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외과 > 흉부외과
· ISBN : 9788991219489
· 쪽수 : 205쪽
· 출판일 : 2008-08-01
목차
제1장 심장의 흥분전파와 심전도의 성립과정
1.자극전도계와 흥분전파 1
2.흥분전파와 심전도 변화 3
1)심근세포의 흥분(활동전위) 3
2)흥분, 회복과 세포외 전위 4
3)심전도 변화의 이해 6
4)심전도의 각 파형의 명칭 11
3.표준 12유도 심전도 12
1)심장과 각 유도법의 상대적 관계 13
2)12유도 심전도 14
제2장 심전도 판독법이란? (개요)
1. 심전도 판독은 어렵지 않다 17
1)시간축에 따른 해석(횡방향을 본다) → 먼저 리듬을 해석한다 17
2)전위축에 따른 해석(종방향을 본다) → QRS파의 평균 전기축과 허혈성 변화를 해석한다 18
2. 단계별 판독 알고리즘 19
스텝1 횡방향을 읽어 리듬을 잡아내자 19
스텝2 부정맥을 해석, 진단하자 19
스텝3 조율, P파의 형태, PQ 간격, QRS 폭, QT 간격을 평가하자 20
스텝4 사지유도의 종방향을 읽어내자(QRS 전기축 진단) 22
스텝5 종방향을 보아 허혈성 변화를 읽어내자 23
스텝6 P파에 주목하자(심방부하 진단) 24
스텝7 QRS파의 진폭에 주목하자(전위 높이와 심비대 진단) 24
3. 단계별 판독의 실제 24
스텝1 횡방향을 읽어 리듬을 잡아내자 25
스텝2 부정맥을 해석, 진단하자 25
스텝3 조율, P파의 형태, PQ 간격, QRS 폭, QT 간격을 평가하자 25
스텝4 사지유도의 종방향을 읽어내자(QRS 전기축 진단) 25
스텝5 종방향을 보아 허혈성 변화를 읽어내자 25
스텝6 P파에 주목하자(심방부하 진단) 25
스텝7 QRS파의 진폭에 주목하자(전위 높이와 심비대 진단) 25
제3장 심전도를 단계별로 판독하자
스텝1 횡방향을 읽어 리듬을 잡아내자 27
■ 왜 Ⅱ유도인가? 27
■ 판독법 28
스텝2 부정맥을 해석, 진단하자 30
■ 판독법 30
1) 기외수축의 진단 30
2) 빈맥의 진단 33
3) 서맥의 진단 39
스텝3 조율, P파의 형태, PQ 간격, QRS 폭, QT 간격을 평가하자 45
■ 판독법 45
1) 조율이란 무엇인가? 45
2) P파의 형태로부터 부하소견을 읽어낸다 45
3) rate를 간편법으로 계측한다 47
4) 각 시간(간격)을 측정한다 47
스텝4 사지유도의 종방향을 읽어내자(QRS 전기축 진단) 58
■ 판독법 58
1) 정면 전기축(frontal plane axis) 58
2) 정면 전기축 편위의 임상적 의의 60
3) 수평면 전기축(horizontal plane axis)과 그 임상적 의의 61
스텝5 종방향을 보아 허혈성 변화를 읽어내자 66
■ 판독법 66
1) 12유도를 시리즈로 나누어 판독한다 66
2) 허혈성 심전도 변화의 정의 67
■ 급성 심근경색(AMI) 및 합병증의 심전도 변화 70
1) 급성기 심전도 변화 71
2) 경색부위에 따른 차이 75
3) ST 저하형 AMI 76
4) reciprocal change 78
5) AMI에 동반하는 특수한 심전도 변화 81
6) AMI 합병증의 심전도 변화 83
■ 협심증의 심전도 변화 87
1) ST 저하 87
2) ST 상승 89
3) 음성 T파 91
4) 음성 U파 91
스텝6 P파에 주목하자(심방 확장 진단) 94
스텝7 QRS파의 진폭에 주목하자(전위 높이와 심비대 진단) 94
■ 판독법 94
1) 고전위차(high voltage) 94
2) 저전위(low voltage) 94
3) 좌심실비대(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95
4) 우심실비대(right ventricular hypertrophy: RVH) 97
제4장 기타 판독에 필요한 이상소견
1. 전해질 이상 101
1) 고칼륨혈증 101
2) 저칼륨혈증 102
3) 고칼슘혈증 104
4) 저칼슘혈증 104
5) 저마그네슘혈증 105
2. 약제의 영향 106
1) Digitalis(digoxin) 106
2) 항부정맥제 108
3) 화학요법제 108
3. 기타 심전도 이상 109
1) Brugada 증후군 109
2) QT 단축증후군 111
3) J파(Osborn파) 111
제5장 단계응용편
1. 기외수축 113
2. 빈맥(1) 115
3 .빈맥(2) 118
4. 빈맥(3) 120
5. 빈맥(4) 122
6. 빈맥(5) 125
7. 서맥(1) 127
8. 서맥(2) 129
9. 서맥(3) 131
10. 서맥(4) 134
11. 전도장애(1) 136
12. 전도장애(2) 139
13. 허혈(1) 141
14. 허혈(2) 144
15. 허혈(3) 147
16. 허혈(4) 150
17. 허혈(5) 152
18. 기타 심전도 이상(1) 154
19. 기타 심전도 이상(2) 156
20. 기타 심전도 이상(3) 159
21. 기타 심전도 이상(4) 161
제6장 심전도와 전기생리학의 기초 및 임상
1. 심실내 전도장애와 편위전도 163
1) 심실내 전도장애 163
2) 심실내 편위전도(aberrant conduction) 168
2. 빈맥의 기전과 심전도소견 172
1) 이상 자동능의 항진 173
2) 기능적 재유입 180
3. 조기흥분증후군 181
1) 부전도로의 종류 181
2) 분류와 임상적 의의 181
3) WPW 증후군의 부전도로의 부분진단 185
4. wide QRS tachycardia의 감별 186
5. 심근허혈과 괴사 189
1) 심근허혈에 의한 변화 189
2) 심근괴사에 의한 변화 191
6. QT 연장증후군과 임상적 의의 192
1) 선천성 QT 연장증후군 192
2) 후천성 QT 연장증후군 194
3) torsades de pointes 196
7. 좌심실부하와 좌심실비대 197
1) 고전위차 197
2) VAT 연장 199
3) ST-T 변화(스트레인형 음성 T파) 199
참고문헌 201
색인 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