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류의 다양성과 계통

조류의 다양성과 계통

이인규 (지은이)
라이프사이언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450원
14,550원 >
15,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1,500원
13,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2,4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류의 다양성과 계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류의 다양성과 계통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생물학
· ISBN : 9788989314240
· 쪽수 : 262쪽
· 출판일 : 2004-01-14

목차

간행의 말
머리말
한국어판에의 서문(日本편지)
한국어판에의 서문(번역문)
번역에 즈음하여
역자 약력

제`I`부
조류의 다양성과 분류 체계

1. 조류의 다양성
1-1 조류란 어떤 생물인가
1-1-1 육상식물의 선조군 - 녹조류
1-1-2 조류에는 원핵생물이 포함된다
1-2 생육 환경의 다양성
1-3 생활환의 다양성과 생육 환경
1-4 해조류 수직분포의 다양성
1-4-1 보색적응설과 조류의 분포
1-4-2 심해산 녹조류의 분포
1-4-3 조간대의 해조류
1-5 해조류 수평분포의 다양성
1-6 조류의 다양한 이용
2. 조류의 다양성 연구 역사
2-1 린네에 의한 조류의 분류
2-2 홍조·갈조·녹조로 불리는 이름
2-3 Pascher의 분류
2-4 다양한 생활환의 해명
2-5 유주세포 형태와 편모의 다양성
2-6 부등편모조식물문과 착편모조식물문
2-7 광합성 색소의 다양성
2-8 엽록체의 다양성
2-9 핵양체의 발견
2-10 유색생물계
2-11 Protista계와 Protoctista계
2-12 최근의 분류

제`II`부
다양한 형질로 본 조류의 다양성과 계통쪾진화

3. 분자계통학으로 본 다양성
3-1 엽록체의 기원과 계통
3-1-1 조류의 엽록체 DNA
3-1-2 엽록체의 기원
3-1-3 2차 공생에 의한 엽록체의 획득
3-2 원핵조류의 계통
3-3 진핵조류의 계통
3-3-1 진핵생물의 기원과 초기 진화
3-3-2 2겹의 엽록체 피막을 갖는 조류의 계통
3-3-3 엽록소 c를 갖는 조류의 계통
3-3-4 핵양체를 갖는 조류와 와편모조류의 계통
3-3-5 요약: 앞으로의 과제
4. 엽록체로 보는 다양성
4-1 핵과 엽록체의 관계
4-2 유전자 지도
4-3 엽록체의 미세 구조
4-3-1 엽록체피막과 엽록체를 싸는 막계
4-3-2 틸라코이드
4-4 피레노이드
4-4-1 구성 성분과 활동
4-4-2 피레노이드의 다양성
4-5 엽록체 DNA(핵양체)의 분포
4-6 세포주기와 엽록체의 분열
5. 광합성 색소로 보는 다양성
5-1 광합성 생물의 출현
5-2 남조식물의 출현
5-2-1 비산소발생형 광합성 세균의 광합성계
5-2-2 남조식물의 광합성계
5-2-3 남조식물에서의 진화와 광합성계의 변화 58
5-3 광합성 색소의 다양성
5-3-1 광합성 색소
5-3-2 광합성 색소의 합성 과정
5-3-3 엽록소
5-3-4 카로티노이드
5-3-5 피코빌린 단백질
5-4 아포단백질
5-4-1 반응중심 단백질
5-4-2 안테나 색소 단백질의 계통성
5-5 안테나 색소계의 다양성과 광합성 활성
5-5-1 주변 안테나의 다양성
5-5-2 안테나 색소계와 작용 스펙트럼
6. 편모와 편모장치로 보는 다양성
6-1 편모와 기저체의 구조
6-1-1 편모
6-1-2 기저체
6-1-3 기저체와 편모의 기원
6-2 편모의 다양성
6-2-1 편모털
6-2-2 편모 인편
6-2-3 편모 축사의 부속 구조
6-2-4 광수용 장치와 안점-편모팽윤부 복합체
6-2-5 편모 운동
6-2-6 편모이행대
6-3 편모장치
6-3-1 녹색조식물의 편모장치
6-3-2 부등편모조식물의 편모장치
6-3-3 부등편모조식물에서 편모장치의 공통성과 다양성
6-3-4 유글레나식물의 편모장치
6-3-5 은편모조식물의 편모장치
6-3-6 와편모조식물의 편모장치
6-3-7 착편모조식물의 편모장치
6-4 결론: 편모장치 연구의 현재와 미래
컬럼 [1] 편모는 1세포주기 이상 걸려서 성숙한다
7. 유성생식으로 보는 다양성
7-1 접합 방식과 성 페로몬
7-2 조류에서 보는 접합 방식의 다양성
7-2-1 녹색조식물의 접합 방식
7-2-2 부등편모조식물의 접합 방식
7-2-3 홍조식물의 접합 방식
7-2-4 결론
8. 조류의 광운동 반응
8-1 작용 스펙트럼으로 본 다양성
8-2 조류에서 보는 주광성 메커니즘의 다양성
8-2-1 녹조강·갈파래강의 주광성 메커니즘
8-2-2 갈조강의 주광성 메커니즘
8-2-3 진안점조강의 주광성 메커니즘
8-2-4 유글레나식물의 주광성 메커니즘
8-2-5 은편모조식물의 주광성 메커니즘
8-2-6 와편모조식물의 주광성 메커니즘
8-3 주광성 메커니즘의 진화
9. 조류의 일주시계
9-1 일주시계란
9-2 조류 일주시계의 다양성
9-2-1 녹색조식물의 일주시계
9-2-2 유글레나식물(유글레나강)의 일주시계 - 유글레나
9-2-3 와편모조식물의 일주시계 - Gonyaulax
9-2-4 남조식물의 일주시계 - 남조류(남세균)
9-3 일주시계 유전자
9-4 일주시계에 의한 포괄적인 유전자 발현 조절
9-5 일주시계와 세포 분열
9-6 일주시계의 진화
10. 세포내 공생에 의한 엽록체의 획득과 조류의 다양화
10-1 엽록체의 기원은 공생설로 설명된다
10-2 1차 공생에 의한 엽록체의 획득
10-3 2차 공생에 의한 엽록체의 획득
10-4 4중 피막의 엽록체
10-5 은편모조식물과 클로라라크니오조식물 - 진화적 중간 단계
10-6 3중 피막의 엽록체 - 유글레나식물과 전형적인 와편모조식물
10-7 와편모조식물에서 보는 세포내 공생의 다양성과 엽록체의 기원 8
10-7-1 공생 관계 확립의 초기 단계
10-7-2 명백한 진화적 중간 단계
10-7-3 더욱 진행된 진화 단계
10-8 엽록체를 갖는 것과 갖지 않는 것

