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역사
· ISBN : 9788991205017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04-07-27
책 소개
목차
역사의 시작과 고대
역사의 시작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고조선시대
고조선의 사회와 경제
위만의 왕위 찬탈과 한제국과의 전쟁
부여의 성립
삼한의 성장
5국시대의 개막
고구려의 성장
백제의 탄생과 성장
신라의 탄생과 성장
가야연맹
고구려의 시련과 극복
백제의 번영과 시련
광개토대왕과 고구려의 도약
고구려의 전성
백제의 해외 진출
신라의 발전
나제동맹의 변천
고.수 전쟁
백제의 멸망
고.당 전쟁
신라.당 전쟁과 삼국통일
고구려 부흥전쟁과 유민의 이동
발해의 개국
후신라의 정치 변동
발해의 팽창과 대 신라 관계
신라 말기의 반란과 호족
9주 5소경과 지방군
삼국의 경제생활
삼국인의 대외할동과 문화 전파
신라의 대외교역과 장보고
발해의 정치.경제와 종교
삼국인의 생활상
삼국시대의 고분벽화
삼국의 교육제도
삼국의 불교 문화
삼국시대의 과학기술
삼국의 고유 종교와 축제
삼국시대 여성의 생활
가야인의 생활과 문화
천년의 수도 경주
궁예의 후고구려
후백제
발해의 멸망과 유민의 동향
고려시대
왕건의 고려 건국과 후삼국 통일
왕권과 호족
거란의 침략과 격퇴
윤관과 9성
문벌귀족 사회
귀족사회의 동요
무신정권
몽골과의 전쟁
삼별초의 항쟁
원 간섭기의 고려
공민왕의 개혁정책
홍건적과 왜구
위화도 회군과 고려의 멸망
상호 견제와 합의로 운영된 통치 체제
안정된 경제 정책
대외무역과 항해술
고려의 사회와 풍습
전성기를 맞은 문화예술
유교문화와 교육제도
출판문화와 금속활자
고려의 불교문화
세계적 수준의 과학기술
자유를 보장받은 여성의 생활
원 간섭 이후 한국사의 변화
고려의 수도 개경
고려와 조선의 보루, 강화도
조선시대
조선의 개국과 공신
왕자의 난
대마도 정벌
세종의 문화정치
4군 6진과 국토 확장
단종과 사육신
4대 사화
봉건 지배체제와 임꺽정의 봉기
붕당의 형성
1.2차 조일전쟁과 의병항쟁
이순신과 조선 수군의 활약
조일전쟁의 영향과 대외관계
궁궐과 서울 성곽
유학과 예제건축
지방제도와 군사통신
역참의 쇠퇴, 조운의 발달
농경지의 확대와 농업 생산력의 증대
소극적으로 전개된 대외무역
자치기구로 자리잡은 향촌 사회
르네상스를 맞은 문화와 과학
사회시설과 종교
여성의 지위와 생활
세계지도와 세계관
도자기의 일본 전파
조선통신사의 행로
전쟁이 가져온 사회적 변화
광해군과 인조
1.2차 조만전쟁
나선정벌
백두산정계비
안용복의 1.2차 도일 행로
17.18세기의 사회적 동요
붕당정치의 폐해
수원 화성과 정조의 개혁
세도정치
서양 문물의 전래
김정호와 대동여지도
천주교의 전래와 박해
서양세력의 통상 요구
대동법과 수취체제의 개편
대규모로 발전한 농민항쟁
상업과 무역의 발달
새로운 사상 실학과 실학자들
동학의 발생과 전파
쌍가마와 조랑말
조선왕조실록과 사고(史庫)
겨레의 정서를 대변한 소리문화
근.현대
조불전쟁과 조미전쟁
이필제의 반정부 봉기
운요호 사건과 강화도 조약
개화정책의 추진
위정척사운동과 갑신정변
거문도 사건과 주변국들의 각축
동학농민전쟁의 전개
청일전쟁과 조선
갑오개혁과 을미개혁
명성황후와 을미사변
대한제국의 성립
근대시설의 수용
러일전쟁과 을사늑약
항일의병전쟁의 전개
일제의 국권 침탈과 경제 약탈
만주에서의 의병 활동 및 독립군 기지 건설
3.1 민족독립항쟁
일제 식민지배의 만행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
독립군의 시련과 3정부 수립
독립군의 활동
소련의 한국인 강제이주
일본과 중국에서의 독립항쟁
식민지배 하의 민족항쟁
해방과 분단
남.북한의 정치적 혼란
한국전쟁
전후 복구와 경제 발전
독재권력에 대항한 민주화 투쟁
북한의 정치와 경제
남북통일과 민족통합을 위하여
리뷰
책속에서
화려한 고분벽화를 남겼던 고구려가 초기부터 벽화를 제작한 것은 아니었다. 초기의 고구려 무덤 형태는 돌을 정밀하게 다듬어 만든 돌무지무덤(적석총)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차츰 무덤 내부 공간에 넓은 방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신라의 돌무지 덧널무덤과 다른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이후 고구려의 무덤양식은 시신을 넣어둘 방을 만들고, 그 위에 흙으로 봉분을 만드는 굴식 돌방무덤(횡혈식 석실묘)으로 바뀌어갔다. 이 양식은 돌무지무덤보다 만들기가 쉬워 백제와 신라 등으로 전파되었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