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영문법
· ISBN : 9788991749580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4-12-20
책 소개
목차
》저자 서문
》편집자의 글
》이 책의 구성과 특징
Unit 1 수식을 받았는데 정관사를 안쓰네요? o14
(1) 예문01-04 정관사 the가 오는 경우
(2) 예문05-14 관사가 쓰이지 않거나 부정관사 a가 쓰이는 경우
Unit 2 those를 써야 하는데 왜 them을 쓰나? o30
(1) 예문 01-06 those의 뜻으로 쓰이는 them
Unit 3 숫자는 복수인데 a를 붙인다? o38
(1) 예문01-07 a + 형용사 + 복수 수사 + 복수 명사
(2) 예문08-11 복수 수사 + percent (단수); a + 형용사 + 복수 수사 + percent (단수)
Unit 4 맥락도 없이 갑자기 튀어 나온 that의 정체는? o52
(1) 예문01-08 암묵적으로 이해되는 대명사 that/those
Unit 5 일반인의 대명사 you가 YOU가 아닌 I 라구요? o62
(1) 예문01-02 일반인을 나타내는 you :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일반인으로서의 you
(2) 예문03-06 일반인을 나타내는 you : 문맥과 화제의 성격에 따라 제한된 의미의 you
(3) 예문07-08 일반인을 나타내는 you : 실질적으로 말하는 이 자신 (I)을 가리키는 you
Unit 6 부분부정의 부분적 알기 넘어서기 o72
(1) 예문01-04 부분부정의 기본 형태들
(2) 예문05-09 부분부정의 기본 형태들: 부정어 + 전체/완전/강조어: 다른 표현들
(3) 예문10-11 전체어 + 부정어 (1): 부분부정을 나타내는 경우
(4) 예문12-13 전체어 + 부정어 (2): 완전부정을 나타내는 경우
(5) 예문14-18 부정어 + 전체어: (형태상) 부분부정 = (의미상) 완전/상당부정의 경우
Unit 7 부정문의 some? 긍정문의 any? o94
(1) 예문01 부정어 + 전체어: (형태상) 부분부정 = (의미상) 완전/상당부정의 경우
Unit 8 문어체엔 Which? 구어체엔 that? o116
(1) 예문01-02 관계대명사 that과 which의 제한적 용법: 기본
(2) 예문03-04 관계대명사 which의 계속적 (설명적/서술적/부가적) 용법
(3) 예문05-09 관계대명사 that의 계속적 (설명적/보충적/서술적) 용법
Unit 9 "Am I not?" 인가?, "Aren't I?" 인가? o128
(1) 예문01-05 동사의 수: Aren't I?
Unit 10 자동사+전치사=타동사의 그 미세한 뉘앙스 차이 인사이트 o134
(1) 예문01-02 자동사+전치사(+목적어): 동사구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
(2) 예문03-10 상당히 다른 또는 독자적인 의미를 가지는 동사구를 형성하는 경우
Unit 11 현재진행은 강한 의지다? o146
(1) 예문01-06 현재진행 시제: 말하는 이가 주어인 경우: 미래에 관한 현재의 강한 의지 등
(2) 예문07-08 현재진행 시제: 말하는 이와 주어가 다른 경우: 주어에 대한 말하는 이의 미래의 행위에 관한 강한 의사 전달
Unit 12 사역동사의 미세한 뉘앙스 차이 인사이트 o156
(1) 예문01-07 주어 + have + 목적어 + 동사원형: 의미유형 (1): 주어의 의지 (의사/바램)
(2) 예문08-10 주어 + have + 목적어 + 동사원형: 의미유형 (2): 상황의 전개나 변화
(주어의 의지와 무관하거나 주어의 의지에 반하여)
Unit 13 과거분사에 존재하는 미세한 뉘앙스 차이 인사이트 o170
(1) 예문01-03 (1): 주어의 의지
(2) 예문04-06 (2): 상황의 전개나 변화 (주어의 의지와 무관하거나 주어의 의지에 반하여
(3) 예문07-09 (3): 목적어의 상태
Unit 14 현재분사에 존재하는 미세한 뉘앙스 차이 인사이트
