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83514035
· 쪽수 : 114쪽
· 출판일 : 2012-10-31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제2절 연구목적
제3절 연구내용 및 방법
제2장 연사문화자원 관련 이론적 고찰
제1절 역사문화자원 개념 및 유형 분석
1. 역사문화자원의 정의 및 기본개념
2. 역사문화자원의 유형 분석
제2절 역사문화자원의 중요성 및 가치
1. 역사교육(학문)적 측면
2. 문화콘텐츠산업적 측면
3. 관광산업적 측면
제3절 역사문화자원의 보존·활용체계 분석
1. 보존·활용의 방법 및 관계
2. 보존·활용 체계
3. 협약 및 법령 체계
4. 조직 체계
제3장 경남지역 역사문화자원 및 관련 정책 현황 분석
제1절 역사문화자원 기본 현황
1. 지정문화재 현황
2. 전통사찰 현황
3. 근대문화유산 현황
4. 축제 이벤트 현황
제2절 역사문화자원 관련 정책 현황 분석
1. 역사문화자원의 보존 관리 정책
2. 역사문화자원의 활용 정책
제3절 현황 시사점
제4장 국내·외 역사문화자원 활용 관련 사례 분석
제1절 국내사례
1. 수원화성
2. 국립중앙박물관
3. 고려 대장경
4. 이순신 장군
5. 오광대
6. 역사인물의 생가복원
제2절 국외사례
1. 일본 오사카 성 천수각(박물관)
2. 일본 요시노가리 유적·이타쯔게 유적
3. 프랑스 르와르강 세계유산 지역
4. 중국 자금성
제5장 역사문화자원 보존·활용 모형 개발
제1절 역사문화자원 보존·활용 모형 개발 필요성
제2절 역사문화자원 보존·활용 모형의 도출 과정
1. 유형 문화자원
2. 무형 문화자원
제3절 역사문화자원 보존·활용 모형 개발
1. 역사문화자원 유형별 보존·활용 현황 및 문제점
2. 관광산업적 활용 시 고려사항
3. 역사문화자원 보존·활용 모형의 일반화
제4절 역사문화자원 보존·활용 모형 적용
제6장 경남지역 역사문화자원의 활용 제고방안
제1절 기본전략 및 방향 구축
1. 역사문화자원 보존·관리 환경 구축
2. 비지정 및 무형자원, 근대문화자원의 활용도 제고
3. 자원의 활용영역 융·복합 강화
4. 자원 활용도 제고를 위한 사후관리시스템 구축
5. 축제의 전략적 활용
제2절 역사문화자원 제반환경 개선방안
1. 역사문화자원 관리 방안
2. 인력육성 및 활동지원 방안
제3절 활용 제고방안
1. 역사교육적 측면
2. 문화콘텐츠산업적 측면
3. 관광산업적 측면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제1절 연구 요약
제2절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