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83497864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21-06-30
목차
제1부: 르네상스와 에라스무스
A. 르네상스 인문주의란?
B. 르네상스 인문주의와 종교개혁의 비교 연구의 필요성
제2부: 에라스무스
제Ⅰ장: 에라스무스와 르네상스 인문주의
A.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의 인간론
1. 알베르티(1404-1472)
2. 마네티(1396-1459)
3. 피치노(1433-1492)
4. 삐꼬(1463-1494)
5. 인문주의적 인간론의 유산
B. 에라스무스의 초기 인간 본성론
1. 『세상에 대한 경멸론』(1488-1489)
2. 『야만적인 사람들에 대한 반론』(1494-1495)
C. 에라스무스는 파리에(1495), 영국에(1499-1506), 그리고 이탈리아(1506-1509)에 머물다.
제2장: 에라스무스의 인간 본성론
A. 서론
B. 『그리스도인 군인을 위한 기독교 입문서』(1501-1503)
C. 『신약성서 ... 에 대한 해석』(1517-1524)
D. 『자유의지론』(1524)
E. 『통렬한 비난에 대한 방어Ⅰ과 Ⅱ』(1526과 1527)
F. 『교리문답』(1533)
G. 『전도서』(1535)
H. 요약
1. 인간은 몸과 영혼(mind 혹은 reason) 그리고 몸-합리적인 영혼-영(spirit 혹은 mind)으로 구성되었다.
2. 영혼(mind 혹은 reason)의 능력들과 속성들과 기능들
3. 에라스무스의 후기 여섯 저서들에 따른 신성화와 이탈리아의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의 그것과의 비교
제3부 마틴 루터(48-쪽)
제3장 루터의 인간 본성론
A. 서론: 루터의 교육배경
B. 『로마서 강해』(1515-16)
C. 『갈라디아서 강해』(1519)
D. 『한 그리스도인의 자유』(1520)
E. 『노예 의지론』(1525)
F. 『교리문답』(1529)
G. 『갈라디아서 강해』(1531)
H. 『인간에 대한 논쟁』(1536)
제4장 에라스무스와 루터
A. 몸과 영혼으로 구성된 자연인
B. 자연인의 영혼의 능력들, 속성들, 그리고 가능들
C. 신학적인 인간론
1. 하나님의 형상
2. 하나님의 형상의 상실
3. 자연 법과 자연적 덕목들과 성경 안에 있는 율법과 복음의 관계
4. 영적 전쟁: 로마서 제7장에 대한 해석들
D. 구원론
1. 에라스무스에 있어서 초기의 준비
2. 율법으로서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인간의 반응
3. 에라스무스에게 있어서 ‘신성화’ 혹은 하나님 닮음
4. 인간의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복음에 대한 반응
결론
제4부 윌겐 몰트만
A. 『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1985)
Ⅰ. ‘Ⅸ. 창조 안에 있는 하나님의 형상: 인간들’
§1. 인간들에 대한 근원적인 지칭: 하나님의 형상(Imago Dei)
§2. 인류의 메시아적 소명으로서 인간: 그리스도의 형상(Imago Christi)
§3. 인류의 종말론적 영화롭게 됨: 인간은 하나님의 영광이다(Gloria Dei)
Ⅱ. ‘제Ⅹ장 하나님의 모든 창조물의 목적은 체현(體現)이다’
1. 신학적인 인간론에 대한 비전
2. 철학적 인간론에 대한 비판
3. 그의 대안으로서 신학적 인간론
4. 생명과 삶을 긍정하는 정신과 인간의 전인적인 체현에 비추어 본 생명과 병
B. 『오시는 하나님』(1995)
Ⅰ. 개인의 종말론: 부활과 영생
Ⅱ. 역사의 종말론: 하나님 나라
Ⅲ. 우주의 종말론: 새 하늘 새 땅
Ⅳ. 몰트만 신학의 다른 주제들과 관련한 삼중적 종말론에 대한 보완
1. 하나님의 현재적 주권과 장차 도래하는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의 관계는?
2. 만유 구원론 혹은 제한속죄 ?
3. 천년왕국론(메시아 왕국 혹은 평화의 왕국)은 꼭 필요한가?
4. 메시아 왕국을 매개하는 메시아적 교회의 사회참여?
C. 『나는 영생을 믿는다』(2020)
Ⅰ.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Ⅱ. ‘우리는 죽은 순간에 부활할 것이다’
Ⅲ. ‘살아있는 영혼의 죽음과 깨어남’
Ⅳ. ‘부활: 창조되지 않은 빛이 어둠 가운데서 비춘다.’
결론
1. 『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 1985』에 비추어서
2 『오시는 하나님, 1995』에 비추어서
3. 『나는 영생을 믿는다, 2020』에 비추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