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간증/영적성장
· ISBN : 9788987977461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2-10-05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추천사 김병윤 사관(구세군 한국군국 서기장관)
추천사 이후정 교수(감리교신학대학교 총장)
추천사 남기정 교수(감리교신학대학교 영성학)
제 1 장 서론
제 2 장 일반적 영성 이해
제 3 장 기독교 영성 이해
제 4 장 한국 기독교 영성 이해
제 5 장 한국 유교 영성 이해
제 6 장 구세군 윌리엄 부스의 영성
제 7 장 김진호와 존 웨슬리
제 8 장 김진호의 기독교(토착화 입장에서)
제 9 장 삶의 변화로의 기도 영성
제10장 유교적 덕의 고양의 영성
제11장 사회적 성화의 영성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간은 육체를 가지고 있으나 초월적인 존재와 영적인 삶의 관계를 추구하는 존재라 할 수 있다. 논자는 ‘영성’이라는 용어가 이러한 인간의 특징을 가장 잘 이해하며 표현해 주는 개방적이며 포괄적인 용어라 생각한다. ‘영성’은 인간이 자기 초월적인 지식과 삶의 방식을 통해 초월적인 존재와 관계 맺고 자기 자신의 삶을 통합해 가는 과정이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영성’은 인간을 성숙하게 하며, 인간의 한계를 뛰어 넘어 초월의 세계를 실제적으로 경험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기독교 영성은 역사적이고 영적인 예수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관계에 기초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초월적인 하나님과의 만남을 통해 초월적인 체험과 새로운 의식을 얻음으로 그리스도인의 실제의 삶이 변화되는 것이다. 나아가서 초월적 변화의 체험을 통해 의식의 확장을 가져온 그리스도인이 ‘사회적 거룩함’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따라서 논자가 이해하는 기독교 영성은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형상”이신 그리스도의 모습을 닮아가며, 삶에서 그리스도의 덕(德)을 실현하여, 인간 내부와 사회 현장에서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해 가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독교 영성은 그리스도 안에서 초월적인 하나님과의 만남을 통해 개인의 삶의 변화가 사회적 거룩함으로 이어져, 개인과 사회가 하나님과의 합일을 통해 더 깊은 영적 통합을 추구한다는 특징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독교 영성은 초월자 하나님과의 인격적 관계의 체험을 통하여 변화된 삶을 구체적인 삶의 현장 가운데 실천해 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