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85467650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08-07-23
책 소개
목차
머 리 말
‘제국의 신’에게 생명의 촛불을… | 이재정
|제1부| 제국의 신
1. 제국과 기독교의 역사 | 손규태
들어가는 글
제국과 기독교의 종합(콘스탄티누스의 모델)
제국의 확장과 선교정책의 종합(칼 대제의 모델)
교회와 십자군 전쟁(교황 그레고리7세의 모델)
식민지 정복과 선교(콜럼버스의 모델)
반식민지와 선교(라스카사스와 지겐발크 모델)
세계화와 선교의 종합(네오콘의 모델)
맺는 글
2. 21세기에 나타난 새 제국의 도전 | 김용복
새 지구제국(Global Empire)의 출현
지구제국의 내면 역사
지구제국에 대한 대응
예수의 생명전기와 생명담론
3. 한국 교회건축의 과거, 현재, 미래 | 이정구
들어가는 글
과거: 한국교회건축 약사
현재: 신도시 지역
미래
맺는 글
4. 장벽을 넘어 생명으로 | 김기석
들어가는 글
자연 질서 속에서의 경계
제국의 경계
오늘날 제국의 경계들
경계와 하나님
맺는 글
5. 찬송가 속에 담긴 제국주의 사상 | 조인형
찬송가(성가) 속에 나타난 제국주의
1. 제국주의와 음악의 역할
2. 번역가사의 한계성과 극복해야 할 과제
맺는 글
|제2부| 제국의 신과 민중의 신
1. 제국과 민중 | 강원돈
들어가는 글
제국의 탄생에 대한 네그리와 하트의 논거
네그리와 하트의 논거에 대한 검토
지구화 시대의 사회운동에 대해서
2. 제국 시대의 민족과 민중 | 권진관
들어가는 글
제국, 민족, 민중
제국, 민족, 민중의 역학 관계에 대한 성서적인 검토
제국의 애매모호성의 혼동을 넘어서
민중운동과 연결된 예수의 하나님의 나라 운동
제국의 질서에 편입된 민족 국가
민중과 자연을 희생양으로 삼는 세계에 대한 심판과 구원
맺는 글: 희생양이 구원의 메신저이다
3. 제국의 폭력에 맞서는 해방을 위한 신학 | 김민웅
들어가는 글
1. 미국, ‘선의(善意)의 제국’인가?
2. 어떻게 인식이 변해왔고, 또한 변해갈 수 있겠는가?
3. 구체적으로 무엇을 다룰 것인가?
4. 해방의 윤리를 위한 해석학적 기초
-반 패권 투쟁(counter-hegemonic struggle)과 기독교 정치 윤리
제국주의 침탈에 대한 저항과 해방의 신학
1. 가난한 사람들의 인식론적 특권의 문제
2. 종속이론과 세계적 계급투쟁의 문제가 해방신학에서 차지하는 의미
3. ‘생명의 하나님’에 대한 깊은 갈구
4. 예수는 주류사회를 거부함으로써 거부당한 위대한 거부자
5. 1968년 메들린 회의의 혁명적 전환
6. 흑인신학과 해방의 과제
7. 자본주의 문명 전반에 걸친 총체적 분석과 비판의 필요
제국에 대한 저항과 인간해방의 신학을 위해
4. 제국과 혼합주의(Empire and Syncretism) | 양권석
근본주의와 혼합주의의 공생
혼합주의 논쟁
제국의 혼합주의
저항의 혼합주의를 향하여
|제3부| 제국의 신을 넘어
1. 예수, 민족, 제국 | 최영실
들어가는 글
1. 예수의 민중적 민족주의
2. 예수와 제국
3. 제국의 지배에 맞선 예수의 ‘하나님 나라’ 선포
맺는 글
2. 아시아와 한국 - 아시아 상황과 기독교 | 서광선
아시아: 오늘의 화두
아시아의 특징
냉전시대와 아시아
아시아 선교: 우리의 책임
3. 아시아적 성서해석 방법 | 김은규
들어가는 글
아시아적 성서비평 방법과 해석의 준거 틀
정치 . 경제 . 사회적 해석(비평)과 적용
1. 민중신학
2. 달릿(Dalit) 신학
3.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 신학
4. 적용: 이사야의 반제국 사상
종교문화적 해석(비평)과 적용
1. 종교문화적 해석 지평의 확대
2. 적용: 하나님 나라와 정토사상
맺는 글
4. 탈신민주의 관점에서 21세기 신학하기 | 김혜란
들어가는 글
탈식민주의
1. 오리엔탈리즘과 타자화
2. 언어와 문화
3. 장소의 개념을 통한 탈식민 정체성
탈식민주의 여성신학 성서비평
맺는 글
5. 제국 시대의 대안 교육 | 임희숙
들어가는 글
제국 시대의 교육의 특징
1. 제국의 탄생
2. 개발과 소비의 강박
3. 허구적 이미지의 내면화
4. 불의한 지배문화의 은폐
제국 시대의 대안적 교육
1. 유기체적 학습의 발견: 분리와 지배에 대한 저항
2. 대안적 교육문화의 뿌리내리기: 소통과 연대
맺는 글
편집 후기
인간의 권력욕이 ‘신’을 제압 | 김은규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늘날 제국과 민족국가는 동반관계 속에서 신자유주의를 확대하고 받아들이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경제적으로 발전할 수 없고 지구적 경쟁에서 낙오될 것으로 믿고 지금의 지구적이고 경쟁적이고 착취적인 구조 속에 스스로 편입되고 있다.
제국은 말할 것도 없고, 민족(국가)은 민중에게 항상 선하지 않다. 많은 경우, 민중에게 해를 끼친다. 특히 민족과 국가가 신자유주의 정책을 앞장서서 택한 결과는 민족의 지배계층(경제적 강자들, 특히 재벌들)을 살찌우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민족은 곧 지배계층이라는 등식이 역사 속에서 반복되어 왔다. 약소민족이 가지는 적극적인 가치를 과신할 수 없다. 제국과 민족은 힘을 합쳐 오늘날 희생양들을 영속적으로 만들어내는 구조를 만들어 놓았다.-본문 165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