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농림수산학
· ISBN : 9788983513946
· 쪽수 : 146쪽
· 출판일 : 2012-10-31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필요성과 목적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1. 연구범위와 대상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제3절 연구수행체계도
제2장 환경 및 정책적 변화요인
제1절 세계 농업환경의 변화
1. 개방화환경
2. 국제 곡물시장 환경
3. 식량수요 및 소비의 고급화
제2절 우리나라 농업의 메가트렌드
1. 세계적인 메가트렌드
2. 농업·농촌의 메가트렌드
제3절 경남의 농업·농촌 환경분석
1. 분석틀 : 현대화와 글로벌화의 영향
2. 농업 및 농촌경제의 변화
3. 사회 및 인구학적 변화
4. 환경적 변화
제4절 소결
제3장 경남 농가소득 구조분석
제1절 소득격차의 문제
1. 도시와 농촌간 소득격차
2. 소농과 대농간 소득격차
제2절 농가소득증대의 문제
제3절 농업소득증대의 문제
제4절 농업생산성의 문제
제5절 농가부채의 문제
제6절 소결
제4장 농산업과 사회적경제영역의 사업성과와 과제
제1절 소득증대와 창출의 이론적 방향과 좌표
제2절 농산업영역의 성과와 과제
1. 농업소득사업의 성과와 과제
2. 농외소득사업의 성과와 과제
제3절 사회적경제 영역의 사업성과와 과제
1. 지역통합형 경제활동 조직관련 정책 및 현황
2. 경남의 사회적경제 영역의 경제조직 현황
3. 경남의 사회적경제 영역의 경제조직 성과와 과제
제4절 소결
제5장 경남 농업농촌의 새로운 소득증대와 창출방안
제1절 과제도출을 위한 SWOT 분석
1. SWOT 분석
2. 과제 도출
제2절 기본방향
1. 패러다임의 전환
2. 기본방향
제3절 공공영역의 소득 및 사회 안정망 구축
1. FTA 상생기금의 설치
2. 직불제 정비와 강화 및 계층별 농가소득 안전망 구축
3. 농가부채 완화 및 경영회생프로그램 가동
4. 농업재해지원제도(농업재해보험, 농업재해대책법)의 개선 및 선진화
5. 사료가격 안정기금제도의 도입
제4절 농산업 영역의 소득증대 및 창출방안
1. Position Matrix에 따른 품목별 전략
2. 농업소득 증대 및 창출
3. 농외소득 증대 방안 및 창출
4. 그린투얼즘 소득증대 방안
5. 신성장동력원 창출방안
제5절 사회적경제 영역의 소득증대 및 창출방안
1. 정책과제
2. 정책대안
제6절 추진체계 구축과 역할분담
1. 추진체계 구축
2. 추진주체별 역할분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