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91381054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1-11-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왜 한국사에서 숲을 이야기하는가?
1. 한국사는 농경민의 역사일까?
생태 망각 기준점 이동 신드롬 / 달라진 생활환경
2. 농경민이 만든 편견
수렵 채집민이 야만인? / 문명사회의 야만
3. 한국사의 주 무대였던 숲
배움의 공간이자 종교를 탄생시킨 숲 / 나무의 바다 / 신라 촌락문서 / 숲의 질
4. 숲을 바꾼 인간
농업 혁명 / 숲을 구분하다 / 인공조림
5. 국가와 수렵 채집민
농업의 시작은 인류 최악의 실수? / 전염병에서 안전한 숲 / 농경민의 강점 / 만리장성은 인간 목장의 울타리
6. 생업에 따라 다른 사람들
농경민 / 반농반렵민 / 유목민 / 수렵 채집민
7. 한 · 예 · 맥 · 말갈은 누구인가?
한 · 예 · 맥의 차이 / 말갈은 누구? / 말갈족의 계보는 믿을만한가?
2장 왜 환웅은 신단수로 내려왔을까?
1. 신단수와 신시
신단수 / 하늘로 통하는 사다리 / 수렵 채집민이 만든 신전 / 웅녀는 최고의 어머니
2. 숲에서 태어난 건국시조들
숲에서 태어난 건국시조들 / 신에게 허락받은 백제 건국 / 산에서 내려온 신라 6부 촌장
3. 수렵민이 세운 나라의 변신
코미타투스 / 수렵 채집민의 변신 / 인구 증가
3장 숲에 사는 사람들
1. 『삼국유사』에서 만난 숲의 사람들
아나키스트의 땅 / 은자들의 세계
2. 신과, 인간, 동식물이 어울려 사는 숲
고분벽화에 그려진 신수 / 산해경의 세계 / 동물과 인간이 사랑하는 시대 / 숲이 사라지고 남은 유일신
3. ‘데르수 우잘라’와 발해인
데르수 우잘라 / 그가 사랑받은 이유 / 발해인의 후손
4. 나무를 숭배한 사람들
나무가 고분벽화에 그려진 까닭 / 고분벽화에 그려진 신단수 / 산수화 등장의 의미
5. 모피 사냥꾼
농경민과 교역 / 모피 교역 / 모피가 바꾼 사회
6. 인삼, 숲 사람들을 바꾸다
최고의 약재 인삼 / 인삼 교역 / 천연 약재 교역
4장 수렵민 ‘제국을 세우다’
1. 주몽이 되고 싶은 사람들
추모왕과 온달 / 인재선발의 기준 활쏘기 / 강궁 쏘기
2. 전쟁의 시대와 수렵민
쇠뇌와 강궁 / 고구려와 동옥저의 차이 / 경당과 화랑도
3. 전쟁기계
왕을 거부한 수렵 채집민 / 국가를 세운 수렵 채집민 / 전쟁기계
4. 수렵민, 제국을 세우다
말을 탄 수렵민 / 말의 나라 / 수렵민의 제국
5. 전쟁 목적으로 활용된 숲
임수 / 전쟁과 임수 / 전쟁 피해를 입은 숲
6. 살생유택이 세속오계에 포함된 까닭
세속오계 / 수렵 채집민의 계율 / 삼국의 위기 극복 방법
5장 달라져버린 숲
1. 소금, 철, 선박 그리고 나무
권력과 벌목 / 소금과 땔감 / 금속과 나무 / 선박과 목재 / 왜구를 막는 최고의 대책
2. 우경과 숯
신라 촌락문서 / 겨리농사 / 사치품 숯 / 숯의 낭비가 가져온 신라의 멸망
3. 울창한 숲과 거대 건축물
과시용 건축물 / 경쟁적으로 지어진 대형 건축물 / 고려의 대형 건축물 / 시대별로 달라진 목재
4. 숲에 들어온 사찰
사찰로 바뀐 성스러운 숲 / 사찰과 기와 / 불교의 상징물 / 숲 지킴이가 된 사찰
5. 숲과 함께 달라진 돼지의 위상
사람과 동물이 사랑한 도토리 / 돼지가 바꾼 역사 / 돼지와 멧돼지 / 천대받은 돼지
6장 농경민의 세계
1. 발해인과 여진인의 이별
발해의 특산물 / 부족민의 비율이 높았던 발해 / 발해인과 여진인의 차이 / 고려에서 차별받은 사람들 / 고려사 최악의 오판
2. 고려와 숲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 고려의 다양성 / 고려의 산림천택
3. 몽골과 왜구가 바꾼 고려의 숲
몽골이 고려에 요구한 물품 / 몽골의 일본원정과 고려의 배 / 왜구가 노린 소나무
4. 가까운 숲과 먼 숲
개경 건설에 필요한 숲 / 강화 천도에 사용된 목재 / 목재 운송비 / 산림의 사유화
7장 호랑이를 잡으려다 숲을 태운 조선
1. 조선의 숲 관리와 산불 대책
조선의 산림정책 / 산불예방 대책 / 나무 심기
2. 조선이 사랑한 소나무
송악산의 소나무 / 조선의 소나무 사랑 / 소나무를 보호하라 / 소나무의 장단점
3. 포호정책의 효과
인왕산 호랑이 / 호랑이의 폐해 / 포호정책의 실시 / 포호정책의 효과
4. 지켜지지 못한 조선의 숲
산림은 공유지 / 조선 산림정책의 문제 / 원칙이 무너진 정책
5. 정약전이 비판한 금송정책
봉산과 송전 / 송정사의 / 악목이 된 황칠수와 감귤나무 / 법 위에 군림한 관리
8장 숲을 잃은 조선
1. 온돌, 기인의 하소연
온돌의 장단점 / 기인의 하소연 / 땔감 수요 급증 / 도성 주변 산림의 황폐화
2. 화전을 앞세운 농민, 숲으로 진격하다
화전농법 / 화전의 급증 / 화전 금지령의 유명무실화
3. 숲을 잃어버린 대가
광산 개발과 숲 / 화전의 6가지 피해 / 홍수 재해의 급증
4. 경제활동의 변화
사냥하지 않는 왕 / 사냥감의 감소 / 물고기 소비의 증가 / 시장에 의지하게 된 농민
5. 서양인이 본 조선의 숲
도성의 비보숲 / 도성 주변의 민둥산 / 서양인이 본 조선의 숲 / 19세기 조선의 환경위기
9장 20세기 숲의 변화
1. 일본의 산림 수탈과 화전민의 증가
열강들이 노린 산림 개발권 / 일제가 만든 산림법 / 산림 황폐화의 지속 / 도시 연료 문제와 철도 / 토막민과 화전민의 증가
2. 산림녹화의 시작
동요 메아리 / 산림 보호정책의 실시 / 쉽지 않은 산림 회복
3. 연료 소비 변화와 산림녹화의 성공
화전민 정리 성공의 이유 / 북한의 산림 빈곤 / 산림 면적의 감소
4. 변화된 숲, 미래의 숲
아직도 부족한 숲 / 중요해진 도시숲 / 숲 없이 살 수 없는 인간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