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특수교육학
· ISBN : 9788985176620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0-03-30
목차
역자서문
저자서문
감수평
들어가는 말
1. 자폐-스펙트럼-장애는 무엇인가?
1.1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가?
1.2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어떻게 진단되는가?
1.3 자폐-스펙트럼-장애에는 어떤 초기 증상이 있는가?
1.4 자폐아동의 예후를 위해 무엇이 중요한가?
1.5 요약
2. 어떤 치료방법들이 있는가?
2.1 "만병통치약"이 있는가?
2.2 구조화된 치료란 무엇인가?
2.3 요약
3.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위한 다양한 치료방법들
3.1 구조화된 치료(ST)는 어떤 특성이 있는가?
3.2 구조화된 치료(ST)가 왜 의미가 있는가?
3.3 구조화된 치료(ST)는 어떤 효과가 있는가?
3.4 요약
4. 행동문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4.1 행동문제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4.2 행동분석의 구체적인 단계는 어떤 것인가?
4.3 요약
5. 행동이 어떻게 일어날 수 있는가?
5.1 강화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5.2 자연적인 강화는 어떤 것인가?
5.3 토큰 강화란 무엇인가?
5.4 가장 적절한 강화물을 어떻게 찾을 수 있나?
5.5 요약
6. 구체적으로 어떻게 치료를 구성해나갈 것인가?
6.1 공간과 자료들
6.2 첫 치료시간
6.3 아동중심 방식과 치료사중심 방식은 어떻게 다른가?
6.4 자료들의 사용에 대한 지침
6.5 개별적 치료계획의 발달
6.6 요약
7. STEP-커리큘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위한 훈련과제
7.1 주의력, 눈맞춤, 함께 바라보기
7.2 분류
7.3 모방
7.4 언어의 이해
7.5 적극적 의사소통 - 첫 표현
7.6 의사소통의 확장
7.7 놀이행동과 사회적 행동
7.8 자조기술과 자립성
8. 가정에서의 치료프로그렘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가?
8.1 가정에서의 훈련프로그렘이란 무엇인가?
8.2 왜 가정에서의 훈련프로그렘이 중요한가?
8.3 누가 자폐아동을 훈련할 수 있는가?
8.4 가정에서의 훈련은 어떻게 조직할 수 있는가?
9. 발달장애
9.1 발달장애란 무엇인가?
9.2 다중 지능이란 무엇인가?
9.3 발달장애 아동들에게 구조화된 치료프로그램이 도움을 줄 수 있는가?
9.4 요약
10. 비디오 상담
10.1 비디오 상담이란 무엇인가?
10.2 비디오 상담이 왜 의미가 있는가?
10.3 비디오 상담은 어떻게 실시되는가?
10.4 비디오 상담의 도움을 누가 받을 수 있는가?
10.5 비디오 상담을 어디에서 더 많이 알 수 있는가?
나오는 말
용어정리
참고문헌
관련 웹사이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