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사회/역사/철학 > 정치/경제/법
· ISBN : 9788983895981
· 쪽수 : 148쪽
· 출판일 : 2015-04-09
책 소개
목차
1. 무역이란 무엇일까요?
2. 우리나라 무역의 특징
3. 역사 속 무역 이야기
4. 세계화 시대와 우리나라 무역의 미래
5. 공정 무역이란 무엇일까요?
무역 관련 상식 퀴즈
무역 관련 단어 풀이
리뷰
책속에서
우리나라 무역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최근 들어 중국과의 무역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것도 우리나라 무역의 숙제로 꼽을 수 있어요. 우리나라가 세계 수출 1위 부분을 차지한 품목이 2013년 기준 65개 항목인데요. 그중에서 중국이 2위를 차지하고 있는 품목이 20개나 되고 있어요. 특히 메모리 반도체를 포함한 14개 품목에서 5% 차이로 중국이 우리나라를 바짝 추격하고 있어요.
약 13억 인구가 사는 중국은 우리에게 좋은 시장이자 무역 경쟁국이에요. 중국은 인구가 많아 인건비가 낮아요. 노동 집약적 산업 품목을 중국에 내어 줄 수밖에 없다면, 좀 더 핵심적이고 기술 집약적 산업 품목으로 한국 수출 사업을 키워가야 해요.
FTA의 좋은 점과 나쁜 점
FTA가 모든 산업 분야에 좋은 것만은 아니에요. 아직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산업 분야는 아예 없어질 수도 있어요. 이런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 처음부터 관세를 아예 없애는 것이 아니라 단계를 두어 관세를 내리고 있어요.
예를 들어 우리나라는 농업과 축산 분야의 경쟁력이 약한 편이에요. 미국이나 호주 등은 농가들의 규모가 크고, 기계화가 잘 되어 있어 대량 생산이 가능하거든요. 우리나라 생산물보다 훨씬 싼 가격에 수입될 수 있겠지요. 외국과 FTA 협약 얘기가 나올 때마다 농축산 농가에서 반대 운동을 펼치는 이유예요. (……)
우리가 외국과 농축산 부분에 대한 수입을 결정할 때는 오랜 기간 서서히 관세를 낮추고 있어요. 그동안 농가들이 경쟁력을 갖추게 하기 위해서예요. 대량 생산할 수 없는 특별한 작물을 재배한다거나, 품종 개발을 통한 새 상품을 만들어 우리만의 독자적인 농수산 시장을 개척할 수 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