제`III`부
식물군별 특성

1. 남조식물문(Division Cyanophyta)
컬럼 [2] 초미세한 생산자들`:
초미세 남세균의 생태와 생태계에서의 역할
2. 원록조식물문(Division Prochlorophyta)
컬럼 [3] 원핵조류 광합성 색소의 다양성과 그 계통 문제
3. 회조식물문(Division Glaucophyta)
컬럼 [4] 시아넬(cyanelle)과 엽록체의 기원
4. 홍조식물문(Division Rhodophyta)
컬럼 [5] 기생 홍조류의 기원`:
홍조류에 기생하는 홍조류의 정교한 생존 전략
컬럼 [6] 홍조류의 생식세포학
5. 은편모조식물문(Division Cryptophyta)
6. 부등편모조식물문(Division Heterokontophyta)
6-1 황갈조강(Class Chrysophyceae)
6-2 침편모조강(Class Raphidophyceae)
6-3 규조강(Class Bacillariophyceae)
6-4 갈조강(Class Phaeophyceae)
6-5 황록조강(Class Xanthophyceae)
6-6 진안점조강(Class Eustigmatophyceae)
컬럼 [7] 돌말류의 껍질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컬럼 [8] 갈조류의 수정 세포학`:
특히 중심립의 부계 유전 기구에 대해서
컬럼 [9] 조류와 바이러스
7. 착편모조식물문(Division Haptophyta)
컬럼 [10] 원석조류 연구의 역사와 지구 환경
8. 와편모조식물문(Division Dinophyta)
컬럼 [11] Alveolata`:
기묘한 집단들`-`와편모조류의 계통적 위치
9. 유글레나식물문(Division Euglenophyta)
컬럼 [12] 유글레나 운동의 수수께끼
10. 클로라라크니오조식물문(Division Chlorarachniophyta)
컬럼 [13] 공생 핵의 운명
11. 녹색조식물문(Division Chlorophyta)
11-1 담록조강(Class Prasinophyceae)
11-2 녹조강(Class Chlorophyceae)
11-3 트레복시조강(Class Trebouxiophyceae)
11-4 갈파래강(Class Ulvophyceae)
11-5 윤조강(Class Charophyceae)
컬럼 [14] 클라미도모나스의 생물학
컬럼 [15] Marimo의 조상은 해조류?
컬럼 [16] 환생하다 Nitellopsis obtusa`:
계통 보존과 종의 보전 232
분류군
참고문헌
색인

저자소개

이인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의 생물다양성 2000>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