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부부생활/자녀양육
· ISBN : 9788991663206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4-11-11
목차
<추천의 말>
- 이영덕(전 국무총리)
- 김의환(전 총신대학교 총장)
- 고용수(전 장로회신학대학교 총장)
- 〈LA 타임스〉 현용수 교수 특집 보도
- 마빈 하이어(로스앤젤레스 예시바대학교 학장)
<개정판 서문> 현용수의 인성교육 원리 수정 증보판을 내며
<저자 서문> 유대인을 모델로 인성교육 원리 시리즈를 펴내면서
- 무너진 교육을 세우는 혁명적 대안을 찾아서 -
왜 인성교육 없는 IQ교육은 독소인가
왜 ‘수직문화와 수평문화’ 이론은 인성교육의 본질과 원리인가
예수님 믿기 이전: 왜 인성교육은 Pre-Evangelism인가
왜 인성교육론이 ‘Know-Why’라면, 유대인 쉐마교육은 ‘Know-How’인가
제4부 인성교육과 EQ(감성지수):
IQ보다 EQ가 더 중요하다
제1장 EQ(감성지수)란 무엇인가
I. IQ와 EQ의 용어 정의와 차이
1. IQ와 EQ의 정의
2. IQ와 EQ의 차이
<랍비 강의> 마음을 닦는 것이 두뇌를 개발하는 것보다 더 소중하다
II. 지·정·의(知情意)에서 EQ의 위치
1. 지·정·의(知情意)의 균형이 왜 필요한가
2. 유대인의 4차원 영재교육·54
3. 수직문화와 지·정·의(知情意) 교육의 관계
III. IQ와 EQ로 본 4가지 교육 모델
1. IQ 모델(IQ 위주의 교육)
2. IQ·EQ 모델(먼저 IQ, 후에 EQ교육)
3. EQ 모델(EQ 위주의 교육)·64
4. EQ·IQ 모델(먼저 EQ, 후에 IQ교육)
IV. 유대인이 정서가 풍부하다는 증거
제2장 EQ를 늘리는 4가지 방법
Ⅰ. 유대인 어머니의 EQ교육
1. 하나님은 EQ를 강조하신다
2. EQ는 어머니 몫이다
A. EQ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라하밈’
B. 어머니의 가슴과 EQ의 관계
<왜 마음이 아픈 것을 가슴이 아프다고 하나>
3. 어머니의 EQ교육
A. 자녀를 임신 중일 때 어머니 교육
B. 자녀를 낳은 후 어머니 교육
II. 종교교육
1. 성경과 신앙교육
2. 성령을 받아라
Ⅲ. 자연(Motherland)과 친해져라
1. 자연 속에 하나님의 사랑이 있다
2. EQ적 측면에서 본 동물학대 금지 이유
A. 유대인은 동물에게까지도 친절을 베푼다
B. 동물학대 금지 이유, 이방인과 유대인의 차이
<동물을 학대하면 그의 심성이 거칠어지기 때문이다>
C. 동물에 친절을 베푸는 이스라엘 vs. 최대 인권침해국 북한
<랍비 강의> 어느 랍비의 유서
IV. 사회적 약자를 도와라(쩨다카 교육)
제3장 한국인 EQ의 장단점 분석
Ⅰ. 미성숙한 EQ의 문제점
1. EQ의 양(量)과 질(質)
2. 한국에서 잘못 알고 있는 EQ 개념
3. EQ의 양과 질에 따른 4가지 EQ 모델
A. 4가지 EQ 모델
B. EQ(감성지수) 측정 도구
Ⅱ. IQ 위주 교육의 문제점
<랍비 강의> 지성만으로 존경받으려는 것은 사막에서 물고기를 잡으려는 것과 같다
제4장 결론
I. 마지막에 웃는 자가 되려면 IQ보다 EQ로 키워라
II. IQ는 일자리를 얻게 하지만, EQ는 승진을 보장한다
1. 미국 연방정부 법무부 차관보(법제처장)가 된 아들의 예
2. 아들의 승진과 EQ의 관계
<랍비 강의> 평판은 가장 좋은 소개장이다
제5부 온전한 인간교육의 순서
<들어가며>
제1장 왜 인성교육에 종교교육이 필요한가
Ⅰ. 현대 교육은 도덕 발달에 도움을 주는가
Ⅱ. 2종류의 학문: 세상 학문과 사상 학문(지식과 지혜)의 차이
1. 종교는 사상의 어머니다
A. 종교교육은 선악(善惡)의 분별력을 키운다
B. 범죄(crime)와 죄(sin)의 차이점
2. 미국 교육의 예
3. 유대인 교육의 예
4. 미국과 유대인의 세상학문과 사상학문의 비교
랍비 강의: 유대인이 보는 지식과 지혜의 차이
Ⅲ. 인성교육 측면에서 본 한국과 미국의 교육이념 비교
1. 한국의 핵심 인성교육 내용
A. 보신각과 사대문의 5가지 키워드
B. 보신각(신용)이 사대문의 중앙에 위치한 이유
2. 미국의 핵심 인성교육 내용
A. 선조에게 드리는 국립 기념비의 5가지 키워드
B. ‘믿음’이 기념비 중앙에 위치한 이유
3. 한국과 미국의 교육이념의 유사점
A. 한국과 미국의 으뜸 인성 가치: ‘믿음’
B. 한국은 ‘예’ vs. 미국은 ‘도덕’
C. 한국은 ‘이타심과 자비’ vs. 미국은 ‘율법’
