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90699251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04-12-1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중국과 한반도의 역사 교류와 상호 관계
한국과 중국 조선족
중국 조선족 인구 감소와 민족 사회 발전
중국과 북조선의 관계 및 전망
조선반도 정세 변화가 동북아 지역에 주는 다각적 영향
한국 경제 성장의 문화 교육적 배경 - 중국 교육 현실을 겸하여
대변혁 시기의 중국 조선족 사회 - 도전과 기회
중국 조선족의 조국관·민족관 및 남북 조선관에 대한 설문조사
중국 조선족 문화의 발전과 민족 정체성
중국 조선족의 애국주의 정감
중국 조선족의 인구 이동과 그 영향
조선족 사회 발전 과정에서의 민족 교육의 기능
조선족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민족 교육
개혁 개방 이후 중국 조선족의 경제 발전과 소비 경향
한국의 근시안적 재중 동포 정책
왜 탈북자 문제가 심각해지는가?
저자소개
책속에서
"십 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백 수십 년의 세월을 보낸 중국 조선족의 변화도 지금은 아주 엄청나다. 조선족은 중국에서의 생활 역사 과정에서 사실상 이미 조선반도의 지리적 개념에서 벗어나 중국에서 하나의 민족 공동체를 이루었으며 그 민족 성격에도 이제는 중국적인 것이 많이 있어 조선반도의 주민과 차이 있는 부분이 적지 않다.
물론 그렇다 하여 조선족이 백의민족의 후예로서 민족의 문화 전통에서 완전히 이탈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세월의 흐름과 사회의 변천 속에서 조선족 사회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지만 그 전통적인 경제 구조, 생존 공간과 민족 문화는 개혁 개방 이전까지는 큰 변동이 없었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