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목회일반
· ISBN : 9788985738712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0-05-10
책 소개
목차
서문
진단_미래교회와 교육적 목회
1. 진단 - 미래ㆍ교육ㆍ목회
새로운 교육-목회 유전자
2. 선교적 교회
3. 관계적 교회
4. 성육신적 교회
새로운 교육-목회 매트릭스
5. 신뢰의 연결: 나눔의 리더십
6. 성장하는 생동적 관계: 공동체의 회복
7. 융합: 생명력 있는 교회
새로운 교육-목회 르네상스
8. 초점을 내부에서 외부로
9. 프로그램개발에서 인간개발로
10. 교회 기반에서 하나님의 나라 기반 리더십으로
전망_미래목회와 교육적 교회
11. 전망 - 미래ㆍ교육ㆍ목회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제 미래와 교육과 목회는 창조적 역동성 속에서 새로운 관계를 정립해야 할 시점에 와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미래는 우리의 미래가 아니라 하나님의 미래로 재설정되어야 하며, 교육은 학습의 기술이 아니라 실천의 삶을 사는 하나님의 공동체로서의 정체성 회복이 되어야 하고, 목회는 하나님의 선교를 향한 재정향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래교회는 하나님의 교회로 교육적 목회는 하나님의 선교를 실행하는 것으로 다시 정의해야 하는 것이다.
-p.25 “진단_미래교회와 교육적 목회” 中
유전자(DNA)는 우리의 정체성을 밝혀주는 의학적 인자이다. 그렇다면 교회의 정체성을 밝혀 줄 유전자는 무엇일까? 레너드 스윗은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의 첫 글자를 가지고 교회의 유전자를 찾아내고 있다. 그 첫 번째 유전자가 바로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이다.
-p.34 “새로운 교육-목회 유전자” 中
그렇다면 디지털 환경 속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리더십은 어떠한 모습일까? 바로 이 질문이 본 장의 주된 관심사이다. 리더십은 목회와 교육에 있어서 항상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최근 섬김의 리더십(Servant Leadership)이 대두되면서 상하 위계적 리더십의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디지털 시대가 메시지를 보내는 송신자와 메시지를 받는 수신자 사이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그 관계조차 모호하게 만드는 복잡/복합성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만들고 있는 것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p.94 “새로운 교육-목회 매트릭스”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