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종교는 돈을 어떻게 넘어서는가

종교는 돈을 어떻게 넘어서는가

류제동, 김명희, 권진관, 김혜경, 이숙진, 최현종, 신익상 (지은이), 성공회대학교 신학연구원 (엮은이)
동연출판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종교는 돈을 어떻게 넘어서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종교는 돈을 어떻게 넘어서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64475973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20-08-05

책 소개

성공회대학교 신학연구원 연구팀은 국내 4대 종교를 대상으로 ''돈'과 종교' 연구과제를 수행하여, <종교는 돈을 어떻게 가르치는가>, <종교인은 돈을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연구 결과물로 출판하였다. 이 책은 이 프로젝트의 세 번째 연구 결과물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류제동 제4차 산업혁명과 불교의 기업가정신― 이나모리 가즈오의 <카르마경영>을 중심으로
I. 들어가는 말
II. 이나모리 가즈오의 카르마경영에서 ‘사고방식’
III. 이나모리 가즈오의 카르마경영에서 이타심
IV. 이나모리 가즈오의 카르마경영에서 일 자체의 중요성
V. 나가는 말

김명희 칼 야스퍼스의 ‘차축시대’를 통해 본 원불교의 ‘정신개벽’
I. 들어가는 말
II. 원불교의 물질개벽과 정신개벽
III. 야스퍼스의 차축시대와 정신개벽
IV.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서 ‘차축시대’와 ‘정신개벽’
V. 나가는 말

권진관 돈과 재물에 대한 경전적 해석 ― 신약성서와 화엄경을 중심으로
I. 서론
II. 화엄경에 나타난 대승불교의 재물관
III. 신약성서에서의 돈에 대한 가르침
IV. 결론: 화엄경과 신약성서의 돈을 보는 공통점과 다른 점

김혜경 돈의 우상화와 천주교의 21세기 생명경제
I. 들어가는 말
II. 현대사회의 돈의 우상화 현상
III. 가톨릭 단체 안에서 경제모델로서, 공유경제
IV. 생명을 살리는 수단으로서 돈의 기능
V. 나가는 말

이숙진 소비자본주의 시대의 기독교와 경제정의
I. 서론
II. 소비자본주의와 대중적 신앙담론의 친화성
III. 서구 기독교사에 나타난 공동체 경제
IV. 한국기독교 공간의 공동체 운동
V. 결론

최현종 돈과 종교: 돈에 대한 종교인의 태도 및 담론 고찰
I. 들어가는 말
II. 돈에 대한 종교별 태도 비교
III. ‘돈’에 대한 종교의 담론
IV. 나가는 말

신익상 돈과 종교의 관계 지형도 ― 가톨릭, 개신교, 불교, 원불교를 중심으로
I. 들어가는 말
II. 통계조사의 개요
III. 결과
IV. 논의: 결론을 대신하며

