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무용 > 무용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91636620
· 쪽수 : 534쪽
· 출판일 : 2011-08-19
책 소개
목차
무용을 이해하는 새로운 열쇠
성 SEX
남장 여성무용수
낭만 발레
누드
동성애 취향
로이풀러
발레 블랑
바렐광
백조와 춤
실피드
여권주의적 시각
여성 발레
장미의 정령
토슈즈
튀튀
팜므 파탈
문화 CULTURE
가면무도회
누벨 당스
당스 노블
댄스 테라피
댄싱 마스터
디시램브
무도광
무용금지령
미뉴에트
바로크댄스
발레루스
발레붐
사교춤
오케스트라
왈츠
종교의식
죽음의 춤
최승희
캐서린드 메디치
코메디아 델라르테
태양왕
효명세자
희극 발레
유형 STYLE
그랑 발레
말들의 발레
모던 댄스
무용 극장
무용시
바우하우스
발로 · 발레티 · 발레
볼룸댄스 · 댄스스포츠
아르누보
아방가르드 댄스
오페라 발레
왕비의 희극 발레
재즈 댄스
저드슨 그룹
정재
추상 발레
캐릭터 댄스
컨템퍼러리 댄스
클래식 발레
탄츠테아터
탭 댄스
현대 발레
기법 TECHNIQUE
대2인무
델사르트 엑서사이즈
디베르티스망
디지털 댄스
무용보
바스 당스
발레 테크닉
아라베스크
앙트레
우연성 기법
유리드믹스
즉흥
팬터마임 · 마임
포인트 워크
프로시니엄 무대
필름과 비디오
해프닝 · 이벤트
현대무용 테크닉
생각 THOUGHT
가상의 힘
당스 데콜
동양무용
뮤즈
미메시스
발레 닥시옹
부정의 미학
서양무용
신명
신체 문화
심신이원론
아프리카
영감
오리엔탈리즘
유의미한 형식
카타르시스
커뮤니케이션
코레이아 · 오케시스
표현주의
프랑스 왕립 무용 아카데미
현상학
후기 현대파 춤
참고문헌
그림출처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1830~40년대에 절정에 이른 낭만 발레의 인기는 낭만 시기를 이끈 대표적인 발레리나의 인기로 유지되었다. 불과 한 세기 전에 남자들이 여장을 하고 여성역할을 하던 때와 달리 모든 솔로는 여성들이 도맡아 하면서 발레리나가 압도적인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고, 낭만 발레는 ‘여성 발레’라는 별칭을 지니게 되었다. 발레가 이렇듯 여성적 색조를 지니게 된 것은 당시 프랑스 발레의 본산인 파리 오페라가 왕실의 후원이 끊기자 독립재정체제로 바뀌면서 발레리나를 보려는 신흥 부르주아들이 유례없이 강력한 관객으로 등장했기 때문이다. 파리의 남성관객과 강력한 극장 후원자들의 영향력이 발레의 모습과 발전 방향을 결정한 것이다.”
- ‘남장여성무용수’ 중에서
“죽음의 춤은 당시 죽음에 대한 유럽인의 몰두를 보여주는데, 사회적, 종교적 풍자로 해석할 수도 있고 중세 동안 움트기 시작한 민주주의 의식의 발아로 생각할 수도 있다. 근본적으로 이 춤은 사회, 정치, 종교 체계 모두에 대한 환멸을 절박하게 표현한 것으로,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아울러 죽음 앞에서는 만인이 평등하다는 것을 시사한 시위의 일종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현상이 중세 동안 여러 곳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이교도적인 미신의 영향과 마술, 광신에 가까운 신앙을 반영한 것이었다.”
- ‘죽음의 춤’ 중에서
“미래에는 실시간과 실제 공간과 무용수가 사라진 ‘인텔리전트 스테이지’(intelligent stage)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리버베드 디자인 회사는 가상공간에서 컴퓨터로 작동되는 춤을 만들었다. 머스 커닝엄의 「Hand-drawn Spaces」와 「Biped」, 빌 존스의 「Ghostcatching」에서 광학 모션캡처를 이용해 움직이는 신체를 3-D 디지털로 재현해냈다. 애니메이터 겸 안무자는 저장된 데이터의 춤을 뽑아내 시행하는데, 실제 무용수인 빌 존스나 머스 커닝엄의 몸은 현장에 없다. 조작된 춤 정보가 유령이 되어 춤춘다. 「Biped」에서 머스 커닝엄은 실제 무용수와 그래픽 무용수가 함께 춤추게 했고, 「Ghostcatching」에서 빌 존스의 사라진 몸 대신 투명한 형체가 궤적을 남기며 움직이는 라인 댄스를 보여주었다.”
- ‘디지털 댄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