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언어 > JSP
· ISBN : 9788983797476
· 쪽수 : 676쪽
· 출판일 : 2012-05-14
책 소개
목차
Chapter 1 JSP 입문
1. 웹 프로그래밍 개요
2. JSP와 서블릿(Servlet)
Chapter 2 개발 환경 설정
1. J2SE(JDK 7.0) 설치와 환경변수 설정
2. 웹 컨테이너(Apache Tomcat 7.0) 설치
3. 개발툴(이클립스) 설치
Chapter 3 Servlet의 핵심 사항들
1. 클라이언트에서 서블릿으로 요청하는 방식
2. 서블릿을 이용한 클라이언트에서 전송되는 요청 처리
3. 서블릿에서 한글 처리하기
4. 하나의 파라미터 이름으로 여러 개의 파라미터 값 처리하기
5. 서블릿에서 세션 살펴보기
Chapter 4 JSP 기본 요소
1. JSP 주석
2. JSP 지시어(Directive)
3. JSP 스크립트 요소
Chapter 5 내장 객체와 액션 태그
1. 내장 객체
2. 영역 객체와 속성
3. 액션 태그
Chapter 6 액션 태그를 활용한 탬플릿 페이지 작성
1. 탬플릿 페이지
1. 자바빈의 개요
2. JSP에서 자바빈 사용하기
3. 자바빈을 이용한 회원가입 폼 작성
Chapter 7 자바빈(JavaBean)
1. 자바빈의 개요
2. JSP에서 자바빈 사용하기
3. 자바빈을 이용한 회원가입 폼 작성
Chapter 8 세션(Session)과 쿠키(Cookie)
1. 세션(Session)
2. 쿠키(Cookie)
3. 세션과 쿠키를 이용한 예제
Chapter 9 파일 업로드
1. 파일 업로드의 원리
2. 가장 널리 쓰이는 업로드 모듈 COS 라이브러리
3. MultipartRequest를 이용한 파일 업로드 구현
Chapter 10 섬네일 이미지
1. 섬네일 이미지의 개요
2. 섬네일 이미지 만들기
Chapter 11 JavaMail
1. 자바 메일의 개요
2. 자바 메일의 구현
Chapter 12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회원관리 시스템
1. 데이터베이스의 개요 및 설치
2. SQL 쿼리
3. JDBC
4. 커넥션 풀(Connection Pool)
5. JDBC의 실전 활용
6.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한 회원관리 시스템
Chapter 13 JSP 커스텀 태그와 JSTL(JSP Standard Tag Library)
1. 커스텀 태그
2. JSTL(JSP Standard Tag Library)
Chapter 14 Model 2로 만드는 게시판 프로젝트
1. 모델 2 개요
2. MVC 패턴을 사용한 간단한 게시판 만들기
3. 회원 시스템과 결합한 답변형 게시판 프로젝트
Chapter 15 모델 2 예제들
1. 세션을 이용한 로그인, 로그아웃 예제
2. 쿠키 정보를 이용한 자동 로그인 예제
3. 강아지 쇼핑몰 예제
4. 모델 2에 필터(Filter) 적용하기
Chapter 16 모델 2 의류 쇼핑몰 개발
1. 실전 예제의 개요
2. 회원 시스템 구현
3. 상품 관리 시스템 구현
4. 나머지 쇼핑몰 기능 사용하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웹 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수많은 사용자에 의해 동적으로 변화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동적으로 변화되는 데이터란 뭘까. 옥션처럼 많은 사용자를 가지고 있는 기업 사이트를 생각해 보자. 이런 사이트들은 하루에도 셀 수 없이 많은 사용자가 상품을 검색하고 구입하며 상품평을 적는다. 이는 상품에 대해 기업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가 많은 사용자들에 의해 끊임없이 조회되고 새로 생성되며 추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계속적으로 변화된다.
하지만 웹 기반의 언어로 가장 먼저 개발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은 텍스트 기반의 웹 문서 작성이나 정적인 데이터들을 처리하는 데에는 편하지만 동적인 데이터를 처리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들이 다음 절에서 소개할 CGI, ASP, PHP, JSP 등의 기술이다.
모델 2는 디자인 부분과 개발(비즈니스 로직) 부분을 분리해서 개발하기 때문에, 디자이너는 디자인 부분만, 프로그래머는 로직 부분만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코딩도 모두 JSP 페이지에 하는 것이 아닌 각 담당하는 부분의 페이지가 독립적(디자이너는 JSP 페이지, 프로그래머는 Java 클래스)으로 존재하므로 동시에 개발이 가능하여 프로젝트 규모가 커지면 오히려 프로젝트 생산성도 좋아진다. 또한 모델 2 방식으로 개발하면 유지보수 시 디자인을 변경하거나 로직을 변경할 때 자신이 개발한 부분에만 접근하여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단, 모델 2의 경우는 설계 단계가 까다로우므로 모델 1보다는 개발 기간이 더 길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규모가 그다지 크지 않은 프로젝트에서는 모델 1로, 규모가 큰 프로젝트일 경우는 모델 2로 개발하는 경우가 많다. 규모가 작을 경우는 규모가 작은 만큼 유지보수에 걸리는 비용이 덜 들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모델 1과 모델 2 모두 장단점이 있으므로 개발하는 프로젝트에 맞추어 개발 방식을 설정하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