D. 한국은 ‘의로운 애국자’ vs. 미국은 ‘자유’
E. 한국은 ‘하늘의 지혜를 구하라’ vs. 미국은 ‘교육’
4. 한국과 미국의 인성 가치의 우선순위 분석
A. 인성 가치의 으뜸 순위
B. 인성 가치의 첫 번째 순위
C. 인성 가치의 두 번째 순위
D. 인성 가치의 세 번째 순위
E. 인성 가치의 네 번째 순위
5. 선교사가 한국에 전한 북미주의 기독교 인성
A. 당신 가문에 감사를 드립니다
1) 윌리엄 제임스 홀 선교사
2) 부인 로제타 홀 선교사
3) 아들 닥터 셔우드 홀과 그 부인 닥터 메리안 홀 선교사
B. 한국에서 자선활동에 앞장선 기독교
제2장 인성의 뿌리는 사상이다: 인간은 빵만으로 살 수 없다
Ⅰ. 한국 교육, 무엇이 잘못됐나
1. 사상은 배운 사람의 전유물이 아니다
2. 사상 없는 현대 교육은 부패한다
A. 퇴폐업소가 가장 많은 신촌, 이유는
B. 대학교육 vs. 서당교육
3. 한국인의 고유사상이 없어진 역사적 배경: 군사문화 30년
4. 왜 한국의 대학생들이 좌경화되고 있는가
A. 한국 대학생들, 왜 북한의 주체사상 덫에 걸렸나
B. 수직문화 입장에서 본 종북좌파의 역사의식 분석:
<선한 수직문화 vs. 악한 수직문화>
<랍비 강의> 권력과 기피
Ⅱ. 유대인의 인성교육 내용은 신본주의 사상이다
1. 유대인의 리더십, 무엇이 다른가
2. 유대인의 가장 큰 재산은 유대주의 사상이다
<랍비 강의> 네가 어디 있느냐? <쫓겨난 아담과 이브>
Ⅲ. 왜 공산주의는 망했고 그 후 타락하고 있는가
제3장 결론: 한국인의 바람직한 자녀교육
I. 제 1-2장 내용 요약
II. 제5부 결론
제6부 인성교육과 예절교육의 원리: 교육의‘내용과 형식’
<동양과 유대인 인성교육의 내용과 형식 비교>
제1장 인성교육에 예절이 필요한 이유: 인성교육에는 내용과 형식이 있다
Ⅰ. 인(仁)과 예(禮), 사랑과 율법
1. 예는 인격(인성)을 담는 그릇이다
2. 예(율법)는 자기의 유익보다 남의 유익을 구하는 것이다
3. 속리산(俗離山)과 법주사(法住寺) vs. 시내산과 율법
Ⅱ. 교육의 내용과 형식: 믿음과 율법의 행함
1. 반석(믿음) 위에 어떤 집을 지어야 하는가
2. 한국 교회 최대과제 ‘신앙과 삶의 불일치’
3. 유대교와 바울, 천주교와 개신교(칼빈)
A. 유대교의 교육 내용과 형식
B. 천주교와 개신교의 교육 내용과 형식
C. 구약도 율법주의를 책망했다
D. 결론: 대안 제시
4. 신약교회도 ‘내면화’(interiorized)와
‘제도화’(institutionalized)가 필요하다
III. 대안: 한국인 기독교인은 율법에 근거한 전통을 만들어야 한다
1. 전통이 형성되는 과정
2. 서양 것 모방은 그만하고 한국 것 개발해야
<제6부 제1장 IV.항은 《현용수의 인성교육 원리》 시리즈 제4권에 이어집니다.>
------------------
부록 1. 쉐마클리닉의 파워, 쉐마클리닉 참석자들의 증언
<교육자의 증언>
고민하던 인성교육의 원리와 공식을 찾았다
이광조 교수 (건국대학교 부충장)
<교회교육자의 증언>
가정들이 처참하게 깨어지는데 교회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민현식 교수 (서울대 국어교육과 명예교수)
복음적 토양교육(Pre-Evangelism) 발견은 이 클리닉의 백미다
양성일 교수 (Ph.D, 한양공대 교수)
<교회교육자의 증언>
개신교는 율법은 윤리적 적용, 신앙전수는 교리로 하는데, 그 한계의 대안을 찾았다
홍근대 목사(경남 합천 소광교회 담임)
<페미니스트의 변화>
여성우월주의를 주장했던 내가 깨지다니
조미경 사모
<쉐마교육 실천기>
쉐마는 지성과 영성 겸비한 자녀양육
임유영 사모
<자녀의 국가관에 대한 증언>
평화를 위해 ‘애국자가 없는 세상’이 좋다(?)
이정은 간사 (서울대학교 공대 졸)
<자녀의 변화>
기도회 때 방언의 은사를 받고
박지훈 학생 (중학교 3학년)
가장 후회스러운 일 ‘가정예배 반대’ 사건
박소영 학생 (중학교 2학년)
<선교사의 증언>
내 인생에 4가지 혁명을 주다
최진호 박사(동북아 선교사)
<탈북자의 증언>
국군포로 며느리인 내게는 좌파와 싸울 논리, 즉 ‘강한무기’가 생겼다
<대한민국 멸망의 증거를 보고 소스라치게 놀랐다>
탈북자 이복연 (수학천재 국군포로 아들의 아내)
<부모와 자녀들, 책만 읽어도 변한다>
2∼3초를 버티지 못하고 TV채널을 돌렸는데…_김기쁨(초등 6학년)
수평문화를 몰라 부끄러워하던 나의 모습이 오히려 부끄러웠다_조안남(교사)
부록 2. 국악 찬양
참고자료(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