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환 (엮은이)
정보 더보기
50년 넘도록 아직도 내가 나라니, 그런 생각을 하며 산다. 나는 나에게 중독돼 있다는 것, 그런 자책을 하며 요즘 산다. 둘레 바깥에 있으면서도, 둘레 안에서 둘레를 거느리고 사는 것 같은 착각 때문에 살기도 한다. 이런 ‘자아 사고’야말로 위험하다. 자아 사고는 세상을, ‘나를 둘러싼’ 어떤 것으로 이해한다. 그 현실은 추하다. ‘나’를 감옥으로 만들어버리기 때문에 추하고, 나를 탈옥하도록 부추기기 때문에 추하다. 그 사고의 증식은 나를 점점 더 분열시킨다. 그럴 때, 나는 감흥 없는 텍스트에 지나지 않는다. 끝없이 각주를 달아대야만 하는 아주 이상한 텍스트. 찢어버릴 수도 없고 기소할 수도 없는 그런. 그런데 어느 날 생각을 바꿨다. ‘나 없이도 세계는 자알 돌아간다’고 생각하니 좀 더 자유로워졌고 좀더 살아볼 만한 세상이 되었다. 그러면서 세상 만물에 바퀴라도 하나씩 달아주면 어떨까 하는 기특한 생각을 했다. 마누라에게도 하나, 친구에게도 하나, 마당의 장미에게도 하나, 이 땅의 이름 모를 무덤과 민주주의에게도 하나, 그리고 덤으로 내게도 하나, 결국 이때 덤으로 받은 바퀴를 굴리며 놀다가, 전국을 돌게 되었다.
서울신문 신춘문예(문학평론)를 통해 문단에 나왔다. 에세이집으로 <<애정사전>>이 있고, <<국가론>> <<꿈의 해석>> <<에밀>> 등의 편역서를 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