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어바웃 브랜딩

어바웃 브랜딩

(하나의 화두, 두 가지 시선)

정지원, 원충열 (지은이)
한스컨텐츠(Hantz)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어바웃 브랜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어바웃 브랜딩 (하나의 화두, 두 가지 시선)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88992008679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7-06-22

책 소개

시시각각 변화하는 세상에서 좋은 브랜드가 탄생하고 살아남고 성장하는 비결은 무엇인가? 두 사람의 전문가가 이 문제를 집요하게 파고들었다. 그리고 ‘더 견고한 자기 이야기’라는 해답을 내놓았다. 브랜드가 가진 고유의 스토리야말로 브랜딩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목차

프롤로그

1. 왜 여전히, 아직도 브랜딩인가?
대체 브랜딩이 뭐길래: 거장 스토리텔러 조지 밀러 VS 일본의 행복한 바나나
브랜드는 무엇으로 사는가: 쌍방향 신뢰의 괴력 VS 고객과 함께 늙어가기
불황 시대, 브랜드는 누구의 것일까: 노우(Know)브랜드 VS 소유권의 이양
브랜드 팬덤 만들기: 깨어난 팬덤 VS 안티의 역습
직업으로서의 브랜딩: 관통의 고통과 매력 VS 호모 고민쿠스

2. ‘맥락’이 지배하는 브랜드의 세계
브랜드, 결국 프레이밍의 기술: 베트멍의 짝퉁 프레이밍 VS 파타고니아의 불매 프레이밍
브랜드, 정교한 반전을 준비하라: 자기다움인가 지루함인가 VS 에르메스의 반전
넘사벽 브랜드의 조건: 고객 일상에 개입하는 나이키 VS 고객 경험을 파는 캐스퍼
브랜드의 맥락과 매력 사이: 두 오토바이 브랜드의 맥락과 매력 VS 테슬라(Tesla)의 맥락과 매력
기술로 브랜드를 기술하다: Engineering보다 Emotioning VS 기술보다 철학이 먼저
버리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패키지 공식을 깬 알엑스바(RXbar) VS 강점에만 집중한 다이슨(Dyson)

3. 이제는 생존 바이블, 브랜드의 진정성
브랜드라는 가면: ‘성능’이라는 가면을 벗은 할리 데이비슨 VS ‘매직’의 가면이 본 얼굴이 된 디즈니
자기 부정의 브랜딩: 성장의 변곡점 VS 본질의 영구성
브랜딩 되어진다는 것: 지향과 방어의 관계 VS 의지와 의도의 관계
브랜드, 결국 Who의 문제: Who가 없는 Why는 무기력 VS 고객보다 직원이 더 소중하다
브랜드를 시청하는 시대: 재미를 장착한 콘텐츠로 VS 연결된 환경의 맥락에서부터
브랜드의 판타지와 리얼리티: 최선이 담긴 판타지(슈퍼 콘서트) VS 고객의 환상을 현실화(와비 파커)

4. 소비자 일상에 파고드는 콘텐츠인가?
진화된 브랜드 스토리텔링 파워: 빅 아이디어보다 홀 아이디어 VS 브랜드와 함께 스토리도 성장
브랜드 스토리에 대한 사소한 오해들: 탄생신화보다 더 중한 것 VS ‘검’과 ‘검술’은 다르다
참을 수 없이 가벼워지는 브랜딩: 뻔한 질문에 뻔하지 않게 답하기 VS 병맛을 소비하는 방식
브랜드, 유혹의 법칙: 싸우지 않고도 이기는 법 VS 루틴을 깨고 애타게 하는 법
브랜드, 아낌없이 교감하라: 소비자와 통하는 의외의 지점 VS 관계의 첫 단추)
1인 시대의 브랜딩: 혼자 보내는 시간의 퀄리티 VS 내게만 속삭이는 브랜드

에필로그

저자소개

정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변화된 기업환경에 필요한 솔루션이 될 맥락(Context)을 통해 브랜드의 매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창업한 제이앤브랜드(J& Brand)에서 새로운 실험과 시도를 계속 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불어불문학을 전공하고 기업의 언어와 전략을 다루는 컨설팅 업무를 꾸준히 해왔다. 브랜드메이저 대표 및 스톤 브랜드커뮤니케이션즈 대표를 역임하였다. KT의 이미지를 올레(Olleh)라는 화두로 급전환시킨 실적을 비롯하여 Xi, CU, Leeum, 순하리 등의 전략 및 크리에이티브 작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해왔다. 저서로는 메이저 브랜드를 만드는 브랜딩, 브랜딩 트렌드30, 최고의 브랜드에는 특별한 드라마가 있다, 히트상품을 만드는 인브랜딩 등이 있다.
펼치기
원충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브랜드메이저, 네이버 등 여러 회사와 조직을 거쳤지만 결국 브랜딩이라는 하나의 일을 해왔습니다. 그 사이 브랜드라는 화두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이슈의 경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꾸준히 지켜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본질은 모든 것이 변할 때 오히려 선명하게 존재감을 드러내는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변화된 기술과 달라진 고객, 정교화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면 브랜드는 위태로워진다. 하지만 자기만의 이야기를 찾지 못한 채 단지 커뮤니케이션 테크닉에만 집중하면, 화려한 등장으로 잠깐 사람들의 관심을 끌거나 강렬한 인상을 던져주더라도 궁극적으로는 아무것도 남기지 못할 것이다. 우리를 압박하는 신기술과 접목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SNS의 다각적 활용과 같은 부수적인 요소보다 먼저,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가?’라는 브랜드의 본질에 관련된 질문을 해야 한다. 여기에 바로 ‘대체 브랜딩이 뭐길래?’에 대한 단순하고도 명료한 답이 숨어 있다.


그 반전 매력에 맥락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제품을 아이스크림이나 초콜릿 같은 먹을거리처럼 보이게 한 디스플레이 방식은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는 짧은 유통기한을 은유하고 있다. 매장을 가득 채운 향기와 컬러는 지구의 환경을 생각하며 포장을 최소화하는 ‘네이키드 패키징(naked packaging)’의 결과라고 설명한다. 뜬금없는 반전은 생명력이 없지만, 이유가 명확한 반전은 해당 브랜드의 고유한 매력으로 강화되기 마련이다.


브랜드들이 하는 활동은 모두 ‘자기 부정’과 ‘자기다움’의 반복일지 모른다. 그 시대에 가장 중요한 고객 가치를 바탕으로 자신의 성공과 존재를 부정하며 자기다움을 만들어가고, 또다시 조금 더 정교한 자기 부정을 통해 자기다움을 공고히 하는 반복적인 작업이 브랜딩이다. 더 냉정하고 통렬한 자기 부정이 결국 혁신을 만든다는 사실은 애플과 스타벅스, 맥도날드가 이미 보여줬다. 애플은 PC 제조사가 아닌 ‘다른 사고’를 하는 기업임을, 스타벅스는 커피가 아닌 ‘제3의 공간을 제공’하는 브랜드임을, 맥도날드는 햄버거 비즈니스가 아니라 ‘쇼 비즈니스’임을 명확히 했을 때 더욱 분명한 자기다움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