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아스포라

디아스포라

('무익한 종' 고백을 옹골지게 살아낸 장민성 목사의 이야기!)

장영은 (지은이)
에디아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10,0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아스포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아스포라 ('무익한 종' 고백을 옹골지게 살아낸 장민성 목사의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87977577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23-11-23

책 소개

사람이 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 하나님의 사람은 무엇을 바라보는가? '나는 무익한 종'이라는 고백을 옹골지게 살아낸 한 사람! 그 한 사람 장민성 목사의 사역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운명처럼 복음을 접하고 달라진 그의 삶과 생애를 다룬 책으로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작은 울림을 주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 006

01 에벨(창 10:21 / ) / 013
02 레크 레카(창 12:1) / 027
03 바하르(시 33:12) / 041
04 플레로세이(빌 4:19) / 059
05 포보스(롬 3:18) / 069
06 카텔라벤(요 1:5) / 103
07 케첼(시 144:4) / 119
에필로그 / 136

저자소개

장영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9년 성결신학교 졸업 ·1991년 한국 임상목회대학원 졸업 ·1995년 성결교신학대학원 졸업 ·교회사역과 원목(병원) 사역을 거쳐 개척(예일) 교회를 섬기다가 현재 한성운에 협력하고 있음. ·2003년 시집 ‘동행’을 발행함. ·2023 소설 ‘디아스포라’ 출판.
펼치기

책속에서

비슷한 시기에 태어난 사람 장민성, 나는 그를 떠올리게 되었다.
1904년 12월 2일, 주권을 잃은 나라 한 귀퉁이에서 가장 빈한하게 태어났던 사람, 그가 나를 흔들어 깨웠다.
1977년 2월, 겨우내 휘몰아친 혹한 중에 뇌출혈로 삶을 마감한 그였다. 남기고 싶은 말이 있었는지, 기억해 주기를 바라는 간절함인지, 그는 내 심장에 서서히 온기를 가져다주었다.
그는 버겁고 망망한 고해(苦海)같은 인생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묵묵히 그 격랑을 헤쳐 나간 사람이었다.
일제 강점기이던 그 시절, 대다수의 젊은이들에게 동양의 작은 나라 조선은 돌파구 없는 꽉 막힌 벽이었다. 그는 주저앉을 수 없는 절박감으로 고향을 떠나야 했었다. 지푸라기라도 붙잡는 심정으로 고향을 떠나게 된 그에게 일본은 일말의 가능성을 기대하게 하는 마지막 보루였던 것이다.


일본으로 건너 온지 6년이 되는 1928년 12월 16일, 그는 노방전도단의 전도를 받아 미까와지마 호리네스 교회로 인도되었다.
어머니와의 사별 이후, 혼란했던 시간이 과거로 넘어가고, 새로운 삶이 시작된 것이다. 의지할 곳이 없었던 그에게 복음은 신혼의 아내와 함께 신앙생활에 열심을 다하게 했다.
일본에 나라의 주권을 빼앗긴 조선의 한 청년이 가정을 이루었어도 여전히 방황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했었는데, 복음을 들은 것이다. 복음은 그를 붙잡았으며, 그로 하여금 점점 깊이 빠져들게 했다.
복음은 그의 삶의 방향을 바꿔놓기에 이르렀다.


그가 67세일 때이다. 중부교회는 교인 전체의 찬성으로 교회통합이 결정되었다.
착잡해지는 심정은 가누기 어려웠다. 사명에 대한 중심이 흔들리는 것은 아니지만, 당장 생계에 대한 염려가 목전에 닥쳤다. 막막한 앞날에 대한 두려움이 나이의 무게만큼 더해져서 엄습해 왔다. 그러나 정작 그의 고뇌는 교회의 틀어진 정체성에 관한 염려였다. 변질되는 믿음에 대한 우려가 무겁게 다가온 것이다.
‘5년 6개월 20일. 이 목회에서 정식 사표를 제출, 봉사하기 위한 교회이지, 봉사할 수 있는 요소가 되지 않을 때는 떠나가라. 하나님의 아들답게 비굴하지 말자’라는 것이 그해 마지막 날의 메모였다.
장민성은 1972년 신년인사를 겸한 고별사를 교인들에게 남겼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