참고문헌
지은이 알림

저자소개

권진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서울대, 기장 선교교육원에서 공부하고, 미국 Drew University에서 “민중신학적 정치윤리의 모색”이라는 제목으로 박사(Ph.D) 학위 취득 (1990). 현재 한국민중신학회 회장,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KSCF) 이사장을 맡고 있으며, 저서로 『예수, 민중의 상징; 민중, 예수의 상징』 (동연, 2009), 『성령: 민중의 생명』 (나눔사, 2001), 『우리 구원을 이야기하자』 (기독교서회, 1998), 『민중과 성령』 (한국신학연구소, 1993) 등이 있다.
펼치기
김명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에서 종교학과(B.A.)를 졸업한 후 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교에서 종교학 석사(M.A.)를 마쳤으며 뮌헨신학대학교에서 신학박사학위(Th.D)를 받았다. 저서(공저)로는 『한류로 신학하기』, 『세월호 이후의 신학』, 『종교와 정의』, 『소수자의 신학』, 『종교인은 돈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외 다수가 있으며, 독일 관련 연구 논문 외에도 최근에는 루터와 관련된 논문들을 발표했다. 서강대학교와 성공회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서강대학교 종교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있으며, 서강대와 서울장신에서 종교와 신학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최현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였고, 독일 라이프찌히(Leipzig) 대학에서 종교사회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서울신학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이며, 종교사회학회 회장으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 종교인구변동에 관한 연구』(2011, 서울신학대학교 출판부), 『오늘의 사회, 오늘의 종교』(2017, 다산출판사), 『현대사회, 종교, 그리고 돈』(2019, 한국학술정보)이 있으며, 그외에 다수의 논문과 공저가 있다. 번역은 이번이 처음 작업이다.
펼치기
신익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학교 열림교양대학 교수이자 한국교회환경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감리교신학대학교에서 조직신학으로 석사학위를, 종교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된 관심 분야는 종교와 과학, 종교간 대화, 토착화신학, 민중신학, 정치신학, 생태(신)학으로, 지금은 기후위기 속에서 어떻게 모든 종의 미래 세대에게 속죄하며 살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살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바울 해석과 한국 사회 주변부》 《이제 누가 용기를 낼 것인가?》 《변선환 신학연구》가 있으며,《코로나 펜데믹과 기후위기 시대, 생물다양성에 주목하다》 《한국 기독교의보수화, 어느 지점에 있나》 《종교는 돈을 어떻게 넘어서는가》 《포스트휴먼 시대, 생명 신학 교회를 돌아보다》를 비롯해 여러 권을 함께 썼고, 옮긴 책으로는《과학으로 신학하기》가 있다.
펼치기
이숙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숙진의 다른 책 >
류제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대학원에서 종교학(불교학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유학동양학과 강사로 있다. 주요 저서로 『하느님과 일심: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의 종교학과 대승기신론의 만남』(2007), 『텅 빈 충만: 공의 하느님』(John Cobb 외 저, 황경훈 류제동 역, 2009), 『보리수 가지치기: 비판불교를 둘러싼 폭풍』(역서, 2015)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혜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펼치기
성공회대학교 신학연구원 (엮은이)    정보 더보기
이 재 정 | 성공회대학교 신학과, 조직신학 손 규 태 | 성공회대학교 신학과, 명예교수 김 용 복 | 아태생명학대학원대학교 한국생명학연구원 원장 이 정 구 | 성공회대학교 신학과, 종교예술 김 기 석 | 성공회대학교 신학과, 종교와 과학 조 인 형 | 성공회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오르간 전공 강 원 돈 | 한신대학교 신학과, 경제윤리 권 진 관 | 성공회대학교 신학과, 조직신학 김 민 웅 | 성공회대학교 NGO 대학원 초빙교수 양 권 석 | 성공회대학교 신학과, 선교신학/선교해석학 최 영 실 | 성공회대학교 신학과, 신약학 서 광 선 |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 명예교수 김 은 규 | 성공회대학교 신학과, 구약학 김 혜 란 | 한신대학교 교목실, 실천신학 임 희 숙 | 성공회대학교 기독교교육 겸임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이나모리는 코끼리를 생각하지 않으려면 코끼리라는 프레임 자체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프레임에 초점을 두어야 하듯이, 순수한 이타심에 초점을 맞추면 이기적인 욕망의 유혹에서 벗어나기 쉬워진다고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산업혁명의 토대가 된 자본주의의 발전에서 핵심이 되는 주식회사의 발달은 어떤 면에서는 보상을 추구하는 인간의 욕망을 가장 잘 충족시켜주는 시스템이 주식회사 제도이기에 가능했다는 입장에서는(괴츠만, 2019, 401-420) 욕망의 제어가 적절한 선에서 제어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도 있겠다. 이나모리는 이러한 맥락에서 다음과 같이 중국의 고전에 속하는 노자의 ??도덕경??을 인용하여 말하고 있기도 하다.
_ 류제동, <제4차 산업혁명과 불교의 기업가정신> 중에서


소태산은 발달하는 과학 문명에 따라가지 못하는 인간의 정신을 우려하고 있다. 야스퍼스도 과학기술시대의 폐해를 구제할 정신문명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제2의 차축시대를 기대한다. 소태산과 야스퍼스 모두 과학기술시대 및 산업 시대를 사는 인류에게 ‘정신과 물질의 조화’를 통해 인간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참다운 문명 세계가 구축되길 희망한다. 야스퍼스는 인간이 물질의 노예 상태에서 해방될 수 있는 길을 ‘미래의 새로운 차축시대’인 ‘철학적 신앙’에서 찾았고, 소태산은 ‘정신개벽’에서 발견하였다. 앞서 살펴본바 소태산은 정신세력의 확장과 물질세력의 항복에 대한 구체적 길로 ‘진리적 종교의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을 제시하였다(정전, 21). 신앙과 수행, 정신과 물질은 상생(相生) 관계 속에서 인류문명의 개벽에 기여한다.
_ 김명희, <칼 야스퍼스의 ‘차축시대’를 통해 본 원불교의 ‘정신개벽’> 중에서


예수는 돈이 재물이 되어 맘몬으로 물신화하는 과정을 꿰뚫어 본 것 같다. 그런데 이렇게 물신화된 과정은 부처가 가르쳐준 연기론으로 풀어서 설명할 수 있다. 화폐가 맘몬이 되는 과정에 마음이 개입되어 있다. 돈의 가치가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소위 귀금속(금)의 내재적 가치에 있다고 보는 본질주의 이론과 고전파들이 주장하는 노동가치에 있다고 하는 주장이 대표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돈에 관한 본질주의 이론이나 노동가치론은 비록 제한적이지마는 유심론적이고 연기론적인 설명이라고 할 수 있다. 돈의 가치는 마음이 결정하는 주관적인 측면도 있다. 이것은 유심론적인 설명이다. 돈을 바라보는 관점은 이처럼 유심론과 연기론의 관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돈과 같은 현실적 사물의 본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심론과 연기론 모두 유효하고 필요하다. 그리고 유심론과 연기론은 상호 구별되지만, 동시에 상호 연결되고 작용한다.
_ 권진관, <돈과 재물에 대한 경전적 해석>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