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회복지사의 사명과 교육

사회복지사의 사명과 교육

한국종교계사회복지협의회 (지은이)
에디아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회복지사의 사명과 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회복지사의 사명과 교육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87977454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2-09-26

책 소개

사회복지종사자의 보수교육의 전반적인 점검과 진단, 한국사회복지의 건강한 미래를 위한 제언으로 사회복지교육 정책포럼과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복지 현장의 실무적인 입장에서 12명의 사회복지 전문가의 구체적이면서도 다양한 제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발행사
추천사

01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기관의 사명과 보수교육의 필요성 김성우
02 사회복지사 보수교육의 인식과 요구 김현진
03 독일의 사회복지종사자 보수교육 현황 및 교육내용 김성우
04 미국의 사회복지종사자 보수교육 현황 및 교육내용 김좌겸ㆍ한우재
05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현황과 대안에 대한 인식 분석 오수길
06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운영방안 양세진
07 사회복지시설의 특성과 사회복지사 보수교육의 과제 정무성

토론문
08 사회복지사의 욕구를 고려한 보수교육 지원 환경 조성 윤덕찬
09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와 보수교육 운영지침 전면개정 방향 이상진
10 사회복지 보수교육의 변화와 혁신 조준호
11 양성, 교육, 액션 통합생태 플랫폼 : 지속가능한 미래와 비전을 위한 위한 교육 김봉술
12 사회복지 보수교육의 운영과 고려사항 최광필
13 독일사례에서 살펴본 사회복지사 보수교육의 과제 이상진
14 사회복지 환경의 변화와 사회복지 보수교육 조준호
15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의 필요성과 사회복지 보수교육 발전방안 김봉술

[부록]
설문지
한국종교계사회복지협의회 소개

저자소개

한국종교계사회복지협의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김성우 Kim Sungwoo Ph.D, Albert-Ludwigs-Universitaet Freiburg 가톨릭사회복지연구소 소장 김현진 Kim Hyeonjin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김좌겸 Kim Jwakyum 뉴욕주립대학교 올버니 사회복지학 박사 경기대학교 시간강사 한우재 Han Wooja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lbany, 사회복지학 박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조교수 오수길 Oh Soogil 성균관대학교 행정학 박사 고려사이버대학교 정보관리보안학과 교수 양세진 Yang Sejin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행정학박사 한양대 사회혁신융합전공 겸임교수 정무성 Jung Moosung 미국 시카고대학교 복지행정학 박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윤덕찬 Yun Deokchan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 메종드로제 원장 이상진 Lee Sangjin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재활학 석사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사무총장 조준호 Cho Joonho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서울시사회복지법인연합회 정책위원장 김봉술 Kim Bongsool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한국종교계사회복지협의회 회장 최광필 Choi Kwangpil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 부장
펼치기

책속에서

사회복지사들이 시대적 흐름에 부응할 수 있고 현실적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보수교육 프로그램들이 제공될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은 사회복지기관이 사회 안에서 수행해야 될 조직적 차원의 사명(Mission)과 그 사명을 실현하는 데에 구체적으로 참여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개인적 차원의 사명을 인식하기 위한 차원에서도 보수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말할 수 있겠다. 이러한 내용은 결국 사회복지기관과 종사자들의 정체성과 밀접한 연관을 갖게 된다. 분명한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전문성 확보를 통해 급변하고 다양화된 사회 안에서 사회복지기관과 종사자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잃어버리지 않을 것이다.


미국은 1898년에 최초의 사회복지 전문 인력 훈련과정인 뉴욕자선학교(New York School of Philanthropy)를 개설하여 교육훈련을 제공하였다. 사회복지교육 전문 인증기관 설립 필요성에 따라 1952년 사회복지교육협의회(Council on Social Work Education)가 설립되면서 사회복지대학의 사회복지 교육과정이 일관성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미국 전역에 사회복지학부와 석사·박사 과정 교과프로그램을 인증하는 것, 그리고 사회복지교육기관의 인준기준을 제정하고 재인준과정을 평가하는 것이 그것이다.


보수교육에 참여하는 이유로는 법정 의무교육이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가장 많아 사회복지사의 사명감 고취나 최신 정보나 지식에 대한 프로그램 마련이 절실함을 알 수 있었다. 선호하는 보수교육 방법으로는 온라인 교육과 혼합 방식의 교육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아 교육 방식에서의 변화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보수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교육 시간, 교육 수강료, 현장 업무 등을 고려하는 교육이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