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무역
· ISBN : 9788983932150
· 쪽수 : 482쪽
· 출판일 : 2012-12-31
목차
제1부 FTA 원산지규정의 이해
Ⅰ.FTA개요
1. FTA 의의
2. FTA 추진현황 및 목적
3. FTA 효과
4. FTA 활용에 따른 혜택
Ⅱ. FTA 관세혜택을 위한 절차
1.수출물품의 품목분류(HS코드)확인
2. FTA 원산지 결정기준
3. FTA 원산지 확인 및 판정
4. FTA 원산지증명서 작성 및 발급
5.원산지증명서 대장관리 및 서류보관
6.원산지 검증 Check Point
7. FTA 사전 준비사항
제2부 FTA 활용준비와 산업별 적용사례
Ⅰ. FTA 활용준비
1.어떤 정보를 수집·관리해야하나?
2.시스템을 이용한 FTA 정보관리
3.어떤 방식으로 정보를 검증하고,활용하나?
4. FTA 원산지를 확인하자
Ⅱ. 원산지 판정 Flow
1.원산지 판정 Flow
2.원산지 판정을 위한 규정 및 절차
Ⅲ. 산업별 원산지 판정
1.자동차 부품산업
2.섬유 산업
3.철강/비철금속 산업
4.정밀화학 산업
5.전자 산업
6.기계 산업
제3부 FTA Business 모델
Ⅰ. 개요
Ⅱ. FTA Business 모델
[모델1] FTA 상대국 관세율 인하를 활용한 수출 확대
[모델2]상대국의 FTA 를 활용한 무관세 수출
[모델3]FTA 체결국으로의 완제품 수입선 전환
[모델4]원산지기준 충족을 위한 부품·소재 수업선 전환
[모델5]원산지기준 충족을 위한 국내 조달/생산 전환
[모델6]개성공단 활용(역외가공기준 활용)
[모델7]글로벌 FTA 활용
[모델8]외국기업의 국내 직접투자 유치(합작생산투자)
[모델9]FTA 체결국으로 해외 직접투자처 이전
[모델10]FTA 허브형 국내외 기업간 협력
[모델11]FTA 환경에서 기업의사결정 최적화 전략
[모델12]원산지 판정 시스템 구축을 통한 FTA 활용도 최적화
Ⅲ. FTA Business 모델을 활용한 원산지 충족전략
[모델1]유·무상 사급거래
[모델2]역외가공 활용
[모델3]역내 생산정보 활용
[모델4]세번변경기준 활용
[모델5]원산지 판정을 위한 업무 Scope최소화 모델
[모델6]부속품·예비부품 및 공구 이슈
[모델7]관계사간 거래에 대한 이슈
[모델8]제3국 FTA의 활용
[모델9]미소기준의 응용
[모델10]중간재 규정의 활용
제4부 FTA 활용을 위해 이것만은 꼭 알아두자
Ⅰ. 원산지인증수출자제도와 인증절차
Ⅱ. 원산지사전심사제도와 활용방안
Ⅲ. 원산지증명 서식 및 작성요령
Ⅳ. 협정관세 적용을 위한 통관절차
제5부 원산지 검증 대응방안
Ⅰ. 의의
Ⅱ. 항목별 대응방안
부록
[부록1]FTA정보제공 웹사이트
[부록2]FTA원산지증명 주요서식 및 작성요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