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87519999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04-02-13
책 소개
목차
머리글-'대한민국'의 '국민' 중심주의를 생각하며
1부 '국민', 국가, 개인
'우리' 안의 국가주의 - 국가주의 문화, 개인, 인권
'우리'는 누구인가? - '국민'적 정체성의 문화를 넘어서
병역 의무의 정치학 - 평화, 인권, 징병제
'국가 안보'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2부 지구화 시대의 '국민', 제국, 미국
세계화와 미국 인식 - 미국 패권주의와 반미주의를 넘어서
9.11 이전 혹은 이후의 세계 - 국민국가적 해석과 생명의 마음
월드컵 '국민 축제' 블랙홀에 빨려들어간 '대한민국' - 독립적 지성은 어디에 있었는가?
촛불 시위 '이야기'에 대한 몇 가지 생각 - '반미' 금기의 위험, '반미' 정당화의 위험
3부 진보와 탈진보-'국민'으로부터 벗어나기
근대와 탈근대 - 충돌과 접점
민족주의의 정치생태학
시민운동, 무엇이 필요한가? - 반성과 모색
진보 남성은 여성주의에게 말 걸고 있는가? - 젠더, 진보, 남성 지식인
'차이'에 대해 생각하며
인터뷰 - 한국 사회 진보 운동의 한 성찰
이 책에 실린 글들의 출전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국가주의를 정확히 정의하기는 쉽지 않다. 국가주의는 일종의 국가 중심적 사고다. 한 사회의 운영에서 국가를 최우선적으로 하는 사상이며 개인 삶의 의의를 국가 이익의 차원에서 찾는 이념 체계다. 여기에서 연역되어 나온 단위인 '국민'은 국가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된다. 그것은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국가의 우월성과 개입을 전제하며 특히 경제에 대한 국가의 개입을 최대화하는 이념이다. (p.19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