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임상에서 꼭 알아야 될 치과 국소마취 Q&A

임상에서 꼭 알아야 될 치과 국소마취 Q&A

Kaneko Yuzuru (지은이), 김여갑 (옮긴이)
지성출판사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임상에서 꼭 알아야 될 치과 국소마취 Q&A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임상에서 꼭 알아야 될 치과 국소마취 Q&A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치과학 > 치과 마취 과학
· ISBN : 9788984841680
· 쪽수 : 193쪽
· 출판일 : 2008-05-30

목차

1. 카트릿지?기구
Q 1-1 카트릿지를 재사용하면 안 되는지. 1
Q 1-2 카트릿지를 보관할 때 해서는 안 되는 사항. 2
Q 1-3 카트릿지를 어떻게 소독하는지. 4
Q 1-4 사용 후의 주사침 및 카트릿지 처리와 주사기 소독은 어떻게 하는지. 5
Q 1-5 에피네프린이 함유된 리도카인 카트릿지는 어떻게 희석하는지. 6
Q 1-6 자동흡인식 주사기는 도움이 되는지. 그리고 그 사용법은. 7
Q 1-7 전동주사기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지. 8
Q 1-8 방부제를 첨가한 국소마취 카트릿지와 첨가하지 않은 국소마취 카트릿지의
보존방법의 차이는 무엇인지. 9
Q 1-9 주사침에 뚜껑을 씌울 경우 올바른 방법은 무엇인지. 10

2. 약 리
Q 2-1 국소마취제가 조직 및 세포에 장애를 주는지. 11
Q 2-2 국소마취제의 기준최고용량이란. 13
Q 2-3 약제 설명서에 있는 국소마취제 중독의 LD50(mg/kg)은 어떻게 이해하면 되는지. 14
Q 2-4 국소마취제 중독은 치과사용량만으로도 일어날 수 있는지. 16
Q 2-5 각 국소마취제의 심도를 비교함에 있어서 편리한 지표는 무엇인지. 17

3. 적 응
Q 3-1 금기증 이외에 국소마취를 하지 않는 것이 좋은 경우가 있는지. 18
Q 3-2 에피네프린 첨가 리도카인, 페리프레신 첨가 프로피토카인, 에피네프린 첨가
프로피토카인는 각각 어떻게 사용하는지. 20
Q 3-3 혈관수축제가 첨가되지 않은 메피바카인 제제(스캔드네스트£o 카트릿지)의 적응증은. 22
Q 3-4 리도카인과 다른 국소마취제를 병용할 수 있는지. 23
Q 3-5 어떤 경우 에피네프린이 첨가된 리도카인을 희석하는지. 24
Q 3-6 치과에서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국소마취제의 특징은. 26

4. 전신관리
Q 4-1 국소마취 시의 위해관리(risk management)란. 28
Q 4-2 치과진료실에 준비해 두는 것이 좋은 모니터와 그 사용대상은 무엇인지. 29
Q 4-3 국소마취를 할 때에 주의를 필요로 하는 질환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그리고 그 주의점은 무엇인지. 32
Q 4-4 고혈압 환자의 경우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35
Q 4-5 고혈압 환자가 복용하고 있는 약과 국소마취제와의 관계에서 주의가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40
Q 4-6 당뇨병을 이해하기 위한 포인트는 무엇인지. 42
Q 4-7 간질환을 이해하기 위한 포인트는 무엇인지. 44
Q 4-8 국소마취 주사에 대하여 극도의 혐오감을 가지고 있고, 불안감을 호소하는
환자에게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 47
Q 4-9 순환계 질환 환자에게는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48
Q 4-10 항혈전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에게 국소마취를 할 때의 주의점은 무엇인지. 53

5. 혈관수축제
Q 5-1 혈관수축제를 첨가하는 목적과 부작용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55
Q 5-2 혈관수축제의 약리작용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혈관수축제가 금기인 환자와 그 이유는. 56
Q 5-3 노르에피네프린이 혈관수축제로 사용되지 않게 된 이유는 무엇인지. 58
Q 5-4 국소마취제의 설명서에 기재되어 있는 금기, 원칙적인 금기, 신중 투여라는 의미는
무엇인지. 60
Q 5-5 에피네프린의 원칙적인 금기란. 61
Q 5-6 혈관수축제의 농도와 마취효과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62
Q 5-7 페리프레신은 관동맥질환 환자에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 64
Q 5-8 혈관수축제에 의한 알레르기가 발생될 수 있는지. 66

