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심장병의 청취법, 대화법, 진찰법

심장병의 청취법, 대화법, 진찰법

(증례로 배우는 심장병진단의 접근)

권혁문, 이병권 (지은이)
가본의학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600원 -5% 0원
800원
25,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26,17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심장병의 청취법, 대화법, 진찰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심장병의 청취법, 대화법, 진찰법 (증례로 배우는 심장병진단의 접근)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내과 > 순환기
· ISBN : 9788992006767
· 쪽수 : 230쪽
· 출판일 : 2010-01-01

책 소개

임상에서 환자를 대할 때, 환자가 증상을 호소하는데 있어서 말이나 행동으로, 또는 몸에서 나는 소리로하게 된다. 「일상어(spoken language)」라 하여 환자가 말로 표현하는 것, 「신체어(body language)」라 하여 행동이나 표정으로 표현하는 것, 마지막으로 「장기어(organ language)」라 하여 청진을 포함한진찰을 할 때 각 장기에서 들리는 것, 등의 3가지 「임상의 언어(clinical language)」로 환자와 대화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목차

제1장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16세 남자
증례 2
●진단 문답 ─ 원인은 무엇인가? 2
신체 소견 2
●진단 문답 ─ 짐작되는 질환은? 4

제2장 고혈압으로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82세 남성
증례 8
●진단 문답 ─ 제 Ⅳ 심음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 8
심전도의 소견 8
●진단 문답 ─ 심전도 소견에서 알 수 있는 것 10
그 후의 대처 10
●고혈압과 대사증후군 12
●혈압은 무엇을 나타내고 있을까? 12
●고혈압의 기준은? 14
●혈압은 어떻게 변동될까? 14
●고혈압은 어떤 원인으로 일어날까? 16
●혈압은 연령에 따라 함께 높아질까? 16
●본태성 고혈압의 병태 생리 18
●고혈압 긴급증(응급증)이란? 20
●고혈압의 발생 빈도와 호발연령 20
●고혈압의 증상은? 20
●고혈압의 치료법은? 22
●이차성 고혈압은? 24
●신장 혈관성 고혈압의 병태 생리 26
●갈색 세포종 30
●고혈압의 일상생활에서 주의점과 치료법은? 30


제3장 당뇨병 및 고혈압으로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49세 남성
증례 34
과거의 병력 34
신체 소견 34
●진단 문답 ─ 적절한 치료는? 34
치료 경과 34
●진단 문답 ─ 혈압약에 의한 조절 36
그 후의 경과 36
●진단 문답 ─ 수술 후 치료의 주의점은? 36
●허혈성 심장질환과 동맥경화성 심장질환은 같은 것인가? 38
●동맥경화는 연령과 함께 진행될까? 38
●고지혈증과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40
●관동맥 순환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42
●협심증과 심근경색은 같은 질환인가? 42
●허혈성 심장질환의 증상이란? 44
●급성관동맥증후군과 어떤 관계일까? 44
●관동맥 질환을 일으키는 위험 인자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46
●심근경색의 합병증 48
●협심증의 발작시에는 어떻게 대처하면 좋은가? 54
●갑작스런 심근경색 발생의 위험성에 어떤 영향이 있는가? 54
●관동맥 질환의 최근 치료법 54
●급성기의 치료 56


제4장 부정맥으로 내원한 60세 여성
증례 60
●진단 문답 60
그 후의 경과 62
●진단 문답 62
생각치 못한 결과 62
●진단 문답 ─ 대화의 중요성 64
●진단 문답 ─ 심장 신경증의 종류 64
●심장 신경증의 증상 64
●심장 신경증의 유발 요인과 치료 66

제5장 흉부 압박감과 두경감을 호소하는 65세 여성
●진단 문답 70
증례 70
●진단 문답 70
신체 소견 70
●진단 문답 70
그 후의 경과 72
●진단 문답 72
●심장 판막증의 원인 72
●류머티즘열의 증상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74
●승모판 협착증 76
●승모판 폐쇄부전 78
●승모판 일탈 80
●삼첨판 폐쇄부전 82
●대동맥판 폐쇄부전 84
●대동맥판 협착 86
●류머티즘열의 자각 증상 86
●심장 판막증의 재발 예방과 일상생활에서 주의점 86
●류머티즘열의 재연 방지에 대한 주의점 88
●심장 판막증의 수술 88


