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88758304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07-11-10
책 소개
목차
I부: 기호 알아보기, 기호 만들기
도입을 위한 세 가지 생각
1. 무질서와 질서 2. 형상에 대한 기억들 3. 빛과 그림자 ? 흰색과 검은색
I 기호의 기본요소들
1. 점 2. 선 3. 선과 선의 관계 4. 기호-형태학 5. 기호의 위상학
II 기본 기호들
1. 사각형 2. 삼각형 3. 원 4. 화살표 5. 십자
III 기호의 통합
1. 동일한 형태기호들 간의 관계 2. 서로 다른 형태 사이의 관계 3. 내부공간의 진술
4. 닫힌 기호와 열린 기호의 관계 5. 두 개의 Y자형 기호를 이용한 놀이 6. 함께 짜맞춘 기호
7. 도식과 형상 사이 8. 드루들 기호
IV 장식문양 기호
V 대립성 기호들
VI 면
1. 선에서 면으로 2. 어두운 바탕 위의 흰색 기호 3. 체스판 문양
VII 부피의 눈속임
1. 겹쳐진 층 2. 엮임 3. 암시적인 흰색 4. 투시 5. 그림자 6. 생소한 부피 7. 착시
VII. 드러남의 다양함
1. 그림과 재료 2. 내부공간과 사이공간의 차이 3. 드러나는 그림 4. 그림-특성 시각적 통합의 시도
2부: 언어를 고착하는 기호들
I 생각에서 그림으로
1. 그림 이전 2. 말과 몸짓
II 말의 고착화
1.문자발전의 두 가지 양상 2. 공통적인 기원? 3. 유전된 원형상? 4. 그림 기호에서 관념 기호로
5. 의미를 한정하는 것들 6. 관념 기호에서 소리 기호로
III 그림문자가 담고 있는 그래픽의 풍성함
1. 수메르 그림문자에서 쐐기문자로 2. 이집트 상형문자 3. 크레타 문자
4. 시리아의 히타이트 그림문자 5. 인더스 계곡의 그림문자 6. 이스터섬의 그림문자
7. 루네 문자 8. 중국 문자권 9. 콜럼버스 이전의 아메리카 문자
IV 세계의 알파벳
1. 자모음의 천재적인 발명과 영향력 2. 세계의 문자그룹, 개관
V 서구세계의 ABC
1. 발전 초기 2. 대문자 꼴과 소문자 꼴
VI 필기술과 인쇄술에 의한 형태 발전
1. 검은 획 만들기 2. 내부의 흰색 공간 3. 활자의 유사성에 대하여
VII 변형 글자체
1. 순수한 비례에 의한 변수 2. 기본 양식의 탈피 3. 결합글자
VIII 본문용 서체와 가독성
1. 전 세계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문자 2. 서체 형태와 가독성
IX 수치 기호들
1. 문자를 이용한 숫자값 표시 2. 아라비아 숫자의 근원과 형성 과정 3. 몇 가지 분석적인 관찰
X 문장-기호
1. 낱말의 사이 공간 2. 문장부호 3. Et 기호 4. 화폐 기호와 그 밖의 기호들
3부: 기호, 상징, 인장, 신호
도입 비표음문자 기호들 새로운 학문기호들 산업-그림기호 길안내 기호들
그림 과잉현상 ? 그림에 대한 진저리쳐짐 다시 그림문자로?
I 모방그림에서 의미그림으로
1. 그림 2. 도식(圖式) 3. 계획도 4. 우의 5. 미신에 관한 그림들
II 상징
1. 무엇이 상징인가? 2. 상징-형상에서 상징-기호로 3. “상징(Symbol)”개념의 불분명한 사용
III 형상적인 상징이 지닌 그래픽의 풍요로움
1. 어떻게 그림이 상징기호가 되는가? 2. 동물-상징 3. 식물-상징 4. 상징으로서의 인간의 형상
5. 대상물, 풍경, 자연요소 6. 중심을 의미하는 상징
IV 추상적인 상징들
1. 우주와 우주의 중심 2. 십자 기호와 십자 기호를 이용한 장식 3. 움직임의 상징기호들
4. 엮기, 짜기, 매듭짓기 5. 태양-기호 6. 밤하늘의 별들 7. 장식에서의 상징 8. 기하학과 상징
V 사이비 학문과 마법 기호
1. 기본요소 2. 점성술 기호 3. 연금술 기호 4. 카발라 기호들, 마술적인 기호들, 부적들
VI 서명 기호들
1. 석공-기호 2. 모노그램
VII 공동체 기호들
1. 가문 표시 2. 일본의 가문 문장 3. 문장학(紋章學)에 대하여 4. 오늘날의 공동체 기호
VIII 상표 기호
1. 과거의 상표 2. 오늘날의 산업 기호들
IX 기술 기호와 과학 기호들
1. 기술자의 그림문자 2. 현대의 학문 기호들
X 신호-기호들
1. 생활환경 속에서 방향 잡기 2. 픽토그램 3. 인쇄물에 나타난 신호-기호의 형태
4. 혼잡한 길 위의 정서 상태에 대하여 5. 사용설명 신호
통합을 위한 시도
후기
참고문헌
책속에서
현대의 그래픽이나 그 옛날의 문양에서, 그리고 순수 미술의 창작에서도 시각적으로 대단히 공격적인 효과를 지닌 이러한 현상들이 자주 이용되었다. 체스판 문양은 적절한 위치에 작은 면적을 사용할 때 높은 자극효과를 낸다.-p83 중에서
텍스트 서체는 '일용품'이 되었다. 폭넓은 독자층으로부터 최소한의 저항에 부딪치면서 최대한 신혹하게 수용되도록, 그리고 쓸 수 있게끔 하기 위해, 그들의 편안한 감각에 맞는 구조가 점점 더 중요시되었다.-p193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