(1) 예문01-03 (1): 주어의 의지 + 목적어의 진행 중인 동작
(2) 예문04-06 (2): 상황의 전개나 변화 (주어의 의지와 무관하거나 주어의 의지에 반하여)
+목적어의 진행 중인 동작
Unit 15 could인데 미래다? o190
(1) 예문01-06 조동사 could: 현재 또는 미래 지향적인 가능성이나 추측
(2) 예문07-09 could + have + 과거분사: 과거의 사건/상황에 관한 현재의 추측/판단
(3) 예문10 주어 + could have + p.p.=가정법 과거완료
Unit 16 used to와 would의 그 미묘한 뉘앙스 차이 인사이트 o202
(1) 예문01-03 would: 과거의 대단히 반복적, 규칙적, 상례적, 지속적 사건, 행위, 버릇, 상태
(2) 예문04-05 would: 과거의 대단히 반복적, 규칙적, 상례적, 지속적 사건, 행위: 다발적사용
(3) 예문06-08 used+ to- 부정사:과거의 대단히 반복적, 규칙적, 지속적 사건,
(4) 예문09-12 used + to-부정사: 과거의 대단히 반복적, 규칙적, 지속적 사건, 상태 + 지금
(5) 예문13-14 used to를 사용하여 과거의 대단히 반복적, 습관적, 규칙적, 상례적, 지속적
Unit 17 'should + have + 과거분사'가 "~했어야 했다"가 아니다? o218
(1) 예문01-03 should + have + 과거분사 (1): ...했어야 했다, 그러나 그렇게 하지 않았다
(2) 예문04-07 should + have + 과거분사 (2): ... 했어야 했다 (실제로 그렇게 하였다)
Unit 18 cannot ... too와 cannot ... enough에 대한 인사이트 o228
(1) 예문01-03 cannot ... too ...: (1) "아무리 ... 해도 지나치지 않다."
(2) 예문04-05 cannot ... too ...: (2) "지나치게/아주 ... 할 수(는) 없다/해선 안된다."
(3) 예문06 cannot ... enough (...): (1) "아무리 ... 해도 지나치지 않다."
(4) 예문07 cannot ... enough (...): (2) 실제로 "아주/지나치게 ... 할 수(는/가) 없다,
... 너무/지나치게 ... 해서는 안 된다"
Unit 19 하루에도 수십 번 쓰이는 주어 + be동사의 생략 인사이트 o238
(1) 예문01-08 접속사 + (주어 + be 동사) ...: 주어와 be 동사의 생략
(2) 예문09-12 접속사 + (주어 + be 동사): 부사절의 주어가 주절의 주어와 다를 때
Unit 20 or는 선택 아닌 동격이다? o252
(1) 예문01-05 동격/설명의 접속사 or: A, or B: A=B
Unit 21 가정법의 핵심은 태도다! 분위기다! o258
(1) 예문01-04 가정법 과거(1): 현재 사실의 반대나 실현 불가능한 것을 가정하거나 소망해보는 경우
(2) 예문05-09 가정법 과거(2): 열린 가능성의 어법: 어느 정도의 또는 상당한 가능성이 열려있는 가정이나 강렬한 소망(종종 신중하거나 정중한 표현)
Unit 22 느낌표 없는 감탄문? o270
(1) 예문01 What +주어+ 동사(또는 be동사나 조동사)...(!) 문형
(2) 예문02 How +주어+ 동사(또는 be동사나 조동사)...(!) 문형
(3) 예문03 서술문의 구조를 취한 감탄문
(4) 예문04-08 Yes-No 의문문의 형태:(1)긍정형의 Yes-No 의문문의 형태를 취한 감탄문
(5) 예문09-11 Yes-No 의문문의 형태:(1)부정형의 Yes-No 의문문의 형태를 취한 감탄문
(6) 예문12-14 to 부정사구의 형태를 취한 감탄문
(7) 예문15-17 If only+가정법(!/.)의 형태를 취한 감탄문
Unit 23 명령문의 부가의문문에 대한 인사이트 o290
(1) 예문01-04 명령문, + will you?
(2) 예문05-12 명령문, + would you/wouldn't you/why don't you 등의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