제6장 건강 진단으로 심전도의 이상이 지적된 60세 남성
증례 96
신체 소견 96
●진단 문답 ─ 소견으로 알 수 있는 것 96
그 후의 경과 96
●심근증은 도대체 어떤 질환인가? 98
●비후성 심근증이란 어떤 질환인가? 98
●확장성 심근증이란 어떤 질환인가? 102
●심근염이란 102
●심근증은 어떤 증상이 생기는가? 104
●심근증이라고 진단되었을 경우의 일상생활에서 주의점 106
●심근증의 치료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106


제7장 심실 중격 결손이라고 진단된 65세 남성
증례 110
●진단 문답 110
신체 소견 110
●진단 문답 110
검사 결과 112
●진단 문답 112
●임신과 선천성 심장질환 112
●사지의 발육 이상과 선천성 심장질환의 관계 114
●흔히 볼 수 있는 선천성 심장질환 114
●심방 중격 결손 116
●심실 중격 결손 120
●동맥관 개존 122
●대동맥 축착 126
●폐동맥 협착 128
●곧바로 진단?치료를 필요로 하는 유아의 증상 132
●유아기 이후의 주의점과 증상 132
●선천성 심장질환에 대한 수술의 적응 134


제8장 두근거림과 빈맥을 호소하는 55세 여성
증례 136
●진단 문답 ─ 어떤 질환을 생각할 수 있을까? 136
그 후의 경과 136
●진단 문답 ─ 치료의 포인트 136
●부정맥은 왜 발생하는가 138
●심방?심실 기외수축 138
●방실접합부에서의 회귀(re-entry) 140
●심방 조동?심방 세동 142
●방실 블록 146
●각 블록(bundle branch block) 146
●동기능 부전 증후군(SSS) 148
●전해질 장해 152


제9장 코의 폐색감(코막힘)과 기침을 호소하는 70세 남성
증례 154
신체 소견 154
●진단 문답 ─ 소견으로부터 무엇을 알 수 있을까 154
그 후의 경과 154
●폐성심을 일으키는 원인 156
●폐성심은 어떻게 진단할까 160
●폐성심의 치료와 일상생활에서 주의점 162


제10장 만성 울혈성 심부전 치료 중의 65세 여성
증례 166
신체 소견 166
●진단 문답 ─ 소견으로부터 무엇을 알 수 있을까? 166
치료와 경과 168
●진단 문답 ─ 수술의 적응증 168
●심부전이라는 것은 어떤 상태인가? 168
●급성 좌심실 부전 170
●좌심실 부전을 일으키는 원인 172
●좌심실 부전의 증상 176
●우심실 부전 178
●양실 부전의 원인 178
●심부전에 대한 치료법 178


제11장 날카로운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43세 여성
증례 182
●진단 문답 ─ 어떤 질환을 생각할 수 있을까? 182
그 후의 병력 184
신체 소견 184
그 후의 경과 186
●감염성 심질환이란 어떤 것인가? 188
●심막 질환이란 어떤 질환인가? 190
●빈혈성 심질환이란 어떤 것인가? 192
●갑상선 기능항진에 의한 심질환 192
증례 192
●진단 문답-갑상선의 기능과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194
그 후의 경과 194
●진단 문답 ─ 어떤 치료가 좋았던 것일까? 194
●심질환의 여성은 임신할 수 없는 것일까? 196
●심장에 종양은 생길 수 있을까? 196


제12장 생활습관과 심질환
●식사 요법은 왜 중요한가? 200
●일식은 세계에서 최고의 레시피입니다 202


■부록 ─ 심장주기에 있어서의 좌심계와 우심계의 순환 동태 206
■참고 문헌 210
■집필 후기 211
■저자 소개 212
■찾아보기 213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