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초등 1학년, 수학과 친해지면 모든 공부가 쉬워진다

초등 1학년, 수학과 친해지면 모든 공부가 쉬워진다

송재환 (지은이)
예담Friend
13,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2개 1,5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92개 4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660원 -10% 480원 8,210원 >

책 이미지

초등 1학년, 수학과 친해지면 모든 공부가 쉬워진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초등 1학년, 수학과 친해지면 모든 공부가 쉬워진다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수학/과학 교육
· ISBN : 9788991731943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4-09-15

책 소개

베테랑 교사인 저자가 20여 년간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과 부대끼며 수업을 진행해온 노하우에 2013학년도부터 확 달라진 수학 교과서에 대한 전문적이면서도 친절한 분석을 더해 집필한 초등 1학년 수학 공부의 완결판이다.

목차

프롤로그 아이들의 가슴 위에 새겨진 ‘수학’이라는 주홍글씨

1장 초등 1학년 수학이 중요한 이유

01 초등 공부, 책읽기로 시작해 수학으로 방점을 찍어라
02 초등 1학년, 수학 공부의 습관을 들이는 시기
03 1학년 때 수학 실력이 4학년까지 간다
04 수학은 공부 정체감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05 영어보다는 수학을 먼저 잡아라

2장 수학에 대한 부모들의 해묵은 오해와 편견

01 수학 공부를 하기 전 부모가 반드시 버려야 할 4가지 생각
내가 수학을 못했으니 당연히 아이도 못할 것이다 | 수학은 현실과는 전혀 별개인 이른바 ‘따로 국밥’이다 | 수학은 무조건 논리적이어야 한다 | 수학은 타고난 재능이 있어야 한다
02 선행 학습, 아이의 수학을 망치는 지름길
03 문제집을 많이 푸는 게 가장 큰 문제다
04 외부 수학 경시대회, 약일까 독일까
05 깨끗한 교과서와 수학 실력의 상관관계
06 수학 공부와 영어 공부는 엄연히 다르다
07 몸으로 수학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
08 빨리 시작한다고 해서 반드시 멀리 가는 건 아니다

3장 초등 1학년 수학 들여다보기

01 초등 1학년 수학의 3가지 변화
이야기가 있는 수학, ‘스토리텔링’ | 몸으로 공부하는 수학, ‘조작 체험’ | 정답보다는 ‘왜’를 강조하는 수학, ‘수학적 사고력’
02 취학 전 아이를 둔 부모를 위한 수학 공부 가이드
재미없는 공부는 안 시키는 편이 낫다 | 책읽기 습관부터 꼼꼼히 점검하라 | 무조건 반복하는 공부는 반드시 지양하라 | 취학 전, 이 정도만 알아도 충분하다
03 초등 1학년 수학, 한눈에 살펴보기
수학 교과서의 구성 | 『수학』 파헤치기 | 『수학 익힘책』 파헤치기 | 초등 1학년 수학 내용 체계
04 1학년 부모가 숙지해야 할 수학 공부의 모든 것
문장제 문제, 문제 속에 답이 있다 | 검산 습관이 수학 실력을 완성한다 | 질문하지 말고 발문(發問)하라 | 수학 교과서를 버리지 마라 | 수학 시험, 점수보다는 방법과 전략이 우선이다

4장 초등 1학년이 꼭 알아야 할 수학 개념 원리

01 수와 숫자
수와 숫자 구분하기 | 수의 세 가지 의미 | 수를 읽는 방법 | 다양한 수 세기 | 0의 의미
02 가르기와 모으기
가르기와 모으기의 의미 | 가르기와 모으기의 경우의 수 | 퀴즈네어 막대
03 덧셈과 뺄셈
덧셈의 의미 | 뺄셈의 의미 | 덧셈과 덧셈식, 뺄셈과 뺄셈식 | 덧셈과 뺄셈의 다양한 표현
04 등식
등식의 개념 | 등식 놀이
05 측정과 표현
양(量)의 개념 | 직접 비교와 간접 비교 | 양(量)의 표현
06 시계 보기
시각(時刻)과 시간(時間) | 시계 속에 숨어 있는 진법 | 시계를 보는 방법

