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81690014
· 쪽수 : 503쪽
· 출판일 : 2025-09-02
책 소개
목차
5 … 서문
서론
15 … A. 배경26 … B. 논지
30… C. 방법
제1장 그리스도와의 연합
39 … A. 삼위일체적 배경
62 … B. 구속언약과 은혜언약
85 … C. 행위언약과 은혜언약120 … D. 칭의의 완성과 적용
149 … E. 맺음말
제2장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
156 … A. 전가의 필요성
182 … B. 그리스도의 의
214 … C. 전가의 본질
247 … D. 맺음말
제3장 오직 믿음으로
254 … A. 믿음으로285 … B. 칭의의 믿음
340 … C. 맺음말
제4장 칭의와 신자의 삶
346 … A. 성화
358 … B. 선행과 순종
382 … C. 견인399 … D. 상급
419 … E. 맺음말
제5장 평가 및 결론
426 … A. 평가
449 … B. 성향적-존재론적 구원론
483 … C. 맺음말
486 … BIBLIOGRAPHY
저자소개
책속에서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구속 사역이 아름다운 것은 “무엇보다도 역사적”이기 때문이다. 리차드 린츠(Richard Lints)는 “하나님의 마음이 성경을 통해 드러났을 때, 그의 계시의 아름다움이 보였 고, 미적이고 구조적인 신학이 가능해졌다”고 말한다. 에드워즈가 볼 때, 미(Beauty)란 “구조적 개념”(structural concept)이다. 하나님의 구속 사역에 대한 에드워즈의 미학적 이해는, 린츠의 말대로, 그의 “신학적 구조를 형성하는 틀”이다. 에드워즈의 미학적 감각이 “교리의 조직화”를 구성하고 있다. 린츠의 평가가 에드워즈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효한 기여를 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우리는 에드워즈가 단순히 미적 관심에서 하나님의 구속 사역을 바라보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에게 있어서 구속 사역이 “미적”(aesthetic)인 것은우선적으로 “역사적”(historical)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성경에 기록되어 있는 구속 역사는, 에드워즈가 볼 때, 신학을 하는(doing) 하나의 방식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속 계시 그 자체가 신학 방법론(methodology)을 함의하고 있다. 에드워즈는 그것을 “새로운 방법”(new method)이라고 불렀다.
서론 중에서
에드워즈의 핵심 개념인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언약관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특히 에드워즈의 칭의 교리는 정확하게 그의 언약신학에서 비롯됐다. 17세기 개혁 정통파(Reformed Orthodoxy)의 전통에 따라 에드워즈는 언약을 구속언약(시간 전에 있었던 언약), 행위언약(타락 전의 언약), 은혜언약(타락 후의 언약), 이렇게 세 가지 형태로 구분한다. 이 언약 개념은 분명히 에드워즈가 칭의론을 포함한 그의 구원론 전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결정적으로 작용하는 신학적 틀(framework)이다. 그가 언약 개념을 구원론에 적용하는 데 있어서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한 특징이 그의 통합적 관점이다. 이른바 에드워즈의 “통합적 관점” 또는 “통합 관점”이 그리스도와의 연합 모델에 의한 직접적인 지배를 받는 것이 아니라 하더라도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이 필자의 논지이다. 에드워즈의 칭의론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언약과 연합 사이의 관계와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스도와의 연합 중에서
에드워즈는 분명 십자가를 절정(climax)으로 여긴다. 십자가는 공로(meritorious)인 동시에 대속(propitiatory)이며, 값을 치르고 산 것임인 동시에 이때 필요한 값이기도 하다. 그가 말한 “영생을 얻은 공로”, “하 나님께로 구속됨”, “천국을 삼”과 같은 표현들은 명백히 그리스도께서 죽음으로 얻으신 긍정적 의를 가리킨다. 에드워즈는 보통 이러한 긍정적 의를 그리스도의 순종에 속한다고 본다. 에드워즈는 그리스도의 죽음을 긍정적, 부정적 의를 가져온 사건인 동시에, 그리스도의 순종의 절정이라고 보았다. 그리스도의 죽음에 긍정적 의미를 돌리는 것이 틀림없이 에드워즈의 의도인 것은 그 죽음이 그리스도의 순종의 절정이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