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생산자동화와 CIM

생산자동화와 CIM

(제2판)

Mikell P. Groover (지은이), 한영근 (옮긴이)
시그마프레스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생산자동화와 CIM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생산자동화와 CIM (제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84452053
· 쪽수 : 730쪽
· 출판일 : 2005-09-10

목차

역자서문 저자서문 제1장 서론 = 1 1.1 생산시스템의 설비 = 2 1.1.1 소량생산 = 4 1.1.2 중량생산 = 5 1.1.3 대량생산 = 6 1.2 제조지원시스템 = 7 1.3 생산시스템의 자동화 = 9 1.3.1 자동제조시스템 = 9 1.3.2 컴퓨터화된 제조지원시스템 = 12 1.3.3 자동화 추진 이유 = 13 1.4 자동화 원칙과 전략 = 14 1.4.1 USA 원칙 = 14 1.4.2 자동화와 생산시스템의 10대 전략 = 15 1.4.3 자동화 구현 전략 = 17 1.5 이 책의 구성 = 19 참고문헌 = 20 제2장 제조공정 = 21 2.1 제조업과 제품 = 25 2.2 제조공정 = 28 2.2.1 가공과 조립공정 = 28 2.2.2 기타 공정 = 30 2.3 제품과 생산의 관계 = 31 2.3.1 생산량과 제품 다양성 = 31 2.3.2 제품복잡성과 부품복잡성 = 32 2.4 생산개념과 수학적 모델 = 35 2.4.1 생산율 = 35 2.4.2 생산능력 = 37 2.4.3 가동률과 가용률 = 39 2.4.4 제조리드타임 = 40 2.4.5 재공재고 = 42 2.5 제조비용 = 43 2.5.1 고정비와 변동비 = 43 2.5.2 직접노동비, 자재비, 간접비 = 44 참고문헌 = 47 연습문제 = 48 제Ⅰ부 자동화와 제어기술 제3장 자동화의 기초 = 55 3.1 자동시스템의 기본요소 = 57 3.1.1 자동프로세스 수행을 위한 동력 = 58 3.1.2 명령프로그램 = 59 3.1.3 제어시스템 = 63 3.2 발전된 자동화 기능 = 65 3.2.1 안전 모니터링 = 65 3.2.2 유지보수 및 진단 = 66 3.2.3 에러 감지 및 복구 = 67 3.3 자동화 계층 = 70 참고문헌 = 72 제4장 산업용 제어시스템 = 73 4.1 공정산업과 이산제조산업 = 73 4.1.1 자동화 계층 = 74 4.1.2 변수와 파라미터 = 75 4.2 연속제어와 이산제어 = 76 4.2.1 연속제어시스템 = 76 4.2.2 이산제어시스템 = 80 4.3 컴퓨터이용 공정제어 = 81 4.3.1 제어의 요구조건 = 83 4.3.2 컴퓨터이용 제어의 능력 = 84 4.3.3 산업용 공정제어의 계층 = 88 4.4 컴퓨터이용 공정제어의 형태 = 89 4.4.1 컴퓨터이용 공정감시 = 90 4.4.2 직접디지털제어 = 91 4.4.3 NC와 로봇 = 92 4.4.4 PLC = 93 4.4.5 감독제어 = 93 4.4.6 분산제어시스템과 PC = 94 참고문헌 = 99 제5장 제어시스템 구성요소 = 101 5.1 센서 = 102 5.2 액츄에이터 = 104 5.