5장 초등 1학년 수학 단원별 미리 보기

01 1학기 1단원: 9까지의 수
02 1학기 2단원: 여러 가지 모양
03 1학기 3단원: 덧셈과 뺄셈
04 1학기 4단원: 비교하기
05 1학기 5단원: 50까지의 수
★ 1학년 여름 방학 수학 공부법
06 2학기 1단원: 100까지의 수
07 2학기 2단원: 여러 가지 모양
08 2학기 3단원: 덧셈과 뺄셈 (1)
09 2학기 4단원: 시계 보기
10 2학기 5단원: 덧셈과 뺄셈 (2)
11 2학기 6단원: 규칙 찾기

6장 초등 1학년 수학 공부법

01 엉덩이 수학: 앉아 있는 시간과 수학 실력은 비례한다
수학 문제집, 양보다는 부모의 원칙이 중요하다 | 수학 학습지, 필수가 아닌 필요에 의해 선택한다
02 이해력 수학: 많이 읽는 것이 힘이다
수학의 기본은 책읽기다 | 책읽기는 확산적 사고를 돕는다 | 책도 읽고 수학도 공부하는 일석이조 ‘수학 동화’
03 눈덩이 수학: 개념 원리에만 충실하면 그다음은 알아서 다 된다
진정한 수학 공부의 시작은 철저한 개념 익히기이다 | 개념만 제대로 알아도 자동으로 심화 학습이 된다 | 개념을 배우는 가장 쉽고 재밌는 길, 조작 활동
04 꼼꼼 수학: 속도보다는 방향이 중요한 연산 훈련
초등 수학에서 연산이 중요한 이유 | 연산 훈련의 원칙과 방법 | 엄마표로 진행하는 연산 훈련
05 재미 수학: 잘 노는 아이가 수학도 잘한다
몸으로 해봐야 기억에 오래 남는다 | 수학은 생활 속에 숨어 있다 | 교구 놀이, 가격보다는 활용도를 따진다
06 표현 수학: 배운 내용을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실력이 달라진다
나날이 실력을 쌓는 수학 일기 | 때로는 아이도 선생님이 되어야 한다 | 문제 풀이 연습장이 필요한 이유

7장 초등 1학년을 위한 수학 놀이

01 바둑돌을 이용한 수 연산 놀이
내가 가진 바둑돌은 몇 개? | 홀짝 놀이 | 님 게임(Nim Game) | 바둑돌 빼기 놀이 | 내가 가져간 바둑돌은 몇 개?
02 주사위를 이용한 수 연산 놀이
주사위 덧셈 놀이 | 주사위 뺄셈 놀이 | 덧셈을 할까? 뺄셈을 할까?
03 카드를 이용한 수 연산 놀이
10 만들고 합 구하기 | 10의 보수 놀이 | 카드 덧셈 놀이 | 카드 뺄셈 놀이
04 시계 놀이
다섯 고개 시계 놀이
05 측정 놀이
날아간 종이비행기의 거리는? | 한 다리로 서 있기 | 젓가락으로 콩 옮기기

