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88092422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07-06-25
책 소개
목차
제1부 'IT후발'은행 글로벌 정상에 도전하다
제1장 길고 긴 차세대 프로젝트 준비기간
백지에서 출발하다
차세대 프로젝트 TFT 구성
새로운 출발
패키지 선정 과정의 진통
제2장 드디어 차세대 프로젝트 돛을 올리다
'사상 최대' IT프로젝트를 시작하다
프로젝트 추진계획 재수립
요건정의 및 초기 준비단계
제2부 거듭된 연기…고난의 행군
제3장 개발방법론을 전격 변경하다
고난의 연속, 갭분석 단계
당혹스런 갭분석 결과
개발전략 180도 선회
자체 개발 전략 수립
차세대 시스템 성능관리 전략
제4장 본격적인 설계와 구축에 나서다
외부감리 전격 도입
설계 및 구축단계
감리업체 1차 중간평가 결과
제5장 험난했던 테스트 여정
테스트를 준비하며
노조의 프로젝트 개입
다시 출발하다
전점 테스트
서울교통카드시스템 '불똥'
마지막 테스트
데이터 이행(DB 전환)
제3부 차세대 시스템 진가 발휘하다
제6장 드디어 차세대 시스템을 가동하다
긴박했던 최종확정 회의
역사적인 차세대 시스템 가동
긴장 속 한 달
차세대 시스템 진가 발휘하다
제7장 ROI로 말한다
세계가 주목한 기업은행 차세대 시스템
차세대 프로젝트 ROI를 산출하다
차세대 시스템의 주요 특징
제4부 기업은행 사례로부터 배운다
제8장 7년 7개월의 IT혁신 드라마
제9장 대형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PM의 자질과 역량
성공적인 PM의 8가지 역량
제10장 변화관리는 프로젝트 성공의 열쇠
기획단계
준비단계
구축단계
가동단계
[부록] 기업은행 차세대 시스템 개발 연혁
에필로그
리뷰
책속에서
기업은행 차세대 시스템의 주요 특징으로는 첫째, 신속하게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는 점이다. 둘째, 24x365 금융서비스 시스템이라는 점이다. 셋째, 고객서비스 중단 방지형 시스템이라는 점이다. 넷째, 차세대 시스템은 경영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단말기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한 시스템이다. 여섯째, 차세대 시스템은 접속채널을 표준화한 시스템이다. 마지막으로 차세대 시스템은 품질을 표준화하고 자동화한 시스템이다. - 본문 중에서
변화관리 관리자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첫째, 변화관리의 핵심 대상은 경영진과 현업부서이다. 따라서 비즈니스를 충분히 이해하고 차세대 시스템의 제반 상황을 비즈니스 용어로 대화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이 있어야 한다. 둘째, IT부서 인력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현 IT 조직 및 인력에 대해 잘 이해하고 IT에 대한 일정 수준의 기본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셋째, 외부 IT사업자로부터 바람직한 지원 조건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IT업계 동향에 대해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계약 협상 능력도 갖춰야 한다. 무엇보다도 변화관리자로서 가장 중요한 조건은 스스로 변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차세대 시스템의 당위성에 대해서 스스로 절대적인 믿음을 갖추고 있어야 하고, 이론적으로도 확고하게 무장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사람들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없기 때문이다. - 본문 중에서
차세대 시스템은 1990년대에 본격화된 시장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이다. 공급자 시장에서 소비자 시장으로 넘어가는 이러한 변화로 인해 모든 경영의 목표와 가치의 중심에 고객만족 경영이 자리매김하게 됐다. 당연히 IT의 중심도 고개만족IT로 변해야 했다. IT의 고객은 크게 외부고객(Customer)과 내부고객(Member)으로 나눠진다. 전자를 위해 필요한 금융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중단 없이 제공할 수 있어야 하고, 고객정보를 철통같이 보호해야 한다. 후자인 내부고객은 본부직원, 영업점직원, IT직원으로 나눌 수 있다. 본부 기획부서 직원을 위해 필요한 경영정보를 즉시 제공하며, 업무변경시에 이를 즉시 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영업점 직원을 위해 단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실적정보와 마케팅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IT직원을 위해서 시스템의 보수가 편리하고 그에 따른 리스크가 없도록 해야 한다. 이처럼 서로 다른 고객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이 바로 차세대 시스템이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