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내과 > 내시경
· ISBN : 9788991219342
· 쪽수 : 286쪽
· 출판일 : 2008-01-20
목차
사전동의
사전동의의 중요성
EMR
1. Snare의 종류와 특성
2. 점막하주입액 종류와 특성
3. 국소주입요령과 포인트
4. 고주파전원장치의 종류 및 특성과 조건설정
5. Non-lifting sign - 점막하주입법에 의한 판정과 평가방법
6. Snaring의 요령과 함정
7. 일괄절제의 요령과 한계
8. LST의 분할절제 허용범위
9. Snaring기술에 차이가 나는 원인
10. EMR수기 개발 포인트
11. 선단hood를 이용한 흡입
12. 2 channel법의 적응증과 실제과정
13. 국소잔류 방지대책
14. 국소잔류병변의 진단과 치료 및 예후
15. 대장 EMR시 천공 방지대책
16. 대장 EMR시 천공의 봉합법
17. 대장 EMR시 출혈의 지혈법
ESD
1. 대장ESD의 현상과 문제점
2. Knife의 종류와 특성
3. Hood의 종류와 특성
4. 고주파전원장치의 종류ㆍ특성과 조건설정
5. 국소주입액 종류와 특성
6. 국소주입의 요령과 함정
7. 절개의 요령과 함정
8. 박리의 요령과 함정
9. ESD시 내시경조절요령
10. 체위전환
11. ESD시 내시경조절요령
12. 대장의 특성에서 본 ESD의 주의점
13. 대장ESD 수기 개발순서
14. ESD병용 snare EMR법
15. 대장ESD시 천공 방지대책
16. 대장ESD시 천공의 봉합법
17. 대장ESD시 출혈의 지혈법
적응증의 근거
1. 시술 전 진단의 의의와 필요성
2. 대장종양의 진단검사학적 특성
3. 바륨대장조영술
4. 일반내시경 관찰
5. 확대내시경 관찰에 의한 대장종양의 치료법 선택 - 내시경 치료 vs 외과적 치료
6. 초음파 내시경 관찰
7. 대장ESD의 적응병변
8. ESD와 EMR의 사용법
증례
1. Non-lifting sign양성과 EMR
2. 직장 carcinoid종양 - ESMR-L에 의한 출혈
3. 대장 ESD와 장관천공
4. Sinker법 (Sinker assisted ESD)
5. 큰 LST의 EMR
6. 섬유화를 동반한 표면형 종양의 EMR
7. 점막하주입과 LST-NG 일괄절제
8. Is+Ⅱa(LST-G)-CO₂송기, B knife와 IT knife
One Point Advice
1. 대장ESD에서 Needle knife
2. 대장ESD에서 Flex knife
3. 대장ESD에서 IT knife
4. 대장ESD에서 Hook knife
5. Double ballon 대장내시경
6. Flush Knife의 송수기능
7. Water Jet 내시경의 유용성
8. 단단한 snare의 장점과 단점
9. 지혈겸자
10. Clip
11. Bipolar snareㆍKnife
12. 유치snare로 궤양봉합법
13. V형 pit patternㆍHakone Consensus
14. NBI colonoscopy
15. LST
16. sm암 침윤도 실측법
17. 병변크기 측정법
색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