에필로그 수학의 벽이 희망의 벽으로 변할 때까지

저자소개

송재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습니다. 현재 서울 동산초등학교에서 25년 이상 가르치며 올바른 교육과 효과적인 공부법에 대해 쓰고 전하는 작가와 강연가로도 학생과 학부모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특히 『초등 고전 읽기 혁명』을 통해 고전이 아이들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성장시키는지 생생하게 보여주어 초등 고전 읽기 열풍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외의 저서로는 『인성 쑥쑥 한자 쑥쑥 초등 사자소학』, 『어휘 쑥쑥 논리 쑥쑥 초등 명심보감』, 『국어 쑥쑥 표현 쑥쑥 초등 사자성어』, 『초등 1학년 공부, 책읽기가 전부다』, 『초등 3학년 늘어난 교과 공부, 어휘력으로 잡아라』, 『초등 1학년 준비 혁명』, 『초3 국어교과서 따라쓰기 공부법』, 『초4 국어교과서 따라쓰기 공부법』, 『아이의 성적격차가 갈리는 초5 공부의 비밀』 등과 어린이 동화 『책 맛 아는 아이들』,『연필 도둑 한명필』, 『내 맘대로 엉뚱 구구단』 등이 있습니다. 많은 저서가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로 선정됐으며, 왕성한 저술 활동과 독서교육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올해의 독서 문화상(2011)’과 ‘눈높이 교육상(2020)’을 수상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책읽기로 시작해서 수학으로 방점을 찍는 것이 바로 초등 공부이다. 비단 초등 공부뿐이겠는가? 중고등학교 공부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싶다. 이처럼 중요한 책읽기와 수학을 처음으로 배우는 시기가 바로 초등학교 1학년이다. 책읽기는 습관을 들이기가 비교적 수월하다. 책을 자주 접하다 보면 어느새 독서인이 된다. 부모가 책을 읽으면 아이 역시 십중팔구 책을 읽게 된다. 하지만 수학은 다르다. 수학 공부 습관을 잘 들이고 실천하게 되기란 황소 뒷걸음질 치다가 쥐 잡는 것처럼 가능성이 크지 않다. 그러니 수학적인 안목을 가진 사람이 반드시 앞가림을 해줘야 한다. 그 사람은 다름 아닌 부모다.
-p18-19, <초등 공부, 책읽기로 시작해 수학으로 방점을 찍어라> 중에서


1학년 1학기 수학 시간에 배우는 ‘7+5’와 같은 ‘한 자리 수+한 자리 수’를 생각해보자. 너무나 쉬워 별 볼일 없어 보이지만 이 과정이 원활하게 잘 이뤄지면 추후 자연수의 덧셈에서 문제가 생길 일이 없다. 수가 점점 커진다 하더라도 자릿수만 늘어날 뿐이지 덧셈의 원리가 바뀌진 않기 때문이다. 만약 이 부분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로 넘어간다면 이후에 아무리 두 자리 수 덧셈을 배우고 세 자리 수 덧셈을 배운다 한들 모래 위에 건물을 짓는 격일 것이다.
이처럼 초등학교 1학년 때 배우는 수학은 이후의 수학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1학년 때 배우는 1부터 100까지의 수와 이를 활용한 덧셈과 뺄셈은 이후에 배우는 덧셈과 뺄셈의 기초가 된다. 게다가 덧셈은 2학년 때 배우는 곱셈의 기본 개념이 되며, 뺄셈은 3학년 때 배우는 나눗셈의 기본 개념이 되기 때문에 1학년 수학의 중요성은 결코 간과할 수가 없다.
-p24, <1학년 때 수학 실력이 4학년까지 간다> 중에서


가장 좋지 않은 것 중 하나가 바로 ‘내가 수학을 못했으니 너도 별 수 없다’라는 생각이다. 이는 굉장히 위험하며 그다지 논리적이지도 않다. 외국의 한 연구 기관에서 언어, 사회 과학, 수학, 과학 네 가지 분야를 대상으로 부모의 선천적인 능력이 자녀에게 후천적으로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는지 조사해 발표한 적이 있다. 그 결과, 사회 과학이 부모의 선천적인 능력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으며, 그다음으로 언어, 과학, 수학 순이었다. 우리의 상식을 깨는 결과이지 않은가? 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일까? 사실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이다. 수학은 그 어떤 과목보다 논리적 사고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태어날 때부터 선천적으로 논리적 사고를 할 줄 아는 아이는 거의 없다. 논리적 사고는 후천적으로 배우고 습득하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것처럼 부모의 수학 실력은 결코 자녀에게 대물림되지 않는다. 부모의 ‘수학관’만이 대물림될 뿐이다. 이쯤에서 분명히 자문자답해볼 필요가 있다.
“나는 자녀에게 어떤 수학관을 대물림해주고 있는 것일까?”
-p35-36, <내가 수학을 못했으니 당연히 아이도 못할 것이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6117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