다’와 ‘틀리다’, 어떻게 다를까?
18 ‘끄믈끄믈하다’와 ‘꾸물꾸물하다’, 어떻게 다를까?
19 ‘안 ’과 ‘않’, 어떻게 다를까?
20 ‘어떻게’와 ‘어떡해’, 어떻게 다를까?
21 ‘애들’과 ‘얘들’, 어떻게 다를까?
22 ‘체’와 ‘채’, 어떻게 다를까?
23 ‘가르치다’와 ‘가리키다’, 어떻게 다를까?
24 ‘베다’와 ‘배다’, 어떻게 다를까?
25 ‘햇볕’과 ‘햇빛’, 어떻게 다를까?
26 ‘껍질’과 ‘껍데기’, 어떻게 다를까?
27 ‘밑’과 ‘아래’, 어떻게 다를까?
■ 4장 복습해 볼까?

5장 ‘표준어’를 알아야 틀리지 않는대!
01 ‘살쾡이’가 맞을까, ‘삵괭이’가 맞을까?
02 ‘강낭콩’이 맞을까, ‘강남콩’이 맞을까?
03 ‘수소’가 맞을까, ‘숫소’가 맞을까?
04 ‘깡충깡충’이 맞을까, ‘깡총깡총’이 맞을까?
05 ‘아지랑이’가 맞을까, ‘아지랭이’가 맞을까?
06 ‘개구쟁이’가 맞을까, ‘개구장이’가 맞을까?
07 ‘웃옷’이 맞을까, ‘윗옷’이 맞을까?
08 ‘찌개’가 맞을까, ‘찌게’가 맞을까?
09 ‘왠지’가 맞을까, ‘웬지’가 맞을까?
10 ‘곱빼기’가 맞을까, ‘곱배기’가 맞을까?
11 ‘설렘’이 맞을까, ‘설레임’이 맞을까?
12 ‘예부터’가 맞을까, ‘옛부터’가 맞을까?
■ 5장 복습해 볼까?

6장 ‘한자어’를 알면 틀리지 않는대!
01 ‘희한하다’가 맞을까, ‘희안하다’가 맞을까?
02 ‘역할’이 맞을까, ‘역활’이 맞을까?
03 ‘토의’가 맞을까, ‘토론’이 맞을까?
04 ‘보전’이 맞을까, ‘보존’이 맞을까?
05 ‘개발’이 맞을까, ‘계발’이 맞을까?
06 ‘체험’이 맞을까, ‘경험’이 맞을까?
07 ‘구분’이 맞을까, ‘구별’이 맞을까?
08 ‘발명’이 맞을까, ‘발견’이 맞을까?
09 ‘실재’가 맞을까, ‘실제’가 맞을까?
10 무난하다’가 맞을까, ‘문안하다’가 맞을까?
■ 6장 복습해 볼까?

7장 ‘외래어 규칙’을 알면 틀리지 않는대!
01 ‘프라이팬’이 맞을까, ‘후라이팬’이 맞을까?
02 ‘카페’가 맞을까, ‘까페’가 맞을까?
03 ‘커트’가 맞을까, ‘컷’이 맞을까?
04 ‘컬러’가 맞을까, ‘칼라’가 맞을까?
05 ‘케이크’가 맞을까, ‘케잌(케익)’이 맞을까?
06 ‘텔레비전’이 맞을까, ‘텔레비젼’이 맞을까?
07 ‘초콜릿’이 맞을까, ‘쵸코렛’이 맞을까?
08 ‘윈도우’가 맞을까, ‘윈도’가 맞을까?
09 ‘하이라이트’가 맞을까, ‘하일라이트’가 맞을까?
10 ‘템스’가 맞을까, ‘템즈’가 맞을까?
■ 7장 복습해 볼까?

두 번째 여는 마당 띄어쓰기
- ‘띄어쓰기’를 알면 틀리지 않는대

01 ‘관형사’는 어떻게 띄어 쓸까?
02 ‘부사’는 어떻게 띄어 쓸까?
03 ‘의존 명사’는 어떻게 띄어 쓸까?
04 ‘조사’는 어떻게 띄어 쓸까?
05 ‘보조 용언’은 어떻게 띄어 쓸까?
06 같은 글자 다른 띄어쓰기 - 의존 명사 VS 조사
07 같은 글자 다른 띄어쓰기 - 의존 명사 VS 어미
08 같은 글자 다른 띄어쓰기 - 부사 VS 조사

복습해 볼까? 정답

저자소개

백태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퇴직 후에 조동일 유튜브 문화대학에서 문명론을 공부한다. 근대 유럽 주도의 인문학문은 얄팍하다. 사회와 과학은 철학의 부재로 혼란스럽다. 세계 모든 문명권이 함께 일어나서 학문을 새롭게 해야 한다. 동아시아가 분명한 인식을 바탕으로 더 열심히 해야 한다. 유교불교 문명의 화해를 경험했기 때문에 이슬람 기독교의 갈등을 중재할 수 있다. 대등한 만물 만생 만인이 서로 모자라는 것을 채워주며 행복하게 사는 대등생극론 철학을 조동일이 주장한다. 새로운 문명을 만드는 일에 동참하기 위해 한문과 다른 외국어 학습에 관심을 가진다. 말레이어가 배우기 쉽고 사용 인구가 많다고 한다. 판툰을 지으며 마인어 공부를 챗지피티와 함께 한다. 한글시, 한문시, 한글판툰, 시조 등을 창작하는 즐거움을 누린다. 인공지능 시대가 세상을 온통 바꾸고 있다. 폭넓은 상식과 의문을 가지고 인공지능을 잘 부려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기쁨을 누리는 것이 새로운 삶이다. 기술 패권이 가져올 인류의 불행을 보통사람들이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 문제의식을 가지고 집중력을 발휘해 새로운 학문을 각자의 창조주권을 발휘해 해야 한다. 조동일은 말한다. 김치 잘 담그는 창조력이 베토벤의 작곡 창조력와 대등하다고. 이런 생각을 하면서 줌으로 전국의 한자 한문 교사들과 한시, 선인들의 문장 등을 강독하고 있다.
펼치기
우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유현초등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고 있어요. 어렸을 때부터 책 읽기를 좋아한 선생님은 친구들에게 쉬우면서도 정확한 맞춤법 교육을 하고자 노력하고 계신답니다. 오늘도 초등학교에서 아이들과 함께 배우며 올바른 맞춤법을 실현하도록 하루하루 보내고 있습니다.
펼치기
신선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이들에게 꿈의 씨앗을 심고 있는 12년 차 교사입니다. 국어 교육에 관심이 많아서 아이들과 함께 그림책 읽기, 온 책 읽기, 토론 활동으로 생각 나누기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책이 되길 바라며 맞춤법 저작 작업에 힘을 보탰어요.
펼치기
윤지혜 (그림)    정보 더보기
대구가톨릭대학교 시각디자인과 입학 후 2010년 이탈리아 밀라노 브레라 국립대학교에서 교환학생으로 공부하였습니다. 이후 이탈리아 밀라노 NABA 예술대학 석사 마스터 과정을 마치고, 현재 한국에서 프리랜서 그림 작가와 디자이너, 이탈리아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