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질병치료와 예방 > 기타질병
· ISBN : 9788991819160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07-11-26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옮긴이의 말 / 서문
알레르기에 대한 이해 이론편
- 알레르기란 무엇인가? - 기여 인자 - 진단 및 관리
알레르기 없는 집 진단편
- 실내 공기의 상태 - 난방 - 바닥과 벽
- 주택 개량 공사용 제품 - 가구 및 각종 설비 - 집 안 청소
이상적인 실내 공간 실천편
- 침실 - 아이 방 - 거실 - 주방
- 욕실 - 재택 사무실 - 공간 개조 - 바깥 공간
사례
- 저알레르기항원주택건설 - 사례 기록 1 - 사례 기록 2
부록
책속에서
알레르기반응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해 면역반응은 몸에 침입한 이종단백(異種蛋白)을 죽이거나 쫓아내려는 신체의 활동이다. 그런 까닭에 몸의 관점에서 보면 알레르기 반응은 방어 기전이라 할 수 있다. 면역반응이 바이러스나 세균, 또는 우리 몸 자체의 단백질에 비정상적으로 반응하여 발생하곤 하는 반면,
알레르기 반응은 보통 감염성이 없는 외부의 물질에 반응하여 발생한다. 다시 말하자면 알레르기 반응은, 기본적으로 무해한 단백질에 대한 방어 반응으로 문제의 요인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 외부 유발원이 아니라 알레르기 반응 그 자체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겪고 있는 알레르기의 대부분이 이 범주에 해당한다.-본문 중에서
왜 바퀴가 문제인가?
바퀴 알레르기항원의 원천은 집먼지진드기에 비해 분명하지 않지만, 배설물 덩어리 속에 들어 있는 소화효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바퀴의 배설물 덩어리는 집먼지진드기에 비해 훨씬 더 크고 무겁지만, 여러 조각으로 부서지면 공중에 떠 있을 수 있다. 그리하여 숨을 쉴 때 코나 입 또는 눈을 통해 우리의 몸 안으로 들어올 수 있다.
바퀴의 알레르기항원이 먼지 입자를 둘러싸서 먼지 입자와 함께 흡입되어 우리 몸으로 들어오기도 한다. 어떤 연구에서는 배설물 덩어리라기보다 바퀴의 성페로몬에 결합된 단백질이 알레르기항원의 원천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건물이 허술하고 저소득층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서는 바퀴 알레르기가 병원 응급실을 찾는 심한 천식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