6. 표면마취
Q 6-1 국소마취를 할 때에 표면마취의 필요성은. 67
Q 6-2 표면마취를 위하여 이용하는 리도카인 스프레이, 리도카인 젤리는 어느 정도까지
사용할 수 있는지. 68
Q 6-3 표면마취 효과가 충분하게 나타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지. 69
Q 6-4 표면마취에는 살균작용이 있는지. 70
Q 6-5 표면마취제 중 스프레이와 연고 등의 사용은 어떻게 하면 좋은지. 71
Q 6-6 표면마취를 할 때의 포인트는. 72

7. 침윤마취
Q 7-1 국소마취를 위한 주사침 자입 시 통증을 주지 않는 방법은. 73
Q 7-2 하악 설측의 침윤마취가 왜 위험한지. 74
Q 7-3 침윤마취의 기본 원칙은 무엇인지. 76
Q 7-4 치아의 마취를 위한 침윤마취의 표준적인 방법은. 77
Q 7-5 얇고 가는 주사침을 이용하면 통증이 적은지. 80
Q 7-6 국소마취 시에 주사침을 구부려서 사용하여도 괜찮은지. 82
Q 7-7 국소마취제의 주입속도가 느리면 통증이 적어지는지. 83

8. 하악신경전달마취
Q 8-1 하악신경전달마취를 하는 방법은. (자입점, 방향, 약제용량) 84
Q 8-2 하악신경전달마취 시 혈액이 카트릿지내로 흡인되었는데,
그 후에는 어떻게 하면 좋은지. 86
Q 8-3 전달마취로 마취제를 주입할 때에 어떤 주의를 하면 좋은지. 87
Q 8-4 혈관 내에 마취제가 들어간 것 같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지. 88
Q 8-5 에피네프린 첨가 리도카인으로 전달마취한 후 마취가 깰 때까지 4시간이나 걸렸다.
카트릿지의 보관방법이 안 좋은 것인지. 원인은 무엇인지. 90
Q 8-6 하악신경전달마취 후 개구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원인과 치료는. 91
Q 8-7 전달마취 시 마취효과 작용 범위는. 92
Q 8-8 하악신경전달마취 후 비순구 상실, 안검의 폐쇄부전, 입술의 움직임이 안 좋아졌다.
전달마취가 원인인지. 93
Q 8-9 전동주사기를 하악공전달마취에 사용할 수 있는지. 94
Q 8-10 임프란트 시 전달마취가 필요한지. 95
Q 8-11 Gow-Gates법이란 어떠한 방법인지. 96

9. 치근막내주사
Q 9-1 치근막내주사에 사용하는 국소마취제의 종류는. 98
Q 9-2 치근막내주사의 적응과 효과는. 99
Q 9-3 치근막내주사의 합병증과 그 대처법은. 100

10. 마취방법
Q 10-1 발치 시와 발수 시의 마취법의 차이는. 104
Q 10-2 스켈링과 치주낭소파수술을 할 때 마취 시 주의점은. 105
Q 10-3 농양절개를 위한 마취법은. 106
Q 10-4 마취효과가 좋은 국소마취를 위한 포인트는 무엇인지. 107
Q 10-5 침윤마취 시 자입점은 어느 위치에 하면 좋은지. 108

11. 마취효과
Q 11-1 침윤마취의 마취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원인은. 110
Q 11-2 침윤마취가 되지 않는 경우의 대처법은. 111
Q 11-3 하악신경전달마취가 되지 않는 이유와 그 대책은. 113
Q 11-4 에피네프린의 첨가 유무에 따라 국소마취의 임상적인 효과에 변함은 없는지. 115
Q 11-5 침윤마취에서 마취가 5~10분이 경과하여도 마취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다른 롯트(회사명)의 제품을 사용하였더니 효과가 나타났다. 이 원인은
어떤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는가 그리고 제품시험을 실시한 결과 제품에는 문제가 없었다.
Q 11-6 환자를 수평으로 누이고 전달마취를 하면 효과가 좋다는 것이 진실인지. 119
Q 11-7 국소마취가 잘 되지 않는 환자에 대해 어떻게 하면 되는지. 120
Q 11-8 국소마취가 잘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환자에 대한 대응은. 122
Q 11-9 마취효과가 약한 경우 동일 부위에 어느 정도의 양을 더 주입해도 괜찮은지. 123

12. 임부
Q 12-1 치과용 마취제가 임부 및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124

13. 어린이?고령자
Q 13-1 어린이에게 국소마취를 할 때의 주의사항은. 126
Q 13-2 어린이에 대한 전달마취의 필요성은. 127
Q 13-3 국소마취 시에 어린이가 자는 경우가 있는데 국소마취제가 원인인지. 129
Q 13-4 어린이에게 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은. 130
Q 13-5 고령자에게 국소마취를 할 때의 주의사항은. 131
Q 13-6 고령자에게 하악신경전달마취를 할 때 주의점은. 132