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 105 5.4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 108 5.5 이산데이터 입출력 장치 = 111 5.5.1 접촉 입출력 인터페이스 = 111 5.5.2 펄스계수기와 펄스생성기 = 111 참고문헌 = 112 연습문제 = 112 제6장 수치제어(NC) = 115 6.1 NC 기술의 기초 = 118 6.1.1 NC 시스템의 기본 요소 = 118 6.1.2 NC 좌표계 = 119 6.1.3 운동제어시스템 = 120 6.2 CNC = 123 6.2.1 CNC의 기능 = 123 6.2.2 CNC의 기계제어유닛 = 125 6.2.3 CNC 소프트웨어 = 127 6.3 DNC = 128 6.3.1 직접 수치제어 = 128 6.3.2 분산 수치제어 = 129 6.4 NC의 응용 = 131 6.4.1 공작기계 응용 = 131 6.4.2 기타 NC 응용 = 134 6.4.3 NC의 장단점 = 135 6.5 NC 파트프로그래밍 = 137 6.5.1 NC 코드 체계 = 137 6.5.2 수동 NC 프로그래밍 = 144 6.5.3 컴퓨터이용 NC 프로그래밍 = 150 6.5.4 APT를 이용한 파트프로그래밍 = 153 6.5.5 CAD/CAM을 이용한 파트 프로그래밍 = 165 6.6 NC 위치제어시스템의 공학적 분석 = 167 6.6.1 개루프 위치제어시스템 = 168 6.6.2 폐루프 위치제어시스템 = 171 6.6.3 NC 위치제어의 정밀도 = 173 참고문헌 = 176 연습문제 = 176 제7장 산업용 로봇 = 185 7.1 로봇의 구조와 속성 = 187 7.1.1 관절과 링크 = 187 7.1.2 로봇 형상 = 189 7.1.3 관절구동 시스템 = 192 7.2 로봇제어시스템 = 193 7.3 엔드이펙터 = 195 7.3.1 그립퍼 = 195 7.3.2 공구 = 196 7.4 로봇 센서 = 197 7.5 산업용 로봇의 응용 = 197 7.5.1 자재취급 응용 = 199 7.5.2 공정수행 = 200 7.5.3 조립과 검사 = 203 7.6 로봇 프로그래밍 = 204 7.6.1 교시형 프로그래밍 = 205 7.6.2 로봇 프로그래밍 언어 = 208 7.6.3 시뮬레이션과 오프라인 프로그래밍 = 213 7.7 로봇의 기구학 = 214 참고문헌 = 222 연습문제 = 223 제8장 PLC와 PC를 이용한 이산제어 = 227 8.1 이산 공정제어 = 227 8.1.1 논리제어 = 228 8.1.2 순차제어 = 234 8.2 사다리 논리도 = 235 8.3 PLC = 239 8.3.1 PLC의 구성 = 239 8.3.2 PLC 동작사이클 = 242 8.3.3 PLC의 부가 기능 = 242 8.3.4 PLC 프로그래밍 = 243 8.4 소프트논리 이용 PC = 246 참고문헌 = 248 연습문제 = 249 제Ⅱ부 자재취급과 식별 기술 제9장 자재취급의 개요 = 253 9.1 자재취급 장비 = 254 9.2 자재취급시스템 설계시 고려사항 = 257 9.2.1 물자의 특성 = 257 9.2.2 흐름률, 경로설정, 일정계획 = 258 9.2.3 공장배치 = 259 9.3 자재취급의 10 원칙 = 260 참고문헌 = 263 제10장 자재운반시스템 = 265 10.1 산업용 트럭 = 265 10.2 무인운반차량 시스템 = 268 10.2.1 차량의 유형과 적용분야 = 268 10.2.2 차량유도 기술 = 270 10.2.3 차량관리와 안전 = 272 10.3 모노레일과 궤도차량 = 275 10.4 컨베이어 시스템 = 275 10.4.1 컨베이어의 종류 = 275 10.4.2 컨베이어의 작동방식과 특성 = 280 10.5 크레인과 호이스트 = 281 10.6 자재운반시스템의 분석 = 283 10.6.1 자재운반에서의 도표이용법 = 283 10.6.2 차량시스템 분석 = 284 10.6.3 컨베이어 분석 = 288 참고문헌 = 293 연습문제 = 294 제11장 보관시스템 = 299 11.1 보관시스템의 수행도 = 299 11.2 보관위치 전략 = 301 11.3 전통적인 보관방법과 장비 = 303 11.4 자동보관시스템 = 306 11.4.1 