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88983966667
· 쪽수 : 630쪽
· 출판일 : 2010-02-20
목차
전언(前言)
한국어 번역판 서문
범례(凡例)
제1장 문자(文字) 형성(形成)의 과정
제1절 문자의 정의
제2절 문자 형성 과정의 추측
1. 표의자(表意字)
2. 기호자(記號字)
3. 표음자(表音字)
4. 형성자(形聲字)
5. 문자 체계의 전후(前後) 형성(形成)
제2장 한자의 성질
제1절 두 개의 차원의 부호
제2절 자부(字符)의 표의(表意)와 표음(表音)작용에서한자 체계의 성질을 본다.
1. 의부(意符)
2. 음부(音符)
3. 기호(記號)
제3절 자부가 나타내는 언어 결구의 차원에서 한자 체계의 성질을 본다.
제4절 한자의 형식상의 특징
제3장 한자의 형성과 발전
제1절 한자 형성 문제에 토론
제2절 한자의 발전 과정 중의 주요한 변화
제4장 형체(形體)의 연변(演變)(상)- 고문자(古文字) 단계의 한자
제1절 상대(商代) 문자
제2절 서주(西周)·춘추(春秋) 문자
제3절 육국(六國) 문자
제4절 진계(秦系) 문자
제5절 예서(隸書)의 형성
제5장 형체(形體)의 연변(演變)(하)-예(隸)·해(楷) 단계의 한자
제1절 예(隸)·해(楷) 단계의 문자 형체를 연구하는 자료
제2절 한대 예서의 발전
제3절 예서(隸書)의 전문(篆文) 자형에 대한 개조
제4절 한대(漢代)의 초서(草書)
제5절 신예체(新隸體)와 조기(早期) 행서(行書)
제6절 해서(楷書)의 형성과 발전·초서(草書)와 행서(行書)의 연변
제6장 한자의 기본 유형(類型)의 구분
제1절 육서설(六書說)
제2절 삼서설(三書說)
제3절 삼서(三書)에 넣을 수 없는 문자
제7장 표의자(表意字)
제1절 표의자의 분류와 예시(例示)
1. 추상자(抽象字)
2. 상물자(象物字)
3. 지시자(指示字)
4. 상물자식(象物字式)의 상사자(象事字)
5. 회의자(會意字)
6. 변체자(變體字)
제2절 자형(字形)의 사의(詞義) 연구에 있어서의 작용
제8장 형성자(形聲字)
제1절 형성자 탄생의 경로
1. 표의자에 음부(音符)를 덧붙인다.
2. 표의자 자형의 일부분을 음부(音符)로 바꾼다.
3. 기존의 문자에 의부(意符)를 덧붙인다.
4. 형성자의 편방을 바꾼다.
제2절 다성(多聲)과 다형(多形)
1. 다성(多聲)
2. 다형(多形)
제3절 생성(省聲)과 생형(省形)
1. 생성(省聲)
2. 생형(省形)
제4절 형방(形旁)과 성방(聲旁)의 위치
제5절 형방(形旁)의 표의(表意) 작용
1. 형방(形旁)과 자의(字義)의 관계
2. 형방(形旁)의 대체(代替)
제6절 성방(聲旁)의 표음(表音) 작용
1. 성방(聲旁)과 자음(字音)의 관계
2. 성방(聲旁)과 형성자(形成字)의 독음(讀音)에 차이가 생기는 원인
3. 성방(聲旁)의 대체(代替)
4. 성방(聲旁)의 파괴(破壞)
제7절 성방(聲旁)과 자의(字義)의 관계
1. 뜻을 가진 성방(聲旁)
2. 우문설(右文說)
제9장 가차(假借)
제1절 본자(本字)와 가차(假借)
1. 본자가 없는(無本字) 가차(假借)
2. 본자가 후에 만들어진 가차(假借)
3. 본래 본자가 있는(本有本字) 가차(假借)
제2절 피차자(被借字)의 뜻이 가차의(假借義)와 관련이 있는 현상
제3절 하나의 사(詞)가 여러 글자를 차용하는(一詞借用多字) 것과한 글자를 빌려서 많은 사를 나타내는(一字借表多詞) 현상
제4절 가차(假借)와 관련된 자음(字音) 문제
제5절 어문(語文) 연구 중 가차(假借)와 관련된몇 가지 잘못된 경향
1. 사의(詞義) 연구 방면의 잘못된 경향
2. 고적(古籍) 해독(解讀) 방면의 잘못된 경향
제10장 이체자(異體字)·동형자(同形字)·동의환독(同義換讀)
제1절 이체자(異體字)
제2절 동형자(同形字)
제3절 동의환독(同義換讀)
제11장 문자의 분화(分化)와 합병(合倂)
제1절 문자의 분화(分化)와 문자의 기능을분산시키는 기타의 방법
1. 문자의 분화(分化)
2. 다의자(多義字)의 기능을 분산시키는 기타의 방법
3. 서로 다른 글자로 같은 하나의 사(詞)의 서로 다른 용법을 나타내는 현상
제2절 문자의 합병(合倂)
제12장 자형(字形)과 음의(音義)의 복잡한 관계
제1절 일형다음의(一形多音義)
제2절 일사다형(一詞多形)
1. 일사다형(一詞多形) 현상의 개황
2. 약간의 관련된 술어
3. 통용자(通用字)의 독음(讀音) 문제
제13장 한자의 정리와 간화(簡化)
부 록
·그림 목차
·인명색인
·서명·편명색인
·중국문자학 연표
·저자소개
·역자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