14. 국소적인 합병증
Q 14-1 침윤마취 후 여러 명의 환자에서 구내염(궤양)이 발생되었다.
그 원인과 치료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133
Q 14-2 하악신경전달마취 중에 주사침이 부러져 버린 경우 어떻게 하면 좋을지. 135
Q 14-3 하악신경전달마취 후 몇 일이 지나도 구순부의 지각둔감 현상이 사라지지 않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지. 137
Q 14-4 하악신경전달마취나 발치 시술 시 설신경 마비가 일어나는지. 139

15. 전신적인 우발증
Q 15-1 국소마취 시 발생되는 전신적인 우발증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지. 141
Q 15-2 염산 프로피토카인으로 발생되는 메타헤모글로빈혈증이란. 144
Q 15-3 국소마취제에 의하여 일어나는 중증의 전신적 우발증에는 무엇이 있는지.
그 예방법은 무엇인지. 145
Q 15-4 침윤마취에 의하여 약간의 두통이 발생되어 당일의 치료를 중지하였다.
몇 일 후에 침윤마취를 하였을 때에는 두통이 없었는데 초진 시 두통의 원인은
어떠한 것을 추정해 볼 수 있는지. 147
Q 15-5 국소마취 시의 전신적인 우발증에 대하여 초기 치료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148
Q 15-6 치과 치료 시에 발생되는 전신적인 우발증의 빈도는. 153
Q 15-7 치과 치료 시에 발생되는 전신적인 우발증의 원인은. 154
Q 15-8 하악신경전달마취 후에 환자의 안색이 순식간에 파래졌다. 어떻게 하면 좋을지. 155
Q 15-9 혈관미주신경반사란 무엇인지. 156
Q 15-10 상악 제1대구치 협측에 침윤마취를 하였을 때 안와하부에 빈혈부위가 생겼다가
1시간 정도 후에 사라졌다. 그 후에는 어떠한 치료가 필요한지. 157

16. 알레르기
Q 16-1 국소마취제에 의한 알레르기의 기본적인 사항이란. 158
Q 16-2 약제 알레르기의 종류와 증상은. 159
Q 16-3 국소마취제에 의한 알레르기의 종류와 기전은 무엇인지. 161
Q 16-4 치과에서 알레르기라고 진단된 환자에게 어떻게 대처를 할지. 163
Q 16-5 국소마취제를 처음으로 사용하는 환자에게는 알레르기가 일어나지 않는지. 164
Q 16-6 국소마취제의 종류에 따라 알레르기가 쉽게 일어나고 일어나지 않는
차이가 있는지. 165
Q 16-7 국소마취제에 의한 anaphylaxis와 혈관미주신경반사와의 감별법은. 166
Q 16-8 알레르기 검사와 그 유용성은. 167
Q 16-9 알레르기 양성 환자에게 국소마취를 하는 경우의 주의사항은. 169
Q 16-10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났을 때의 치료는. 170
Q 16-11 피부의 검사는 어떻게 하는 것인지. 174
Q 16-12 anaphylaxis shock 발생은 일반적으로 5~10분 이내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5시간 이후에도 쇼크가 일어나는지.(쇼크의 지연형도 있는 것인지) 177
Q 16-13 국소마취제 또는 그 첨가물에 의한 anaphylaxis가 의심 되는
환자에게 실시하는 검사법은. 178
Q 16-14 화분증이나 천식, 음식물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에게 사전 알레르기
검사가 필요한지. 179

17. 구급치료
Q 17-1 치과의사의 구급, 구명치료에 관한 행정적인 조치에 대한 의견은. 180
Q 17-2 일반 치과진료실에서의 구급용품과 약품은 어떠한 것들을 갖추고 있어야 하는지. 181
Q 17-3 국소마취 시 생징 후(vital sign), 특히 혈압과 맥박이 변화되었을 때에
어떠한 위험 증상으로 이해하면 되는지. 184
Q 17-4 구급치료의 순서는. 186
Q 17-5 심폐소생법 가이드라인 2005에 근거한 구급체제는. 187
Q 17-6 AED란 무엇인가. 192
Q 17-7 B형 간염(HB) 바이러스 감염자에게 사용한 주사침이 자신의 손가락에 찔렸을 때의
대처법은. 193
색 인 194

저자소개

Kaneko Yuzuru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김여갑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대한치의학회 회장, 대한치과마치과학회 회장, 대한치과의사협회 학술담당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미국 텍사스대학교 사우스웨스턴의료원 헬스사이언스센터의 교환교수를 지냈으며, 일본 오사카 치과대학교 객원 교수로 일하고 있습니다. 치의학과 관련된 다양한 책과 번역서를 출간했습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