자동창고시스템 = 306 11.4.2 회전랙시스템 = 311 11.5 보관시스템의 정량적 분석 = 313 11.5.1 자동창고시스템 = 313 11.5.2 회전랙시스템 = 318 참고문헌 = 320 연습문제 = 321 제12장 자동 데이터수집 = 325 12.1 자동인식 방법의 개요 = 326 12.2 바코드 기술 = 328 12.2.1 선형(일차원) 바코드 = 328 12.2.2 이차원 바코드 = 335 12.3 기타 ADC 기술 = 337 12.3.1 무선주파수인식 = 337 12.3.2 마그네틱띠 = 338 12.3.3 광학문자인식 = 338 12.3.4 머신비전 = 339 참고문헌 = 339 제Ⅲ부 제조시스템 제13장 제조시스템의 기초 = 343 13.1 제조시스템의 구성요소 = 344 13.1.1 생산기계 = 344 13.1.2 자재취급시스템 = 345 13.1.3 컴퓨터제어시스템 = 348 13.1.4 인적 자원 = 348 13.2 제조시스템의 분류 = 349 13.2.1 수행공정의 유형 = 349 13.2.2 작업장의 수와 배치 = 349 13.2.3 자동화 수준 = 350 13.2.4 부품 및 제품의 다양성 = 353 13.3 분류체계 = 356 13.3.1 Type Ⅰ 제조시스템 : 단일작업장 = 357 13.3.2 Type Ⅱ 제조시스템 : 다수작업장 셀 = 358 13.3.3 Type Ⅲ 제조시스템 : 생산라인 = 358 13.4 생산진보함수(학습곡선) = 359 참고문헌 = 362 연습문제 = 362 제14장 단일작업장 제조셀 = 365 14.1 단일작업장 수동셀 = 366 14.2 단일작업장 자동셀 = 367 14.2.1 무인셀 공정을 위한 조건 = 367 14.2.2 부품저장 보조시스템 및 자동부품이송 = 368 14.3 단일작업장 셀의 적용 = 371 14.3.1 단일작업장 수동셀의 적용 = 372 14.3.2 단일작업장 자동셀의 적용 = 372 14.3.3 CNC 머시닝센터 및 터닝센터 = 373 14.4 단일작업장 시스템의 분석 = 375 14.4.1 작업장의 수 = 375 14.4.2 기계군 = 380 참고문헌 = 383 연습문제 = 383 제15장 그룹테크놀러지 및 셀형 생산 = 387 15.1 부품군 = 389 15.2 부품분류 및 코딩 = 391 15.2.1 부품분류 및 코딩시스템의 특징 = 392 15.2.2 부품분류 및 코딩시스템의 예 = 393 15.3 생산흐름분석 = 396 15.4 셀형생산 = 399 15.4.1 가상조합부품 개념 = 400 15.4.2 기계셀 설계 = 401 15.5 GT 적용시 고려사항 = 404 15.6 셀형생산의 정량적 분석 = 406 15.6.1 Rank Order Clustering에 의한 부품 및 기계 그룹화 = 406 15.6.2 GT셀에서의 기계배치 = 411 참고문헌 = 415 연습문제 = 417 제16장 유연생산시스템 = 423 16.1 FMS의 정의 = 425 16.1.1 유연성 = 425 16.1.2 FMS의 종류 = 428 16.2 FMS의 구성요소 = 432 16.2.1 작업장 = 432 16.2.2 자재취급 및 보관시스템 = 433 16.2.3 컴퓨터제어시스템 = 438 16.2.4 인적자원 = 440 16.3 FMS 적용 및 이점 = 440 16.3.1 FMS의 적용 = 441 16.3.2 FMS의 이점 = 445 16.4 FMS의 정량적 분석 = 445 16.4.1 병목 모델 = 446 16.4.2 FMS의 규모 = 455 16.4.3 FMS 관련 수식의 의미 = 457 참고문헌 = 458 연습문제 = 460 제17장 수동조립라인 = 465 17.1 수동조립라인의 기초 = 466 17.1.1 조립작업장 = 468 17.1.2 작업단위 이송시스템 = 470 17.1.3 라인 속도 = 472 17.1.4 제품의 다양성 = 473 17.2 조립시스템의 방안 = 474 17.3 조립감안 설계 = 476 17.4 단일모델 조립라인의 분석 = 477 17.4.1 재위치 손실 = 479 17.4.2 라인밸런싱 문제 = 481 17.4.3 작업장에 대한 고려 = 485 17.5 라인밸런싱 알고리즘 = 486 17.5.1 최대후보규칙 = 486 17.5.2 킬브리지-웨스터 방법 = 488 17.5.3 위치가중치 방법 = 490 17.6 혼합모델 조립라인 = 492 17.6.1 라인의 작업자수 결정 = 492 17.6.2 혼합모델 라인밸런싱 = 493 참고문헌 = 497 연습문제 = 499 제18장 자동생산라인(트랜스퍼라인) = 503 18.1 자동생산라인의 기초 = 504 18.1.1 시스템 형태 = 505 18.1.2 부품이송 메커니즘 = 508 18.1.3 저장버퍼 = 510 18.2 트랜스퍼라인의 정량적 분석 = 511 18.2.1 기본용어와 성능지표 = 512 18.2.2 작업장 고장의 분석 = 515 18.2.3 수식의 의미 = 518 참고문헌 = 519 연습문제 = 520 제19장 자동조립시스템 = 523 19.1 자동조립시스템의 기초 = 524 19.1.1 시스템 형태 = 524 19.1.2 작업장의 부품공급 = 526 19.1.3 자동조립의 적용 = 529 19.2 자동조립을 위한 설계 = 530 19.3 자동조립시스템의 정량적 분석 = 531 19.3.1 작업장의 부품공급 시스템 = 531 19.3.2 다수작업장 조립기계 = 533 19.3.3 단일작업장 조립기계 = 538 19.3.4 수식의 의미 = 540 참고문헌 = 541 연습문제 = 542 제Ⅳ부 품질관리시스템 제20장 품질관리의 개요 = 549 20.1 품질의 정의 = 550 20.1.1 품질의 차원 = 551 20.1.2 설계와 제조에 있어서의 품질 = 551 20.2 전통적 및 현대적 품질관리 = 553 20.2.1 전통적 품질관리 = 554 20.2.2 현대적 품질관리 = 555 20.3 품질공학과 다구치방법 = 556 20.3.1 오프라인과 온라인 품질관리 = 556 20.3.2 강건설계 = 559 20.3.3 다구치 손실함수 = 559 20.4 ISO 9000 = 566 참고문헌 = 569 연습문제 = 570 제21장 통계적 공정관리 = 573 21.1 공정변동성과 공정능력 = 574 21.1.1 공정변동 = 574 21.1.2 공정능력과 공차 = 574 21.2 관리도 = 577 21.2.1 변량관리도 = 577 21.2.2 속성관리도 = 580 21.2.3 관리도의 해석 = 582 21.3 기타 SPC 도구들 = 583 21.3.1 히스토그램 = 583 21.3.2 파레토도 = 585 21.3.3 체크시트 = 585 21.3.4 산점도 = 586 21.3.5 특성요인도 = 587 참고문헌 = 588 연습문제 = 588 제22장 검사의 개요 = 591 22.1 검사의 기초 = 592 22.1.1 검사의 유형 = 592 22.1.2 검사의 절차 = 592 22.1.3 검사와 시험 = 593 22.2 샘플링검사와 전수검사 = 594 22.2.1 샘플링검사 = 594 22.2.2 전수검사 = 595 22.3 자동검사 = 595 22.4 검사의 시점과 장소 = 596 22.4.1 오프라인검사와 온라인검사 = 597 22.4.2 제품검사와 공정모니터링 = 598 22.4.3 분산검사와 최종검사 = 599 참고문헌 = 600 제23장 검사기술 = 601 23.1 검사 측정학 = 602 23.1.1 측정장비의 특성 = 602 23.1.2 측정표준과 단위시스템 = 605 23.2 접촉 및 비접촉 검사기술 = 607 23.2.1 접촉 검사기술 = 607 23.2.2 비접촉 검사기술 = 