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90245212
· 쪽수 : 465쪽
· 출판일 : 2012-03-10
목차
서 문
1장.환경의 변화와 경영정보시스템
1-1인류의 3가지 정보처리 장치
1.1IT와 초우량 경영
1.2초우량 성공사례
1.3초 경쟁 환경에서의 IT패러다임의 변화
1.4인류가 가진 3가지 정보처리장치(information processor)
1-2MIS의 개념과 변천
2.1경영
2.2정보
2.3시스템
2.4MIS 학문의 등장 연혁
2장.MIS의 정의, 구성요소, 유형
2-1MIS의 정의와 구성요소
1.1경영정보시스템의 정의
1.2의사결정 프로세스와 MIS
1.3MIS의 구성요소
2-2MIS의 유형과 역할
2.1MIS의 유형
2.2정보시스템
2.3DSS
3장.시스템, 프로세스, 데이터베이스
3-1시스템과 모델링
1.1시스템
1.2모델링
3-2프로세스모델링
2.1프로세스 모델링의 주요 이슈
2.2프로세스
3-3데이터베이스모델링
3.1DB모델링
3.2DB 시스템의 일반적 모형
3.3개체와 속성의 개념(예)
3.4RDB와 정규화
3.5ERD
4장.e-비즈니스와 트랜스포메이션
4-1인터넷과 e-비즈니스
1.1오늘의 사회 변화
1.2인터넷 시대
1.3e-비즈니스와 e-비즈니스 시스템
4-2e-비즈니스의 체계
2.1Net 기반의 e-비즈니스 시대
2.2Net 기반의 정보 공유
2.3e-비즈니스 기술적 아키텍처
2.4응용시스템
4-3e-트랜스포메이션의 주요 이슈
3.1e-비즈니스 트랜스포메이션
3.2e-트렌스포메이션
3.3전통적인 모델 및 이상적인 모델
5장.지식경영
5-1지식과 지식의 유형
1.1지식경영의 필요성
1.2지식, 지식경영, 지식경영시스템 정의
1.3지식자산 특성
1.4지식자산의 유형
1.5지식경영의 교훈 및 동향
5-2지식의 가치사슬
2.1지식처리 모드(mode)
2.2지식처리 노드(node)
2.3사례연구
5-3지식경영-지식기반의 경영시스템
3.1KMS
3.2지식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한 필요 역할
6장.Wed 시대의 MIS 관리
6-1MIS 핵심 관리영역
1.1정보기술(IT) 관리의 핵심역량과 기업의 진정한 가치창조
1.2MIS 관리 핵심 영역의 유형
1.3응용시스템 투자
6-2CIO의 역할 변화
2.1MIS 전문가에게 주어지는 새로운 사명
2.2CIO 역할 변화
2.3CIOs 역할
7장.ISP(Information Systems Planning)
7-1ISP와 접근방법
1.1전통적인 ISP 체계
1.2Mgmt와 IT의 전략적 관계 프레임워크
1.3ISP 접근방법과 다중전략
1.4접근방법상의 주도적 역할
7-2ISP의 구성요소와 분석방법
2.1ISP의 구성요소
2.2ISP의 외부환경 및 내부환경 분석
8장.IT 투자182
8-1미래 지향적 IT 투자
1.1미래 지향적 IT 투자
1.2정당화 프로세스의 단계
8-2IT 투자 정당화 요인과 CIO
2.15가지 요인
2.2CIO의 역할과 특징
9장.SDLC
9-1ISP와 SDLC
1.1ISP와 SDLC
1.2SDLC의 이해
1.3SDLC의 대안
9-2ERP와 아웃소싱
2.1ERP
2.2IT Outsourcing
2.3시스템 획득 대안의 비교
10장.IT IS 실행217
10-1시스템(미시적) 수준의 IS실행
1.1실행의 개념
1.2변화과정모형
1.3시스템(미시) 수준의 미시 IS 실행(micro implementation)
10-2조직(거시적) 수준의 IS실행
2.1조직(거시) 수준의 IT 실행(implementation)
2.2조직수준의 IT 실행 프로세스
2.3조직수준의 IT 실행 요인
2.4성공경로
11장.MIS 평가
11-1평가프레임워크와 IS 평가
1.1MIS 평가 Framework
1.2정보시스템 평가 분류
1.3종합적 평가방법 사례: 미국 텔레콤 회사
1.4MIS 평가의 문제점
1.5MIS 평가의 개선방향
11-2IT 평가와 BSC(Balanced Score Card, 균형성과표)
2.1IT 전략 삼각형
2.2성과측정의 중요성 증대 이유
2.3BSC
12장.비즈니스와 테크놀로지(B-T)의 융합
12-1B-T 융합과 민첩성
1.1가치네트워킹의 필요성
1.2비즈니스 테크놀로지 융합
1.3가치네트워크 차원의 확장
12-2전략적 파트너링
2.1상생-파트너십의 중요성
2.2Social Networking & Infra Sharing
2.3커뮤니케이션 링크
2.4사회-기술적 접근방법론
2.5관계성숙단계모형
2.6상생 협력관계
13장.IT 혁신과 집단지성
13-1IT 혁신과 확산(innovation & diffusion)
1.1Technology 이전과 확산 프로젝트
1.2커뮤니케이션
1.3커뮤니티 집단 수준의 혁신
1.4성공적인 Technology 전파&확산
13-2사회적 연결망과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2.1웹의 진화: Web 1.0 vs. Web 2.0
2.2Collective Intelligence
2.3집단주의(collectivism)
2.4분석 툴(tool) 예시 : TeCF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