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주 방시한집

역주 방시한집

윤행임 (지은이), 전송렬 (옮긴이)
보고사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350원 -5% 2,500원
650원
1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주 방시한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주 방시한집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84334700
· 쪽수 : 207쪽
· 출판일 : 2006-11-08

목차

일러두기
서문
해제 - '방시한집'의 시화로서의 양상과 가치

역주 방시한집

서문
1 금위영에서 근무하던 변씨라는 군졸
2 물고기가 얼음을 지다
3 사냥하는 요동의 노장
4 저승에서 시를 읊다
5 김창열의 아이 때 시
6 향유관광탄
7 관서기생 혜심이
8 소응천의 '백마강'시
9 새 울자 꽃 떨어지네
10 박연폭포를 읊은 정지검의 시
11 진사 신광한의 시
12 시인 김광태
13 원주 농사꾼 한유안
14 태학전사 주영창
15 영남 사람 채갑서
16 금산군의 아전 백봉장
17 청운백설
18 운래정 이허중
19 왕태
20 노비 단전
21 해주의 전만거
22 관서의 기생 향애
23 권필.이안눌.차천로 시의 특징
24 무명씨의 고죽
25 친구 이상황의 회시문
26 정범조와 이헌경
27 시에 자부한 안석경
28 남숙관의 '대보단시'
29 아광의 '고목'시
30 김시습의 초상화를 보고 지은 정대용의 시
31 채팽윤의 뛰어난 대구시
32 시장터의 아아 안의성
33 청포자 허명
34 노비 청혜
35 나무꾼 정운봉
36 백곡 김득신의 대구
37 소고 백겸문
38 백화정의 젊은 과부 이희
39 삼연 김창흡의 '합강정'시
40 위항인 박이극
41 정후교의 어렸을 때의 이야기
42 조경유와 저역 김강생
43 상공 김익의 하인 김씨
44 나의 매제 이행구
45 김억금의 4,5살 때의 시
46 이름도 모르는 이가 부채에 쓴 시
47 담헌 홍대용과 역암 엄성의 우정
48 벽제 객사에서 만난 마기병
49 박익령의 시

권후

해상청운
1 박장한 윤노동의 시구
2 가승과 진부
3 목만중의 5살 때 시
4 박필운의 시
5 이수봉의 시
6 죽은 말을 위해 시를 짓다
7 땔나무꾼이 지은 시
8 원중거의 시
9 소년 방영손의 시
10 먀씨 성을 가진 사람의 시
11 유구국의 사신
12 현허의 아내가 지은 시
13 쌀과 물이 나오는구명
14 이인상과 이덕무의 '양두사'
15 바쁜 것 같으면서도 한가로움
16 호랑이를 잡는 사람

부록 '석재별고'해재
찾아보기

저자소개

윤행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후기에, 이조참판, 홍문관제학,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초명은 윤행임(尹行任). 자는 성보(聖甫), 호는 석재(碩齋). 윤홍(尹泓)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용안군(龍安君) 윤종주(尹宗柱)이다. 아버지는 익찬(翊贊) 윤염(尹琰)이며, 어머니는 조종철(趙宗哲)의 딸이다. 1782년(정조 6)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검열·주서를 거쳐, 초계문신(抄啓文臣)으로 선발되어 규장각대교에 임명되었다. 시파(時派)로서 1788년 민치화(閔致和)와 함께 유언비어를 퍼뜨리며 백성의 재산을 약탈했다는 벽파(僻派)의 탄핵을 받아 성환에 유배되었다. 이듬해 규장각직각으로 복직되었으며 1792년 이조참의에 이르렀다. 그 해 대사간·이조참의를 거쳐, 이듬해 비변사부제조로 특차되었다가 이조참의로 복직되었으나, 벽파의 공격으로 제학 정민시(鄭民始)와 함께 고양으로 유배되었다. 1794년 유배에서 풀려 나와 서유방(徐有防)·이시수(李時秀) 등과 함께 정리사(整理使)가 되었으며, 이조참의로 재차 임명되었으나 황단대향(皇壇大享)의 헌관으로 의빈(儀賓)을 전차(塡差)했다 하여 파면되었다. 1800년(순조 즉위년) 도승지에 임명되었고, 선혜청제조·관상감제조·이조참판·홍문관제학을 거쳐 실록청이 개국될 때 양관 대제학을 겸하였다. 이 해 수렴청정을 하던 정순왕후(貞純王后)가 시파를 추방하기 위해 일으킨 신유박해로 강진현 신지도(薪智島)에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 나와 예조판서·전라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전라도관찰사로 재직할 때 척신 김조순(金祖淳)의 사주를 받은 옥당(玉堂)으로부터 서학을 신봉했다는 탄핵을 받아 신지도에 안치되었다가 곧 참형당하였다. 헌종 초에 신원되었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펼치기
전송렬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문학 석.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한성대, 장로회신학대 강사를 역임하고, 현재 연세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