608 23.3 전통적인 측정 및 게이징 기술 = 609 23.4 3차원 좌표측정기 = 610 23.4.1 CMM의 구조 = 612 23.4.2 CMM의 작동과 프로그래밍 = 614 23.4.3 기타 CMM 소프트웨어 = 616 23.4.4 CMM의 적용과 효과 = 620 23.4.5 유연검사시스템 = 622 23.4.6 공작기계의 검사탐침 = 623 23.5 표면 측정 = 624 23.6 머신비전 = 625 23.6.1 이미지 획득과 디지털화 = 626 23.6.2 이미지 처리와 분석 = 630 23.6.3 해석 = 631 23.6.4 머신비전의 응용 = 631 23.7 기타 광학 검사기술 = 632 참고문헌 = 634 연습문제 = 636 제Ⅴ부 제조지원시스템 제24장 제품설계와 CAD/CAM = 641 24.1 제품설계와 CAD = 642 24.1.1 설계과정 = 643 24.1.2 실계에서의 컴퓨터 이용 = 644 24.2 CAD 시스템 하드웨어 = 649 24.3 CAM, CAD/CAM, CIM = 652 24.3.1 CAM = 652 24.3.2 CAD/CAM = 654 24.3.3 CIM = 655 24.4 품질기능전개 = 657 참고문헌 = 662 연습문제 = 663 제25장 공정계획과 동시공학 = 665 25.1 공정계획 = 665 25.1.1 부품가공의 공정계획 = 666 25.1.2 조립의 공정계획 = 668 25.2 컴퓨터이용 공정계획 = 668 25.2.1 변성형 CAPP 시스템 = 669 25.2.2 창성형 CAPP 시스템 = 671 25.3 동시공학과 제조감안설계 = 671 25.3.1 제조/조립감안 설계 = 673 25.3.2 기타 제품설계 방법론 = 675 참고문헌 = 676 제26장 생산계획 및 통제 = 679 26.1 총괄생산계획과 기준생산계획 = 681 26.2 자재소요계획(MRP) = 682 26.2.1 MRP의 입력 = 683 26.2.2 MRP의 전개과정 = 685 26.2.3 MRP의 출력과 이점 = 687 26.3 생산능력계획 = 689 26.4 제조현장통제 = 690 26.4.1 작업지시발부 = 690 26.4.2 작업일정계획 = 691 26.4.3 작업수행 = 692 26.4.4 현장데이터수집 시스템 = 692 26.5 재고관리 = 693 26.5.1 주문점재고시스템 = 693 26.5.2 재주문점재고시스템 = 695 26.6 제조자원계획 = 696 26.7 Just-in-time 생산시스템 = 698 26.7.1 풀 시스템 = 698 26.7.2 뱃치크기의 소량화와 셋업시간의 단축 = 700 26.7.3 생산공정의 안정화와 신뢰성 증진 = 700 참고문헌 = 701 연습문제 = 702 제27장 린생산과 민첩생산 = 705 27.1 린생산 = 705 27.2 민첩생산 = 707 27.2.1 시장의 현실과 민첩성의 배경 = 708 27.2.2 민첩성을 위한 생산시스템의 재조직 = 709 27.2.3 민첩성을 위한 관계 관리 = 710 27.2.4 민첩생산과 대량생산의 비교 = 711 27.3 린생산과 민첩생산의 비교 = 712 참고문헌 = 714

저자소개

Mikell P. Groover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Lehigh 대학교 기계공학 학사, 산업공학 석사·박사 교육연구 분야:제조공정, 생산시스템, 자동화, 자재취급, 설비계획, 작업관리 수상:Albert G. Holzman Outstanding Educator Award(미국산업공학회, 1995), SME Education Award(미국생산공학회, 2001) 현재 Lehigh 대학교 산업시스템공학과 명예 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